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철필천추

철필천추

(몽무 최재석의 전각과 벼루 이야기)

최재석 (지은이)
연암서가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350원
31,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2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철필천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철필천추 (몽무 최재석의 전각과 벼루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서예
· ISBN : 9788994054810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6-01-20

책 소개

몽무 최재석의 전각과 벼루 이야기.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는 동양화가이지 서예가, 전각가인 몽무 최재석 선생의 작품집이다. 디지털 시대를 거슬러 아날로그적 사고를 일깨우며, 사고의 영역을 확장시켜 줄 작품들이 실려 있다.

목차

머리말
도판목록

1부 전각, 사방 한 치의 세계로 들어가며
전각 창작에 있어서 서예의 중요성
왜 한인(漢印)인가?_인지종한(印之宗漢)
고새인풍(古璽印風)의 유혹
무리를 떠남을 생각하다(思離群)_유파인(流派印) 전각의 개성
도법(刀法)_철필(鐵筆)의 운용
전각의 주요 기법_잔파(殘破)
만듦과 만들지 않음의 사이
전각 창작과 석인재(石印材)
작은 비석(袖珍碑刻)_변관(邊款)
사의인풍(寫意印風)
전각 예술의 전통(古)과 현대(今)

2부 전각_방촌지경(方寸之境) 1

3부 전각_방촌지경(方寸之境) 2

4부 벼루_연전낙사(硯田樂事)

저자소개

최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영암에서 출생하였다. 아호는 몽무(夢務), 재호는 몽오재(夢悟齋), 불여묵재(不如?齋), 관수재(觀水齋)이다. 동국진체의 맥을 잇는 학정 이돈흥 선생을 사사하였다. 원광대학교 서예학과에서 서예와 전각 문인화를 전공하였고, 중국 최고의 미술대학인 베이징 중앙미술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예와 회화 비교연구센터에서 중국의 대표적인 서예이론가인 치우전중(邱振中) 선생을 지도교수로 하여 서예, 전각, 회화의 창작과 이론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한민국 미술대전 최우수상, 송곡 안규동 선생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송곡서예상, 중국서령인사에서 주최하는 국제전각전에서 우수작가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한국전각협회 청년위원장, 전각그룹 연경학인회의 회장을 맡고 있다. 몽오재에 주재하면서 서예, 전각, 수묵화를 넘나들며 왕성한 작품 활동 및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예가는 전각가가 될 필요가 없지만, 전각가는 반드시 서예가여야 한다(書法家未必是篆刻家, 而篆刻家必定是書法家)”는 말이 있다. 이는 전각 창작을 위해서는 반드시 서예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말로 일가를 이룬 전각가들의 보편적 견해이기도 하다. 또한 올바른 전각의 감상과 이해를 돕고 좋은 전각 작품을 하기 위해서 서예에 조예가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필법, 장법을 파악하고, 문자의 원류, 결구 규율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서예의 운필(運筆)이 고도로 숙련된 사람은 운도(運刀)에 있어서도 일정기간 재료의 특성만 익히면 그 표현에 있어 더욱 자유자재하다. 전각은 도필(刀筆)을 주요 표현 수단으로 하는 예술이며, 도필은 반드시 인문(印文)과 혼연일체가 되어야 한다. 서예 작품이든, 회화 작품이든 인장과 화제가 부족한 작품을 보면 자연스레 서격(書格)과 화격(畵格)이 떨어져 보이는 현상도 이 때문이다.


전각에서 문자는 주요한 표현 대상이다. 그 중 전서(篆書)는 전각을 새기는 가장 주요한 서체라고 할 수 있다. 전서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진(秦)이 육국(六國)을 통일한 후 이사(李斯)가 문자를 정리하면서 당시의 관청 서체인 소전(小篆)이 보편화되기 시작한다. 소전(小篆)의 선질과 결구의 특징은 인장에 더욱 부합되었을 것이나 진(秦)의 전서를 인장에 오롯이 사용하기엔 문제가 있었을 것이다. 당시 소전의 윗부분은 긴밀하고 아래 부분은 성긴 결구의 특징과 정방형이 주가 되는 인장 형식은 조화롭게 통일되지 않았다. 그래서 소전은 진(秦)나라 인장의 주류가 되지 못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한(漢)나라 “무전(繆篆)”이 출현한 이후에 점차 해결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근래 빈번한 국제 교류전과 국내외의 전각 전시를 보면 고새(古璽) 풍격의 작품을 비교적 많이 접할 수 있다. 고새인(古璽印) 풍격의 전각을 창작하는 추세는 시대의 심미취향과 관계있을 것이다. 고새인의 장법과 결구는 독특한 자태를 띠고 있고 몽환적이며 변화가 많아 포착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계획되지 않은 즉흥적 느낌을 준다. 고고학의 발전, 출판매체의 발달로 인해 수많은 고금(古今)의 명적(名籍)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고새인풍격의 창작을 하기 위한 풍부한 자료와 이론을 확보하게 된 이유도 있다. 전각 예술은 이미 본연의 임무라고 여겨졌던 그림과 글씨에 부가되어 찍힌 일종의 부속(附屬)의 시기를 지나 하나의 독립된 예술의 시기로 진입하였다. 오늘날 전각 창작은 다원화되고 개방적 형태로 변모해 가고 있다. 창작의 제재, 공구와 재료, 전시회의 방식 등이 전통적 개념의 전각과는 많이 달라지고 있다. 전각 예술의 독립에 있어 고새인은 그 중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고, 보다 넓은 창작 공간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