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산업 기술개발현황과 글로벌 시장전략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산업 기술개발현황과 글로벌 시장전략

R&D정보센터 (지은이)
지식산업정보원
28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산업 기술개발현황과 글로벌 시장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산업 기술개발현황과 글로벌 시장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병원/의약품 산업 > 의약품 업계
· ISBN : 9788994111377
· 쪽수 : 530쪽
· 출판일 : 2012-09-11

책 소개

‘바이오산업’과 ‘의약품산업’에 대한 주요 현황을 정리하였으며 ‘국내의 2011년도 바이오의약품 주요성과와 2012년 전망’을 통해 향후 바이오의약품 시장동향을 수록 정리하였으며 또한, 시장 잠재력이 큰 바이오시밀러의 개발현황과 전략방안을 수록하였다.

목차

제1편 바이오산업과 의약품산업
제Ⅰ장 바이오산업
1. 바이오산업의 범위 및 특성
1) 바이오산업의 정의 2) 바이오산업의 범위 (응용 분야) 3) 바이오산업의 특징
(1) 기술, 지식 집약적 고부가 가치 산업
(2) 첨단산업 중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산업
(3) 사회적 ?제도적 인식전환과 보완이 필요
2. 기술동향 및 트렌드
1) 개요 2) 향후 경쟁 환경 변화 및 트렌드
(1) 기술 개발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시각이 공존
(2) 연구 방법론의 변화는 기술적 패러다임의 변화
(3)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한 사업의 다각화 및 통합화 촉진
(4) 지적재산권 확보 경쟁의 가속화
(5) 연구개발 비용의 증가를 극복하기 위한 제휴 추진
3) 기술 개발 및 산업화 애로요인
(1) 기술개발 측면 (부품?소재 기술 포함) (2) 인프라?시장 측면 애로사항
가. 인력 나. 기술기반 (산학연공동연구기반, 표준화, 정보화 등)
다. 국제협력기반 (국제공동연구 등)
(3) 제조생산기반 애로사항 (4) 마케팅?시장여건 애로사항
(5) 디자인?서비스?컨텐츠 및 주변산업측면 애로사항
(6) 법?제도?규제측면 애로사항
3.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
1) 바이오산업체 일반 현황
(1) 바이오산업체의 재무상태 분석 (2)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비즈니스 추진 유형
2) 바이오산업 인력 현황 (1) 2010년 인력 현황
가. 분야별 인력 분석 나. 학위별 인력 분석
(2) 최근 연구, 생산인력 변화 추이
가. 2008년~2010년 연구, 생산인력 변화 추이
나. 2006년~2010년 연구, 생산인력 변화 추이
3) 바이오산업 투자 현황 (1) 2010년 투자 현황 (2) 최근 투자 변화 추이
4) 바이오산업 수급 현황 (1) 2010년 수급 현황 (2) 최근 수급 변화 추이
5) 바이오산업 국내판매 현황 (1) 2010년 국내판매 현황 (2) 최근 국내판매 변화 추이
6) 바이오산업 수출 현황 (1) 2010년 수출 현황 (2) 최근 수출 변화 추이
7) 바이오산업 수입 현황 (1) 2010년 수입 현황 (2) 최근 수입 변화 추이
제Ⅱ장 의약품산업
1. 국내 의약품산업 현황
1) 의약품산업의 정의 2) 의약품산업의 특성 3) 의약품 정책동향
(1) HT산업 북미시장 진출 특화 전략 (콜럼버스 프로젝트 / ’11.03)
