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88993746693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0-04-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가족의 건강을 지키고 싶은 당신에게
1장 생활 속 제품, 이렇게 사용하세요
1. 유아(~ 만 3세)
(1) 기저귀
(2) 물티슈
(3) 음식 용기
(4) 놀이 매트
2. 아동(만 4세 ~ 만 6세)
(1) 장난감
(2) 치약
(3) 모기(진드기) ·벌레 기피제
(4) 놀이터
3. 학생(만 7세 ~ 만 14세)
(1) 학용품
(2) 가구
(3) 침대
(4) 컴퓨터 ·프린터
4. 가족
(1) 주방 세제
(2) 가스레인지
(3) 옷
(4) 침구류
(5)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6) 세정제
(7) 방향제 ·향초
(8) 자동차
(9) 보건용 마스크
(10) 손 소독제
2장 생활 속 유해물질, 확인하세요
1. 어린이 용품에서 자주 검출되는 중금속
2. 임산부가 더욱 주의해야 하는 프탈레이트류
3. 눈, 코, 입을 자극하는 폼알데하이드
4. 천식의 주요 원인 진드기
5. 폐암을 유발하는 라돈
6.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알킬페놀류
7. 뇌와 신경에 위험한 PBDEs
8. 음식과 함께 흡입될 수 있는 비스페놀-A
9. 금속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니켈
10. 드라이클리닝 물질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1. 자동차 배기가스에 포함된 벤젠
12.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물질 CMIT/MIT
13. 몸속으로 쉽게 침투하는 미세먼지
14. 기타 유해물질
3장 안전한 집 만들기 위한 필수 상식
1. 아이가 유해물질에 더 취약한 이유
2. 안전을 지키는 6가지 절대 생활 수칙
3. 리콜 제품 확인하기
4. 친환경제품 확인하기
5.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확인하기
6. 환경 상식 키우기
부록
1. 우리 집 안전 체크리스트(장소별/상황별)
2. 중점관리물질 목록(204개)
3. 국가 인증 친환경제품 목록(165개)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또한 피부염, 각막염, 중추신경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납과, 신장이나 호흡기 부작용 및 학습 능력 저하 우려가 있는 카드뮴이 어린이 장난감에서 배출된 바 있습니다. 이 중 납은 많은 연구에서, 아이들에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증후군(ADHD), 인지 기능 발달의 지연, 학습 능력 저하 등 행동 또는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납은 칼슘과 단단히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 몸속으로 들어오면 뼈에 칼슘 대신 흡수되며 나중에 혈류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납은 가공이 쉽고 색 조성이 잘되는 장점이 있어 주로 장난감에 칠하는 페인트(도료)에 사용됩니다. 페인트가 칠해진 자동차 장난감이나 염료 색이 강한 플라스틱 장난감을 가지고 놀 경우 입에 절대 넣지 않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액체 등 새로운 형태와 재질의 장난감이 개발되면서 BIT, 붕소 등 신규 유해물질이 배출되는 것으로 밝혀져, 장난감 구매 및 사용에 부모의 주의가 더 크게 요구됩니다.
― 1장 생활 속 제품 이렇게 사용하세요
그런데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서는 세제의 친환경 측면을 고려하여 고가의 해외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해외 제품과 관련해, 국내에서 원료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물질 CMIT/MIT가 배출되었다는 소식이 종종 발표됩니다.
CMIT/MIT는 미생물 증식을 막거나 지연시켜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는 보존제 성분입니다. 인체에 노출 시 피부, 호흡기, 눈에 강한 자극을 줍니다. 더욱이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사건의 원인 물질로 판정되면서 국내에서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아직 사용을 허가하고 있으므로, 해외 주방세제를 구입할 때에는 해당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고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1장 생활 속 제품 이렇게 사용하세요
어린이용 가구 : 새 가구는 초기에 다량의 폼알데하이드를 방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사용하기 전에 가구 문을 활짝 열고 장시간 환기를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구를 고를 때에는 공장에서 갓 생산된 제품보다는 가게 전시장이나 창고에서 한동안 머물러 냄새가 거의 다 방출된 제품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옷 : 되도록 화학 냄새가 적은 옷을 구매하도록 합니다. 새 옷을 입기 전에는 반드시 세탁 후 햇볕에 말려 입도록 합니다. 침구류 제품 고유의 냄새가 많이 나는 것을 구매하지 않아야 하며, "폼알데하이드 무첨가 "라고 기재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 폼알데하이드는 높은 실내 온도와 습도에서 방출이 증가합니다. 집의 온도(여름철 기준 25~26℃)와 습도(40~60%)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충분한 환기를 실시하는 것이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담배 연기와 자동차 가스는 폼알데하이드의 주요 노출원으로, 외출 시에는 아이가 담배 연기가 많은 장소나 교통량이 많은 시간의 도로 주변에는 가까이 가지 않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 2장 생활 속 유해물질 확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