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나 올리브에게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동화/명작/고전 > 국내창작동화
· ISBN : 9791141614072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5-11-20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동화/명작/고전 > 국내창작동화
· ISBN : 9791141614072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5-11-20
책 소개
60만 독자와 함께한 『긴긴밤』
그 감동을 잇는 루리 작가 신작
무슨 바람을 따라왔는지 우리는 다 여기서 만났어
사람들은 그 집을 올리브나무 집이라고 불렀다.
그 집에는 커다란 올리브나무가 있고,
그 나무 이름을 딴 나나 올리브가 살고 있다고 했다.
누군가는 나나 올리브가 젊은 사람이라고 했고, 누군가는 노인이라고 했다.
누군가는 개가 한 마리 있었다고 했고, 누군가는 여러 마리였다고 했다.
사람들마다 얘기가 달랐다.
하지만 그 집에 가면 다 괜찮아질 거라는 말은 모두가 똑같이 했다.
지구상의 마지막 하나가 된 흰바위코뿔소 노든과 버려진 알에서 태어난 어린 펭귄의 이야기 『긴긴밤』으로 60만 독자의 마음을 움직인 루리 작가가 또 한 번 마음을 흔드는 이야기로 우리를 찾아왔다.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떠도는 이야기, 오랜 세월 한 번도 문이 닫힌 적이 없었던 올리브나무 집과 그 집을 지키는 ‘나나 올리브’와 얼룩무늬 개, 그리고 그 집 문기둥에 키 눈금을 새겼던 이들의 이야기이다.
이야기는 삼십 년 전의 약속을 떠올리며 올리브나무 집을 찾아 나선, 이제는 어른이 된 한 소년과 그 모험을 함께하기로 한 이들의 회상으로 시작한다. 희망이 필요했던 때, 그들에게 울타리가 되어 주었던 그 집은 어디에 있을까? 소년이 기억을 더듬으며 찾아간 그 집은 초록색 이끼로 덮여 있고 벽은 여기저기 무너져 있다. 그리고 놀랍게도 마치 어제처럼, 그때 보았던 얼룩무늬 개와 허리 꺾인 올리브나무가 그곳에 서서 그를 맞아 주었다.
시간의 더께가 앉은 집 안에는 이 집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했을 뻐꾸기시계와 폭격으로 반 토막이 났던 탁자, 이 집을 ‘우리 집’이라고 불렀던 이들의 키 눈금으로 가득한 문기둥이 있다. 소년은 그 집의 주인이었던 ‘나나 올리브’를 찾고 싶지만 그 어디에서도 그녀에 대한 기록은 찾을 수 없다. 대신 소년은 올리브나무 집에서 오래된 노트를 발견한다. 글 첫머리마다 ‘나나에게’로 시작하는 이 노트는 자신을 ‘코흘리개’로 칭하는 누군가가 ‘나나 올리브’에게 보내는 그리움을 담은 편지였다.
삼십 년 후에도 백 년 후에도 이어질 편지
돌이킬 수 없다고 여겼던 것들이 돌아오는 재생과 회복
편지는 피란을 떠났다가 돌아온 ‘코흘리개’가 여전히 그곳을 지키고 있는 개와 함께 엉망이 된 집 안팎을 돌보며 나나에게 부치는 안부였다. 코흘리개가 끼적인 그림을 따라 어디선가 불어오는 바람을 느끼며 편지를 읽어 나가는 동안, 우리는 이 집이 소중히 품었던 것들, 그러나 부서진 것들, 그럼에도 구멍 난 일상에 새살이 오르고, 멈추었던 뻐꾸기시계의 시간이 다시 흐르는 광경을 보게 된다. 길을 잃거나 도망치거나 무언가를 절실히 기다리며, 그 집에 가면 다 괜찮아질 거라는 거짓말 같은 희망에 기대어 올리브나무 집의 문턱을 넘은 이들은, 코흘리개가 그러했듯 그곳에서 돌이킬 수 없다고 여겼던 것을 다시 돌이키는 기적을 마주한다. 폭격으로 허리가 꺾인 올리브나무가 연두색 싹을 뻗어 인사를 건네는 모습을. 그 인사와 같은 기적들을.
