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2799270
· 쪽수 : 269쪽
· 출판일 : 2022-12-26
목차
서론: 보훈 정신과 전통을 성찰하며
제1부 민족의 위기와 독립정신
제1장 3·1운동 독립운동가의 희생정신과 보훈
Ⅰ. 서론
Ⅱ. 史: 3·1운동의 배경
Ⅲ. 史: 3·1운동의 전개
Ⅳ. 결론: 한국보훈정신史에서 본 3·1운동
제2장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독립투쟁: '공화주의'의 정립과 건국노선으로 계승
Ⅰ. 서론: 건국 정신의 승계와 보훈 정신의 정립
Ⅱ. 공화주의(共和主義)로의 복국(復國)을 위한 독립투쟁
Ⅲ. 한말(韓末) 이후 공화주의에 대한 개별적 인식과 건국노선으로의 정립
Ⅳ. 해방 직전 임시정부의 건국노선과 통합 활동
Ⅴ. 건국 가치의 보훈적 계승과 통일을 위한 통합성의 모색
제2부 국가안위와 호국정신
제3장 대한민국 안보를 위해 희생한 자의 정신적 유산
Ⅰ.서론
Ⅱ. 호국정신의 역사와 계승
Ⅲ. 6·25전쟁의 수행과 희생
Ⅳ. 정전협정 이후 북한의 대남 도발과 희생
Ⅴ. 월남전 파병에 따른 국군의 희생
Ⅵ. 결론
제4장 유엔군의 참전과 국제보훈
Ⅰ. 서론
Ⅱ. 유엔군 참전의 의의
Ⅲ. 세계인과 유엔군이 보여준 인류애와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Ⅳ. 「국제보훈」의 시행과 미래 발전 방향
Ⅴ. 결론
제3부 시민의 정치참여와 민주정신
제5장 4·19혁명과 민주정신: 전통 속의 시작과 보존
Ⅰ. 서론: 새로운 시작을 조명하며
Ⅱ. 정치 행위의 분출과 구질서의 제약
Ⅲ. 짙어지는 어둠을 밝히는 혁명정신
Ⅳ. 혁명정신의 보존과 확장(1): 역사적 이해와 정치 행위
Ⅴ. 혁명정신의 보존과 확장(2): 정책과 제도의 보완
Ⅵ. 결론: 정치적 전통을 생각하며
제6장 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의 발전: 5·18민주화운동과 보훈정책의 과거, 현재, 미래
Ⅰ. 서론: 민주주의와 가치 철학 중심의 보훈정책
Ⅱ. 민주주의와 민주화운동의 역사 및 의의
Ⅲ. 민주화운동과 보훈정책에 대한 분석 및 진단
Ⅳ. 민주화운동과 보훈정책의 미래발전 방향
Ⅴ. 결론: 독립·호국·민주 핵심가치와 보훈정책의 내실화
제4부 보훈정책과 제도
제7장 현행법상 국가보훈제도의 체계와 내용
Ⅰ. 서론
Ⅱ. 국가보훈제도의 규범적 의의 및 성격
Ⅲ. 국가보훈제도의 법적 근거
Ⅳ. 현행법상 국가보훈제도의 내용
Ⅴ. 국가보훈제도의 입법과제
제8장 보훈 법치행정과 정책집행
Ⅰ. 서론
Ⅱ. 보훈 법치행정과 실무
Ⅲ. 결론
저자 프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