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93294446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1-02-10
목차
Ⅰ. 스마트TV 개황과 산업 환경
1. 스마트TV 개요
1-1. 스마트TV 개념
1-2. 스마트TV 특징 및 유형
1) 스마트TV 특징
2) 스마트 TV의 유형
(1) 사업 주체별 분류
(2) 서비스 제공 기술 형태별 분류
1-3. 스마트TV와 기존 방송서비스와의 차이점
1-4. 스마트TV가 급부상하는 요인
1) 변화된 고객 니즈(Needs)
2)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
3) TV 대체재의 등장
1-5. 스마트TV가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애플리케이션(콘텐츠) 시장의 양적 성장
2) 콘텐츠 트랜드 변화
3) 방송시장 구도 변화
4) 법적규제 문제 대두
1-6. N스크린 시대 개막
1) N스크린 개요
2) N스크린 추진 전략
2. 스마트TV 관련 정책동향
2-1. 스마트TV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 - 방송통신위원회
1) 스마트TV 발전 전망
2) 국내 스마트TV 서비스 산업 경쟁력
3) 스마트TV 시대의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Ⅱ. 스마트TV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주요 사업자 동향
1-1. 구글 - Google TV
1) 구글(Google)社 업체 현황 및 최근 동향
2) 구글TV
(1) 개요 및 주요 스펙
(2) 구글TV 등장 배경
(3) 구글TV의 파트너십 구성 및 서비스 특징
3) 스마트TV 활성화 사업전략
(1) YouTube Leanback
(2) 4K 동영상 지원
(3) YouTube Partner Grant Program
4) 구글의 M&A 전략
1-2. 애플 - Apple TV
1) 애플(Apple)社 업체 현황 및 최근 동향
2) 애플TV
3) 스마트TV 활성화 사업전략
(1) 아이튠즈, 클라우딩 서비스와 결합
(2) 다양한 단말기와 연동
(3) 가격 전략
(4) 공급자보다는 소비자 먼저
1-3. 삼성전자
1) 일반현황 및 주요동향
2) 스마트TV 주요 내용
(1) 개요 및 주요 스펙
(2) 스마트TV 추진 이력
(3) 콘텐츠
3) 스마트TV 관련 사업전략
(1) 2011년 매출 200조, 영업이익 20조 목표
(2) 국가별 맞춤형 TV앱으로 스마트TV 선도
(3) 내부 생산 중심
(4) 스마트TV에 지도·소셜 서비스 제공(daum 제공)
(5) SK커뮤니케이션즈와 협력 - 싸이월드 콘텐츠 제공
1-4. LG전자
1) 일반현황 및 주요동향
2) 스마트TV 관련 사업전략
(1) 스마트TV (나노 풀 LED TV - LW9500)
(2) 자체 OS‘넷 캐스트 2.0’/ 스마트셰어
(3) 컨텐츠 확대 노력
(4) 스마트TV 업그레이더(Upgrader)
(5) CJ와 스마트TV 콘텐츠 협력 강화
1-5. 소니
1) 일반현황 및 주요동향
2) 스마트TV 관련 사업전략
(1) 수직적 통합에 강점
(2) 최초 구글 플랫폼을 탑재한 스마트TV 출시
(3) 인터넷 + TV
(4) 디바이스 + 콘텐츠 유통 전략
(5) 외부 중심 생산 시스템 전환으로 콘텐츠에 집중
1-6. 마이크로소프트(MS)
1) 일반현황 및 주요동향
2) 스마트TV 관련 사업전략 - 전용 OS 발표
1-7. 파나소닉(Panasonic)
1) 일반현황 및 주요동향
2) 스마트TV 관련 사업전략
1-8. 로지텍(Logitech)
1) 일반현황 및 주요동향
2) 스마트TV 관련 사업전략
2. 스마트TV 시장동향과 전망
2-1. 글로벌 스마트TV 시장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스마트TV 시장규모 및 전망
2) 글로벌 스마트TV 경쟁 구도
3) 세계 유료 TV 시장 확대
4) 스마트TV로의 진화
2-2. 구글TV와 애플TV 비교 분석
1) 구조와 기능
2) 애플리케이션
3) 개방형 對 폐쇄형
2-3. 국내 스마트TV 시장동향 및 전망
1)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2) 스마트TV 확대에 따른 영향
3) 스마트TV 가치사슬(Value Chain) 분석