망가지고 사라지는 것들 속에서도
우리 삶을 붙들고 우리를 일으키는 아름다운 것들
루리 작가의 말처럼 처음 이 이야기는 전쟁 이야기였고, 집이 주인공인 이야기가 될 것이었으나, 결국 살아 내는 이야기로 완성되었다. 그래서인가, 『나나 올리브에게』는 망가지고 사라지는 것들 속에서도 우리 삶을 붙들고 우리를 일으키는 아름다운 것들로 채워져 있다. 슬픔 속에서도 개가 주워 먹고 배탈이 날까 봐 열매를 줍고 열매를 줍다 보니 먼지를 쓸고 먼지를 쓸다 보니 집을 정돈하게 되는 마음,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력한 순간에도 다리를 다친 개에게 소년이 만들어 준 보조바퀴, 구멍 뚫린 천장으로 바라다 보이는 밤하늘 아래 서로 몸을 바짝 붙이는 이들의 체온, 다시 고쳐진 문과 쓸모없어진 것들이 모여 내는 작은 풍경 소리 같은.
이야기는 코흘리개가 나나에게 쓴 편지, 나나가 코흘리개에게 남긴 앨범, 올리브나무 집에서 ‘나나’를 만났던 이들이 전하는 편지들로 나아가며 온몸을 감동으로 채워 나간다. 어느 날 문 안으로 뛰어 들어온 코흘리개와 강아지를 받아 안아 준 나나의 품은 오랜 세월이 흘러도 이어지는 사랑의 연쇄를 만들었다. 나나에게서 코흘리개로, 코흘리개에서 사자머리와 메이와 소년과 군인으로, 그리고 또 다른 존재들로. 이즈음 우리는 소년이 찾고 싶었던 나나는 누구일까? 하는 질문에 다다르고 각자의 답에 이르게 된다.
문기둥을 가득 채운 키 눈금처럼
덧대어지고 덧대어질 이야기
작가는 편지와 앨범 등 글의 결에 맞게 채색 방식과 그림체를 달리하며 독자를 깊숙이 끌어들인다. 책장을 덮으면 눈앞에 펼쳐진다. 바람의 뒷모습을 바라보는 나나 올리브와 코를 들어 바람의 냄새를 맡는 개들, 언제나 열려 있는 문과 잠시 쉬어 가는 나비의 날갯짓이. 바람을 따라 올리브나무 집의 문턱을 넘으면 그곳 문기둥을 채워 가는 키 눈금들이 보인다. 과거와 현재, 아직 오지 않을 미래가 포개어진다. 올리브나무 집의 이야기는 끝나지 않고 덧대어지고 덧대어질 것이다.
개들이 코를 들고 바람을 맞이해요.
나는 눈을 감고 손을 뻗어 바람의 방향을 가늠해요.
저쪽이다.
우리는 다 같이 바람의 뒷모습을 바라봐요.
흘러가는 것뿐이야. 우리 모두 다.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주기를.
그 감동을 잇는 루리 작가 신작
무슨 바람을 따라왔는지 우리는 다 여기서 만났어
사람들은 그 집을 올리브나무 집이라고 불렀다.
그 집에는 커다란 올리브나무가 있고,
그 나무 이름을 딴 나나 올리브가 살고 있다고 했다.
누군가는 나나 올리브가 젊은 사람이라고 했고, 누군가는 노인이라고 했다.
누군가는 개가 한 마리 있었다고 했고, 누군가는 여러 마리였다고 했다.
사람들마다 얘기가 달랐다.
하지만 그 집에 가면 다 괜찮아질 거라는 말은 모두가 똑같이 했다.
지구상의 마지막 하나가 된 흰바위코뿔소 노든과 버려진 알에서 태어난 어린 펭귄의 이야기 『긴긴밤』으로 60만 독자의 마음을 움직인 루리 작가가 또 한 번 마음을 흔드는 이야기로 우리를 찾아왔다.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떠도는 이야기, 오랜 세월 한 번도 문이 닫힌 적이 없었던 올리브나무 집과 그 집을 지키는 ‘나나 올리브’와 얼룩무늬 개, 그리고 그 집 문기둥에 키 눈금을 새겼던 이들의 이야기이다.
이야기는 삼십 년 전의 약속을 떠올리며 올리브나무 집을 찾아 나선, 이제는 어른이 된 한 소년과 그 모험을 함께하기로 한 이들의 회상으로 시작한다. 희망이 필요했던 때, 그들에게 울타리가 되어 주었던 그 집은 어디에 있을까? 소년이 기억을 더듬으며 찾아간 그 집은 초록색 이끼로 덮여 있고 벽은 여기저기 무너져 있다. 그리고 놀랍게도 마치 어제처럼, 그때 보았던 얼룩무늬 개와 허리 꺾인 올리브나무가 그곳에 서서 그를 맞아 주었다.
