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환경학
· ISBN : 9788992592727
· 쪽수 : 547쪽
· 출판일 : 2008-08-25
목차
1.저술배경
2.이 책의 목표
3.서 론
4.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다른 형태의 모형
5.생태공학
5.1 서 론
5.2 생태공학의 정의
5.3 생태공학의 원리
5.4 생태공학의 응용
5.5 생태공학 적용 사례
5.6 사례 연구
5.7 요 약
6.자연에 대한 개념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6.1 '자연'이라는 개념
7.자연계가 제공하는 재화와 용역
8.건설재료,정책 및 실무
8.1 건설원료 : 서유럽에서의 정책 및 공급실무
8.2 건축,토목 및 수자원 분야에서의 재생가능한 재료
8.3 도로포장 시 준설재료에서의 ripened 점토의 사용
9.도로건설 및 수공학에서의 생태공학
9.1 기본 요건
9.2 서식처 조각 - 통로 - 바탕 모델
9.3 서식처 조각과 경계
9.4 구조적 및 비구조적 경계(경사)
9.5 통로와 연결성
9.6 전이개체군 개념
9.7 LARCH
9.8 네트워크 개념과 생태적 네트워크
9.9 다양한 규모단게에서의 생태적 네트워크의 예
10.(에코)시스템 사고(思考)와 생태계로서의 도로
10.1 (에코)시스템 사고(思考)의 일반적인 특징
10.2 시스템 이론의 발달과정
10.3 생태계의 중요한 개념과 특징
10.4 생태계의 분류
10.5 수송을 위한 생태계 접근
10.6 '강'과 '주요 도로'의 동태(動態) 비교
10.7 사회적 상황에 적용한 시스템 사고
11.도로의 생태적 영향
11.1 개 요
11.2 서식처,이동통로,방벽,수원 및 안식처로써 도로 경계
11.3 네덜란드의 도로 경계 초목 관리 역사
11.4 노변 경계의 식생
11.5 1980년대와 1990년대의 노변 경계의 동물군
11.6 노변 경계의 구성과 유지보수
11.7 기본 조건으로써 양분이 부족한 토양
11.8 네덜란드 노변 경계에 자생하는 식물종
11.9 고속도로 경계 배수구
11.10 도로 교통이 조류의 산란에 미치는 영향
11.11 도로에서의 동물군 사고
11.12 수리적 효과
11.13 도로와 교통으로 인한 대기,토양 및 수질오염
11.14 개체의 분획화와 고립
12.도로교통에 의한 생태계 단절과 대책
12.1 서식처 단절의 대책 : 경감방법
12.2 콘크리트 경감 대책 사례
12.3 서식처 단절을 위한 대책 프로그램
12.4 보상 방법
12.5 경감대책의 발전
12.6 Crailo 사취장의 자연 연결로 사례연구
12.7 야생동물의 고속도로 하부 고가교 이용
12.8 개체군 수준에서 생태통로의 이용과 효율성 연구
12.9 오소리를 위한 생태기술적 관점의 경감 방법
12.10 네덜란드 서식처 단절에 따른 관련 정책의 변천사
12.11 사례연구 : 박쥐와 도로
12.12 사레연구 : 지방도로로 인한 서식처 단절과 그 대책
13.생태와 경제
13.1 서 론
13.2 경제시스템과 환경관의 관계
13.3 현재 경제시스템의 한계점
13.4 사례연구 : 자연을 가격화한 것과 그러지 못한 것
13.5 생태경제학
13.6 지속가능한 경제체계
13.7 사회기반시설과 경감대책에 대한 비용과 편의
13.8 복원 경제
13.9 경제,사회와 환경
13.10 결 론
14.기반시설의 경관 : 이론과 실제
14.1 서 론
14.2 네 가지 생태학적 이론
14.3 공공 경관 : 자동차도로를 위한 정원…공간,시간,이동을 위한 설계
14.4 다양한 규모별 이론의 적용(구체적 방법들의 통합 및 확립)
14.5 다양한 규모의 수준에서 조화로운 융합의 예
14.6 경관 내의 도로
14.7 구체적 사례연구
14.8 기반시설의 장애요소
14.9 자동차 도로변의 예술 및 예술활동
14.10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의 관점
14.11 패턴,흐름 및 네트워크의 관점
14.12 기능연결의 관점 : 생태공학
15.토목공학 범주 내 활용을 위한 생태공학의 원칙
15.1 생태공학 원칙의 집합
15.2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하고 보상하는 단계의 설계 순서
15.3 마지막으로
부록
용어설명
번역을 마치면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