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생물과 생명
· ISBN : 9788992306010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06-08-20
목차
포유동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개나 고양이도 사람처럼 꿈을 꿀까? ┃ 20
개의 코가 늘 젖어 있는 까닭은? ┃ 21
개는 사람 얼굴을 왜 핥으려고 할까? ┃ 23
꼬리를 흔드는 개는 위험할까? ┃ 23
개와 원숭이의 사이는 정말 나쁠까? ┃ 24
개가 전봇대에 오줌을 싸는 까닭은? ┃ 26
개가 가장 좋아하는 냄새는? ┃ 27
개가 혀를 내밀고 침을 흘리는 까닭은? 29
개가 풀도 먹을까? ┃ 30
개가 코를 킁킁거리고 다니는 까닭은? ┃ 32
맹인 안내견은 어떻게 신호를 구별할까? ┃ 33
개와 고양이도 혀로 맛을 느낄까? ┃ 34
개와 고양이도 자신의 외모를 알까? ┃ 34
고양이의 눈은 밤만 되면 반짝이는 까닭은? ┃ 35
고양이의 목에서 왜 소리가 날까? ┃ 37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면? ┃ 38
고양이가 생선을 좋아하는 이유는? ┃ 39
고양이가 오징어를 먹으면 토하는 까닭은? ┃ 41
고양이를 왜 요물이라고 할까? ┃ 42
고양이가 쥐약 먹고 죽은 쥐를 먹는다면? ┃ 44
새끼고래가 갓 태어나서 먹는 것은? ┃ 45
고래는 물 속에서 어떻게 숨을 쉴까? ┃ 47
고래가 물 위로 뿜어내는 것은 무엇일까? ┃ 49
수심 천 미터에서 고래가 살 수 있는 까닭은? ┃ 50
고래는 육지에서 왜 살지 못할까? ┃ 52
고슴도치는 어떻게 종족을 보존할까? ┃ 54
곰은 겨울잠을 자면서 똥도 싸지 않을까? ┃ 54
곰은 겨울잠을 자면서 새끼를 어떻게 낳을까? ┃ 56
겨울잠을 자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 58
백곰이 얼음 위에서 넘어지지 않는 까닭은? ┃ 59
반달곰이 사람을 습격하는 까닭은? ┃ 61
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 63
팬더곰은 초식동물일까, 육식동물일까? ┃ 63
기린의 목이 긴 까닭은? ┃ 65
기린과 말이 경주를 한다면 누가 빠를까? ┃ 67
기린은 왜 혈압이 높을까? ┃ 68
포유동물 중에서 보호색의 챔피언은 누구일까? ┃ 70
낙타 혹에는 갈증을 해소할 물이 들어 있을까? ┃ 71
새끼낙타도 혹이 있을까? ┃ 73
늑대와 개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 74
당나귀와 노새의 차이는? ┃ 76
동물병원에서 수혈용 혈액은 어떻게 조달할까? ┃ 77
두더지는 햇볕을 쪼이면 왜 죽을까? ┃ 77
두더지의 발은 왜 앞발과 뒷발이 다를까? ┃ 79
말이 귀를 움직이는 까닭은? ┃ 80
말의 얼굴이 소보다 긴 까닭은? ┃ 82
얼룩말은 털을 깎아도 얼룩얼룩할까? ┃ 84
말은 어떻게 신호를 알아볼까? ┃ 86
말의 눈은 왜 다른 동물보다 클까? ┃ 87
경주마가 위궤양에 걸리기 쉬운 까닭은? ┃ 88
말의 키는 어떻게 잴까? ┃ 89
육식동물의 눈은 왜 정면에 있을까? ┃ 89
맘모스가 지상에서 사라진 까닭은? ┃ 90
박쥐가 야간에 날아다니는 까닭은? ┃ 92
‘밀림의 왕자’ 레오는 왜 하얗게 그려졌을까? ┃ 94
미키마우스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 95
사자의 울음소리는 왜 포효한다고 할까? ┃ 96
사자는 식물섬유를 어떻게 섭취할까? ┃ 96
사슴의 발톱이 두 개인 까닭은? ┃ 97
소가 침을 흘리는 까닭은? ┃ 99
소 뿔은 어떻게 생겨날까? ┃ 100
소가 빨간색을 보면 정말 흥분하여 날뛸까? ┃ 102
초식동물인 소가 풀만 먹고 살찌는 이유는? ┃ 104
젖소는 어떻게 쉬지 않고 우유를 생산할까? ┃ 105
여우가 사람을 홀린다고? ┃ 107
원숭이가 잡는 이는 무엇일까? ┃ 108
원숭이의 털은 사람보다 세 개가 적다는 말은? ┃ 110
원숭이의 엉덩이가 붉은 까닭은? ┃ 112
원숭이의 볼이 볼록한 것은 무엇 때문일까? ┃ 114