시간의 더께가 앉은 집 안에는 이 집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했을 뻐꾸기시계와 폭격으로 반 토막이 났던 탁자, 이 집을 ‘우리 집’이라고 불렀던 이들의 키 눈금으로 가득한 문기둥이 있다. 소년은 그 집의 주인이었던 ‘나나 올리브’를 찾고 싶지만 그 어디에서도 그녀에 대한 기록은 찾을 수 없다. 대신 소년은 올리브나무 집에서 오래된 노트를 발견한다. 글 첫머리마다 ‘나나에게’로 시작하는 이 노트는 자신을 ‘코흘리개’로 칭하는 누군가가 ‘나나 올리브’에게 보내는 그리움을 담은 편지였다.
삼십 년 후에도 백 년 후에도 이어질 편지
돌이킬 수 없다고 여겼던 것들이 돌아오는 재생과 회복
편지는 피란을 떠났다가 돌아온 ‘코흘리개’가 여전히 그곳을 지키고 있는 개와 함께 엉망이 된 집 안팎을 돌보며 나나에게 부치는 안부였다. 코흘리개가 끼적인 그림을 따라 어디선가 불어오는 바람을 느끼며 편지를 읽어 나가는 동안, 우리는 이 집이 소중히 품었던 것들, 그러나 부서진 것들, 그럼에도 구멍 난 일상에 새살이 오르고, 멈추었던 뻐꾸기시계의 시간이 다시 흐르는 광경을 보게 된다. 길을 잃거나 도망치거나 무언가를 절실히 기다리며, 그 집에 가면 다 괜찮아질 거라는 거짓말 같은 희망에 기대어 올리브나무 집의 문턱을 넘은 이들은, 코흘리개가 그러했듯 그곳에서 돌이킬 수 없다고 여겼던 것을 다시 돌이키는 기적을 마주한다. 폭격으로 허리가 꺾인 올리브나무가 연두색 싹을 뻗어 인사를 건네는 모습을. 그 인사와 같은 기적들을.
망가지고 사라지는 것들 속에서도
우리 삶을 붙들고 우리를 일으키는 아름다운 것들
루리 작가의 말처럼 처음 이 이야기는 전쟁 이야기였고, 집이 주인공인 이야기가 될 것이었으나, 결국 살아 내는 이야기로 완성되었다. 그래서인가, 『나나 올리브에게』는 망가지고 사라지는 것들 속에서도 우리 삶을 붙들고 우리를 일으키는 아름다운 것들로 채워져 있다. 슬픔 속에서도 개가 주워 먹고 배탈이 날까 봐 열매를 줍고 열매를 줍다 보니 먼지를 쓸고 먼지를 쓸다 보니 집을 정돈하게 되는 마음,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력한 순간에도 다리를 다친 개에게 소년이 만들어 준 보조바퀴, 구멍 뚫린 천장으로 바라다 보이는 밤하늘 아래 서로 몸을 바짝 붙이는 이들의 체온, 다시 고쳐진 문과 쓸모없어진 것들이 모여 내는 작은 풍경 소리 같은.
이야기는 코흘리개가 나나에게 쓴 편지, 나나가 코흘리개에게 남긴 앨범, 올리브나무 집에서 ‘나나’를 만났던 이들이 전하는 편지들로 나아가며 온몸을 감동으로 채워 나간다. 어느 날 문 안으로 뛰어 들어온 코흘리개와 강아지를 받아 안아 준 나나의 품은 오랜 세월이 흘러도 이어지는 사랑의 연쇄를 만들었다. 나나에게서 코흘리개로, 코흘리개에서 사자머리와 메이와 소년과 군인으로, 그리고 또 다른 존재들로. 이즈음 우리는 소년이 찾고 싶었던 나나는 누구일까? 하는 질문에 다다르고 각자의 답에 이르게 된다.
문기둥을 가득 채운 키 눈금처럼
덧대어지고 덧대어질 이야기
작가는 편지와 앨범 등 글의 결에 맞게 채색 방식과 그림체를 달리하며 독자를 깊숙이 끌어들인다. 책장을 덮으면 눈앞에 펼쳐진다. 바람의 뒷모습을 바라보는 나나 올리브와 코를 들어 바람의 냄새를 맡는 개들, 언제나 열려 있는 문과 잠시 쉬어 가는 나비의 날갯짓이. 바람을 따라 올리브나무 집의 문턱을 넘으면 그곳 문기둥을 채워 가는 키 눈금들이 보인다. 과거와 현재, 아직 오지 않을 미래가 포개어진다. 올리브나무 집의 이야기는 끝나지 않고 덧대어지고 덧대어질 것이다.
개들이 코를 들고 바람을 맞이해요.
나는 눈을 감고 손을 뻗어 바람의 방향을 가늠해요.
저쪽이다.
우리는 다 같이 바람의 뒷모습을 바라봐요.
흘러가는 것뿐이야. 우리 모두 다.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주기를.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