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기초한의학
· ISBN : 9788992621557
· 쪽수 : 486쪽
· 출판일 : 2024-02-29
책 소개
목차
제 Ⅰ 부 총 론
제 1 장 생리학의 정의
제 1 절 생리학의 정의와 역할
1. 생리학 분야의 시작
2. 현대한의학의 특징
3. 현대한의학과 전통시대 한의학의 차이
4. 한의학韓醫學과 중의학中醫學(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한방의학漢方醫學(Kampo Medicine)의 차이
5. 생리학의 정의와 역할
제 2 절 한의학 생명현상 인식의 특징
1. 생명현상을 인식하는 관점들
2. 한의학에서의 생명현상 인식
제 3 절 한의학적 대상관
1. 전일관全一觀: 대상의 전일성全一性을 중시하는 관점
2. 항동관恒動觀: 생명의 동태성을 중시하는 관점
제 4 절 생리학의 전체 체계
x 동의생리학제 2 장 음양론 및 음양론적 생리체계
제 1 절 음양론
1. 음양론의 형성 및 발전과정
제 2 절 음양론의 개념과 특징
1. 음양의 기본 개념
2. 음양의 속성
제 3 절 음양론적 생리체계
1. 음양론적 대상관
2. 생명현상에 대한 음양적 인식
3. 음양학설陰陽學說의 한의학에서 응용
제 3 장 오행론 및 오행론적 생리체계
제 1 절 오행론의 기원
1. 오행론의 형성 및 발전과정
제 2 절 오행의 기본 법칙
1. 오행의 개념
2. 오행의 관계
3. 오행귀류五行歸類
4. 오행의 의의
제 3 절 오행론과 인체생리
1. 인체에 대한 오행적 인식체계
제 4 장 육기론 및 육기론적 생리체계
제 1 절 육기론
1. 운기運氣와 육기六氣의 기본 개념
2. 군화君火와 상화相火
차 례 xi3. 삼음삼양의 기본 개념
4. 육기의 성질과 작용
5. 육기와 음양 오행의 관계
제 2 절 육기론적 생리체계
1. 생명현상의 분석개념으로서의 육기: 외부육기와 내부육기
2. 육기론과 인체생리: 경맥과 육경
제 5 장 한의생리학의 현대적 연구
제 1 절 윤길영의 음양, 운기론적 생리론과 구조역학적 생리학
제 2 절 김완희의 유기능이론 및 유기능체계
제 Ⅱ 부 각 론
제 1 장 정신기혈론(附, 진액)
제 1 절 개 요
제 2 절 정
1. 정의 개념
2. 정의 생성
3. 정의 분류
4. 정의 생리기능
5. 정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외부 지표
6. 정의 병태생리
7. 양생과 정
xii 동의생리학제 3 절 신
1. 신의 개념
2. 신의 생성
3. 신의 생리기능
4. 신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외부 지표
5. 신의 병태생리
제 4 절 기
1. 기의 개념
2. 기의 작용
3. 기의 분류
4. 기의 운동형식
5. 조기調氣와 건강
6. 기의 병태
제 5 절 혈
1. 혈의 개념
2. 혈의 생성
3. 혈의 생리기능
4. 혈의 순행
5. 혈의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외부 지표
6. 혈의 병태생리
제 6 절 진액
1. 진액의 개념
2. 진과 액의 성질, 분포, 작용상의 특징
3. 진액의 인체 내 대사과정
4. 진액의 생리기능
5. 진액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외부 지표
6. 진액의 병태생리
제 7 절 정신기혈진액의 상호관계
차 례 xiii1. 정과 기의 상호관계
2. 정과 신의 상호관계
3. 정과 혈의 상호관계
4. 기와 혈의 상호관계
5. 기와 신의 상호관계
6. 혈과 신의 상호관계
7. 정신기혈과 진액의 상호관계
제 2 장 장부생리
제 1 절 장부생리 총론
1. 장부이론의 특징
2. 장상이론과 장부생리의 기본개념
3. 장상이론의 연구방법론
제 2 절 간 기능계
1. 간 기능계의 구성
2. 간 기능계의 생리적 특성
3. 간 기능계 소속 장기와 생리기능
제 3 절 심 기능계
1. 심 기능계의 구성
2. 심 기능계의 생리적 특성
3. 심 기능계 소속 장기와 생리기능
제 4 절 비 기능계
1. 비 기능계의 구성
2. 비 기능계의 생리적 특성
3. 비 기능계 소속 장기와 생리기능
제 5 절 폐 기능계
xiv 동의생리학1. 폐 기능계의 구성
2. 폐 기능계의 생리적 특성
3. 폐 기능계 소속 장기와 생리기능
제 6 절 신 기능계
1. 신 기능계의 구성
2. 신 기능계의 생리적 특성
3. 신 기능계 소속 장기와 생리기능
제 7 절 명문, 심포, 삼초
1. 명문命門
2. 심포心包
3. 삼초三焦
4. 협관계의 의의
제 8 절 기항지부
1. 기항지부
제 9 절 장부 사이의 관계
1. 장과 장 사이의 관계
2. 장과 부 사이의 관계
3. 부와 부 사이의 관계
제 3 장 경락생리
제 1 절 경락의 개설
1. 경락의 개념
2. 경락 이론의 발전
3. 경락의 작용
4. 경락의 운용
제 2 절 경락의 기
차 례 xv1. 경기經氣의 구성
2. 경기經氣의 운행
3. 영기·위기 운행의 관점
제 3 절 경락 계통의 구성
1. 12경맥
2. 12경별
3. 기경8맥
4. 15락맥
5. 12경근
6. 12피부
제 4 절 경락의 생리체계
1. 육경
2. 육경의 작용 특성
3. 육경의 기화
제 4 장 정신생리
제 1 절 정신생리의 기초이론
1. 한의학 정신생리의 특징
2. 한의학 정신생리의 기초이론
제 2 절 오신과 칠정
1. 오신
2. 칠정
제 3 절 인 지
1. 감각과 지각
2. 기억
3. 사고
xvi 동의생리학제 4 절 수면과 꿈
제 5 장 부인, 소아생리
제 1 절 부인생리
1. 부인의 생리적 특성
2. 천계와 월경
3. 포胞
4. 유방과 유즙의 분비
5. 대帶
6. 태胎
7. 산産
제 2 절 소아생리
1. 소아의 생리적 특성
2. 경락양태經絡養胎
3. 변증變蒸
4. 오지, 오연증의 병태생리
제 6 장 양생, 노인생리
제 1 절 양생
1. 양생의 개념
2. 정신과 양생
3. 사시와 양생
4. 의식주와 양생
5. 수면, 방사, 운동과 양생
6. 한의학 양생이론의 현대적 의의
제 2 절 노인생리
차 례 xvii1. 노화의 개념
2. 노인의 생리적 특징
3. 수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제 7 장 체질생리
제 1 절 체질의 개념
제 2 절 『황제내경』의 체질이론
1. 『영추靈樞·통천通天』의 오태인론五態人論
2. 『영추靈樞·음양이십오인陰陽二十五人』의 오형인론五形人論
제 3 절 『동의수세보원』의 사상체질이론
1. 사상체질과 장국臟局 대소大小
2. 사상인의 생리 특성
3. 사상인의 병태생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