코끼리 새끼는 어떻게 젖을 빨아먹을까? ┃ 115
코끼리는 하루에 얼마를 먹을까? ┃ 116
코끼리 방귀 소리는 얼마나 클까? ┃ 118
코끼리의 귀는 왜 클까? ┃ 119
캥거루 새끼는 어떻게 태어날까? ┃ 119
캥거루는 뒤로 뛸 수 있을까? ┃ 121
토끼의 귀가 긴 이유는? ┃ 122
토끼의 눈이 붉은 까닭은? ┃ 124
토끼는 수영을 못할까? ┃ 125
집토끼가 장마철에 잘 죽는 까닭은? ┃ 126
검은 토끼의 눈은 까말까? ┃ 127
토끼는 털갈이를 왜 할까? ┃ 129
토끼에게 물을 주면 죽는다고 하는 까닭은? ┃ 130
토끼는 자기 똥을 먹는다? ┃ 131
하마의 잠수 비결은 무엇일까? ┃ 133
하마의 땀이 핏빛으로 보이는 까닭은? ┃ 135
호저가 적을 향해 엉덩이를 내미는 까닭은 ? ┃ 136
하마는 왜 하품을 할까? ┃ 137
해달이 전복과 성게를 좋아하는 까닭은? ┃ 140
양서류 동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개구리는 왜 배꼽이 없을까? ┃ 141
개구리의 목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까닭은? ┃ 143
개구리가 겨울잠을 자는 까닭은? ┃ 144
개구리의 올챙이 적 꼬리는 어디로 사라졌을까? ┃ 146
개구리는 물 속에서 운다? ┃ 147
청개구리는 기상청 홍보관? ┃ 149
두꺼비 등의 사마귀를 만지면 사마귀가 생길까? ┃ 150
두꺼비에서 기름을 짜낸다고? ┃ 152
파충류 동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바다거북이 태어나자마자 바다로 가는 까닭은? ┃ 153
공룡 이름에 사우루스가 많은 까닭은? ┃ 155
냉혈동물은 정말 체온이 없을까? ┃ 155
도마뱀 꼬리는 끊어져도 다시 생기는 까닭은? ┃ 157
뱀이 혀를 내밀어 날름거리는 까닭은? ┃ 159
뱀은 왜 허물을 벗을까? ┃ 160
뱀이 민달팽이를 무서워한다고? ┃ 162
뱀이 큰 동물을 삼키는 비결은? ┃ 163
코브라는 피리 소리의 가락을 알아챌까? ┃ 165
딸랑딸랑 방울뱀, 그 소리의 비밀은? ┃ 167
살무사가 살무사에게 물린다면? ┃ 168
독사에 물렸을 때 올바른 응급처지법은? ┃ 170
자라가 물면 번개가 쳐도 놓지 않는다? ┃ 170
카멜레온은 본래 어떤 색일까? ┃ 172
연체동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낙지는 어떤 모양으로 헤엄을 칠까? ┃ 173
낙지가 고구마와 수박을 좋아한다는 말은? ┃ 174
새끼달팽이도 집을 짊어지고 다닐까? ┃ 176
달팽이도 이빨이 있을까? ┃ 177
달팽이를 덮고 있는 껍질이 깨지면 어떻게 될까? ┃ 179
달팽이가 지나간 자리는 왜 반짝반짝할까? ┃ 180
민달팽이도 집이 있었을까? ┃ 182
민달팽이에게 소금을 뿌리면 녹아버린다고? ┃ 183
문어의 수컷과 암컷은 어떻게 구분할까? ┃ 185
오징어먹물스파게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186
오징어도 하늘을 난다? ┃ 187
오징어와 문어는 어떻게 구별할까? ┃ 188
오징어의 먹물은 가짜 오징어? ┃ 190
조개의 앞과 뒤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 192
조개껍질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194
진주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196
전복은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데 왜 생겼을까? ┃ 197
자포동물(다세포)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산호는 왜 동물의 뼈라고 할까? ┃ 198
해파리의 독주머니는 어떤 것인가? ┃ 200
원생동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짚신이 없는 나라에서는 짚신벌레를 어떻게 부를까? ┃ 202
절지동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게는 왜 똑바로 걷지 못하고 옆으로만 걸을까? ┃ 202