2-4. 스마트TV의 성공요인
1) 수익모델 확보 & 규제 극복
2) 프리미엄 콘텐츠 제공
3) 진화된 UI(User Interface) 제공
4) 콘텐츠 개발을 위한 생태계 구축
Ⅲ. 스마트TV 관련 기술 동향
1. 스마트TV의 하드웨어 주요 요소
1-1. 셋톱박스
1-2. 유저 인터페이스(입력장치)
2. 스마트TV의 소프트웨어 주요 요소
2-1. 플랫폼 - OS
1) 구글 OS - 안드로이드(Android)
(1) 개요
(2) 구조
2) 애플 OS - iOS
(1) 개요 및 구조
(2) iOS4 주요 특징
3) 삼성전자 OS - Bada 2.0
4) LG전자 OS - 넷캐스트 2.0
2-2. 스마트 TV 전용 콘텐츠
Ⅳ. 스마트TV와 관련산업 동향과 전망
1. 모바일 콘텐츠 산업동향
1-1. 개요 및 모바일 콘텐츠 산업동향
1) 모바일콘텐츠의 정의
2) 콘텐츠 중요성 증가
3) 모바일콘텐츠산업 시장규모
1-2. 모바일 게임 산업동향
1) 글로벌 모바일게임 산업동향
(1) 글로벌 게임 및 모바일게임 시장 규모
(2) 글로벌 모바일게임 주요 동향
(3)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 주요 동향
2) 국내 게임 산업동향
(1) 국내 게임 및 모바일게임 시장 규모
(2) 모바일 게임 시장 확대 - 국내 업체 선전
(3) 일본과의 경쟁 심화
(4) 개인 개발자들의 활약
(5) 사전심의제로 인한 장애요소
(6) 국내 게임 이용 현황(한국콘텐츠진흥원)
1-3. 모바일 음악 시장동향
1) 글로벌 시장규모와 주요 업체 동향
2) 국내 시장규모와 주요 동향
(1) 국내 시장 규모
(2) 국내 음원시장 정체 전망
(3) 주요 업체 최근동향
1-4. 차세대 콘텐츠 개발 사업
1-5. 모바일 광고 시장
1) 글로벌 모바일 광고시장 동향 및 전망
(1) 세계 모바일 광고시장 전망
(2) 국내 온라인 광고시장 전망
2) 주요 업체 동향
(1) 구글
(2) 애플
(3) SK텔레콤
(4) LG U+
(5) KT
(6) 삼성전자
(7) 네이버
(8) 다음
(9) 카울리(CAULY)
(10) 이스트소프트
2. 수요가 급증하는 디스플레이 시장동향
2-1. 디스플레이 개요
1) 개요
2) 디스플레이 종류
(1) CRT
(2) LCD
(3) PDP
(4) OLED
2-2. 디스플레이 시장 및 주요업체 동향
1) 전체 시장 동향 및 전망
2) LCD 시장 및 주요 업체 동향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PDP 시장 및 주요 업체 동향
(1) PDP 패널
(2) PDP TV
4) OLED 시장 및 주요 업체 동향
2-3. 3D 기술, 시장 및 주요업체 동향
1) 개념 및 주요 구현 기술 동향
2) 3D와 4세대 이동통신
3) 3D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 및 전망
4) 3D 표준화
5) 업체동향
(1) 잘만테크
(2) 코텍(Kortek)
(3) 현대 아이티(HDIT)
(4) 파버나인코리아
(5) 삼성전자
(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7) LG전자
6) 3D분야 기술개발 로드맵과 3D 분야별 Top Brand
(1) 3D 기기/장비분야
(2) 3D 융합서비스 분야
(3) 3D 콘텐츠 분야
(4) 3D 방송서비스 분야
3. 디지털 셋톱박스 시장동향
3-1. 개요
3-2. 기술동향
1) 하이브리드(Hybrid) 셋톱박스
2) 하이엔드 셋톱박스
3) 고해상도 단일 칩 기술
4) 셋톱박스 스마트化
3-3. 글로벌 시장 동향 및 전망
1)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2) 국내 시장동향
3-4. 주요 업체 동향
1) 해외 주요 업체 동향
(1) Thomson
(2) 모토로라(Motorola)
2) 국내 주요 업체 동향
(1) 휴맥스
(2) 토필드
(3) 가온미디어
(4) 샐런
(5) LG CNS
(6) 에스제이텍
(7) 홈캐스트
(8) 아리온테크놀로지
Ⅴ. 부록[참고자료]
1. 스마트TV의 영향과 정책과제
2. 유럽연합(EU) 콘텐츠산업 정책의 배경과 현안
3. 2010 IT 수출입 동향
4. 10대 방송 통신 미래 서비스 전략
5. 차세대(4G) 모바일 주도권 확보 전략
6. 디지털TV / 방송 관련 통계
7. 디스플레이 관련 통계 및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