게가 육지에서 거품을 내뿜는 까닭은? ┃ 203
게의 암수 구별법? ┃ 205
소라게가 커지면 등의 조가비는 어떻게 될까? ┃ 206
거미줄로 양말을 짤 수 있을까? ┃ 208
거미는 재활용 박사? ┃ 210
거미가 하늘을 날아다니는 이유는? ┃ 212
거미집을 지을 때 첫번째 거미줄은 어떻게 칠까? ┃ 214
거미도 자기가 쳐놓은 거미줄에 걸릴까? ┃ 214
여덟 개의 눈을 가진 거미의 시력은? ┃ 216
거미줄이 끈끈한 까닭은? ┃ 218
곤충
곤충의 귀는 어디에 있을까? ┃ 220
지구상에서 가장 번성한 동물은? ┃ 221
곤충의 더듬이는 어떤 일을 할까? ┃ 222
곤충은 왜 불을 찾아 모여드는 것일까? ┃ 223
먹을 수 있는 곤충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 225
곤충도 계절따라 이동하는 것이 있을까? ┃ 227
벌레소리는 기온에 따라 어떻게 소리가 변할까? ┃ 228
개미의 행렬은 어떻게 생길까? ┃ 229
개미는 죽은 개미를 왜 끌고 갈까? ┃ 230
개미는 먼 곳에서 어떻게 집을 찾아갈까? ┃ 232
큰 비에도 개미집은 왜 물에 잠기지 않을까? ┃ 234
흰개미는 왜 개미가 아닐까? ┃ 235
흰개미는 갉아먹은 나무를 어떻게 소화할까? ┃ 236
짱구개미는 왜 늦가을과 초겨울에만 활동할까? ┃ 238
귀뚜라미가 긴 수염을 흔드는 까닭은? ┃ 239
나비의 날개가 아름답게 보이는 까닭은? ┃ 241
나비도 싸움을 할까? ┃ 242
나비도 물을 마실까? ┃ 244
번데기가 녹색과 갈색인 이유는? ┃ 245
누에에서 어떻게 흰 실이 나올까? ┃ 247
누에는 왜 고개를 들고 잠을 잘까? ┃ 248
누에가 잠을 잘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 250
모기가 피를 빨아먹는 까닭은? ┃ 252
가냘픈 모기침이 어떻게 살갗을 뚫을까? ┃ 253
무리지어 다니는 모기는 물지 않는다? ┃ 255
모기나 벼룩이 물면 가려운 이유는? ┃ 256
매미의 유충은 땅속에서 무엇을 먹고 살까? ┃ 257
매미와 곤충의 피는 어떤 색깔일까? ┃ 259
바퀴벌레는 숲속에서도 살까? ┃ 260
방귀벌레에서 나는 냄새는 어디서 날까? ┃ 262
벌레들이 전등 불빛에 몰려드는 까닭은? ┃ 263
반딧불로 정말 책을 읽을 수 있을까? ┃ 265
책벌레는 공부벌레말고 정말 벌레가 있을까? ┃ 266
벌집은 기하학 박사가 지었을까? ┃ 267
꿀벌들은 동료들에게 어떻게 의사를 전달할까? ┃ 269
벌은 꿀과 꽃가루로만 벌집을 만들까? ┃ 271
벌집에서 여왕벌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 ┃ 272
벼룩이 높이 뛰는 까닭은? ┃ 273
장구벌레가 물 위로 떠오르면 비가 온다? ┃ 274
소금쟁이는 물 위에서만 살까? ┃ 275
송충이는 새의 공격을 어떻게 피할까? ┃ 277
공룡시대의 잠자리가 지금도 살아 있다? ┃ 278
잠자리가 잘 날 수 있는 까닭은? ┃ 280
콩 속 벌레는 왜 생길까? ┃ 281
파리는 스파이더맨의 원조? ┃ 283
지네의 다리가 100개라니? ┃ 284
환형동물
지렁이는 흙을 먹고 살까? ┃ 285
지렁이의 머리와 항문을 어떻게 구별하는가? ┃ 287
지렁이는 몸이 잘려 나가도 산다? ┃ 288
새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새는 나무에서 자는데 왜 떨어지지 않을까? ┃ 290
세상에서 가장 작은 새는? ┃ 291
밤에 활동하는 새는 눈의 어떤 기능 때문일까? ┃ 293
새가 고지대를 비행할 수 있는 까닭은? ┃ 294
새끼새들은 하루에 몇 끼를 먹을까? ┃ 296
새알 중에서 가장 큰 것과 작은 것은? ┃ 298
까마귀가 울면 사람이 죽는다는 말은? ┃ 299
공작이 꼬리를 활짝 펴는 까닭은? ┃ 301
구관조가 사람 흉내를 낼 수 있는 까닭은? ┃ 302
닭은 오줌을 싸지 않을까? ┃ 303
닭이 유리조각을 먹고도 괜찮은 까닭은? ┃ 304
달걀은 어느 쪽이 먼저 나올까? ┃ 306
병아리가 물을 마시고 입을 쳐드는 까닭은? ┃ 307
닭이 새벽녘에 우는 까닭은? ┃ 309
대머리독수리는 왜 머리가 벗겨졌을까? ┃ 310
딱따구리가 나무를 쪼아대는 까닭은? ┃ 311
나뭇가지에 개구리가 꽂혀 있는 까닭은? ┃ 313
바다의 새들은 바닷물을 먹지 않을까? ┃ 314
비둘기는 새끼에게 젖을 먹여 키운다? ┃ 316
하늘에서 솔개는 날갯짓하지 않고도 나는 까닭은? ┃ 317
올빼미의 눈이 왕방울만한 까닭은? ┃ 319
올빼미의 돌기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 321
앵무새가 사람의 목소리를 잘 흉내내는 까닭은? ┃ 322
원앙새 부부는 정말 사이가 좋은 새일까? ┃ 323
종달새가 높은 하늘에서 우는 까닭은? ┃ 324
제비들은 남태평양을 어떻게 건너갈까? ┃ 326
강남 갔다온 제비가 작년에 살던 집을 기억할까? ┃ 328
새의 혀는 사람의 혀와 어떻게 다를까? ┃ 329
참새는 어느 정도의 바람까지 견딜 수 있을까? ┃ 330
참새도 앵무새처럼 흉내를 낼 수 있을까? ┃ 331
철새는 계절의 전령사? ┃ 333
가장 많은 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는? ┃ 335
철새의 수는 어떻게 셀까? ┃ 337
카나리아는 매년 신곡을 발표한다? ┃337
타조는 왜 모래 속에 머리를 처박을까? ┃338
타조의 알은 얼마나 클까? ┃339
남극의 펭귄을 북극에 데려다 놓으면 어떻게 될까? ┃ 340
학이 외발로 서는 까닭은? ┃341
불을 먹고 사는 새도 있을까? ┃342
휘파람새는 매화나무를 정말 좋아할까? ┃344
물고기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바닷물은 짠데 물고기는 짜지 않는 이유는? ┃346
물고기의 미각은 인간보다 얼마나 뛰어날까? ┃347
성을 전환하는 물고기도 있을까? ┃347
물고기는 어디서 잠은 자는가? ┃349
물고기도 소리를 낼까? ┃351
물고기는 어떻게 소리를 듣는가? ┃353
물고기의 부레는 어떤 역할을 할까? ┃354
물고기도 냄새를 맡을 수 있을까? ┃356
물고기는 지치지 않을까? ┃358
물고기는 얼마나 오래 살까? ┃359
물고기의 나이는 어떻게 계산할까? ┃361
물고기는 비늘 없이도 살 수 있을까? ┃363
물고기의 몸 빛깔과 먹이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364
물고기가 숨을 쉴 때 거품이 생기지 않는 까닭? ┃366
물고기는 어떻게 잠을 잘까? ┃367
물고기는 거리를 어떻게 판단할까? ┃369
어항의 이끼는 어떻게 생겨날까? ┃370
가다랭이는 마라톤선수처럼 왜 쉬지 않고 달릴까? ┃ 371
가다랭이를 외줄낚시로 잡는 까닭은? ┃373
고등어의 비린내는 어디서 나오는가? ┃375
금붕어는 먹지 못할까? ┃376
금붕어와 열대어는 함께 키울 수 없을까? ┃378
식염수는 금붕어의 우황청심환? ┃380
금붕어를 강에 놓아주면 야생금붕어가 될까? ┃381
그물로 잡은 꽁치가 맛이 없는 까닭은? ┃382
날치는 어떻게 바다 위를 날까? ┃383
넙치의 눈이 한쪽으로 몰려 있는 까닭은? ┃384
미꾸라지가 내뿜는 거품의 정체는? ┃387
가시복에는 몇 개의 가시가 있을까? ┃388
복을 먹으면 죽는다? ┃389
복의 몸은 왜 고무풍선 같을까? ┃390
복회는 왜 얇게 썰어야 맛있다고 할까? ┃392
뱀장어가 폭포를 기어오를 수 있는 까닭은? ┃392
민물과 바닷물에서도 사는 물고기는? ┃394
소금기를 빼기 위해 소금물에 담그는 이유는? ┃396
물고기는 씻으면 씻을수록 맛있다? ┃397
흰색물고기와 붉은색물고기는 누가 수영을 잘할까? ┃398
생선회는 언제 먹어야 가장 맛있을까? ┃400
상어의 이빨은 썩어도 다시 날까? ┃400
실러캔스는 왜 맛이 없을까? ┃402
잉어가 폭포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403
비단잉어는 왜 비쌀까? ┃405
전기장어의 전기로 불을 밝힐 수 있을까? ┃406
칠성장어의 눈은 어디에 있을까? ┃408
잉어는 무엇을 먹고 살까? ┃409
장어가 미끌미끌한 까닭은? ┃411
작은 물고기는 자신을 어떻게 보호할까? ┃413
준치는 썩어도 정말 맛이 있을까?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