(2) 약가제도 개편 및 제약산업 선진화 방안 (’11.08)
4) 의약품 시장동향 (1) 생산실적 (2) 약효군별 생산실적 (3) 의약품 수출 현황
가. 수출 동향 나. 국가별 수출 동향
(4) 의약품 수입 현황 가. 수입 동향 나. 국가별 수입 동향
5) 의약품 경영성과 (1) 성장성 주요 지표 가. 매출액 증가율 나. 유형자산 증가율
(2) 수익성 지표 가. 매출액 영업이익률 나. 매출액 대 EBIT
다. 매출원가율 라. 매출액 대 판매관리비
(3) 안정성 주요 지표 가. 부채비율 나. 유동비율
6) 주요 제약사 2011년 경영실적
2. 세계시장 의약품 현황 1) 세계시장 규모
2) 주요 제약회사별 의약품 판매현황 3) 질환군별 제품별??제약사별 세계 의약품 시장규모
4) 주요 의약품기업 현황 (1) Pfizer 가. 일반현황 나. 매출현황 다. 재무현황
(2) Takeda 가. 일반현황 나. 매출현황 다. 재무현황
(3) Sanofi-Aventis 가. 일반현황 나. 매출현황 다. 재무현황
(4) Merck&Co. 가. 일반현황 나. 매출현황 다. 재무현황
(5) Novartis AG 가. 일반현황 나. 매출현황 다. 재무현황
(6) Bayer 가. 일반현황 나. 매출현황 다. 재무현황
(7) Teva 가. 일반현황 나. 매출현황 다. 재무현황
제Ⅲ장 의약 바이오산업
1. 의약 바이오 개요 1) 산업의 정의 2) 산업의 범위
2. 바이오산업의 환경 변화
1) 정책??제도적 환경 (1) 정책적 클러스터 전략 (2) 국가 핵심산업으로의 육성
2) 경제적 환경 (1) 의료비용의 급증 (2) 시장의 확대 및 다변화
3) 사회적 환경 (1)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구 증대
(2) 고령화 사회 도래 및 생산인구 감소 (3) 안전성이 확보된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요구 증가
4) 기술적 환경 (1) 유전자 분석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2) 만성?난치성 질환 발병율 증가에 따른 바이오신약 개발 요구 확대
(3) 바이오마커에 의한 예방의학으로 변화 (4) 개인맞춤형 치료방식으로의 변화
5) 경쟁국 전략 (1) 국가연구개발투자의 핵심기술에 대한 집중과 사업화 역량이 중요
(2) 제약산업의 R&D효율성 및 고위험성 문제 해결 (3) 바이오연료의 지속적인 성장 예상
3. 의약 바이오 산업동향
1) 시장 동향 (1) 해외시장 동향 (2) 국내시장 동향
2) 기술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2) 국내 기술 동향
가. 작용점관련 기술 나. 신약 후보물질관련 기술
다. 재조합 생물의약품 및 재생의약 치료제기술의 발전
라. 미생물/세포배양기술의 최적화 경쟁 치열
3) 기업 동향 (1) 가치사슬 현황 (2) 국내외 주요기업 현황
가. 해외현황 나. 국내업체 현황
4) 의약 바이오 표준화동향
(1) 바이오의약품 인허가 및 품질관리에 있어서 표준화의 중요성
(2) 바이오의약품 제조에 있어 표준화
(3) 지경부 지원하의 바이오의약 생산시설 기반구축을 위한 표준화 작업
4. 의약 바이오 유망기술
1) 개요 2) 메가트렌드 분석
(1) 신개념 3P 치료제 상용화 (2) 재조합 생물의약품 시장확대
5. 기술개발 전략
1) 개요 (1) 핵심주력제품군의 도출 경로 (2) 개정 내용
2) 핵심주력제품군별 기술로드맵 (신개념 치료제) (1) 개요 (2) 개정 내용
3) 핵심타깃제품 및 산업원천기술 (1) 핵심타깃제품의 구성
가. 개량신약 나. 단백질의약품 다. 항체의약품 라. 세포치료제
(2) 핵심타깃제품 (3) 산업원천기술 가. 제형변경 개량신약 개발기술
나. 복합제 및 신규용도 개량신약 개발기술 다. 구조변경 개량신약 개발기술
라. 항체 개량기술 마. 항체 생산기술 바. 단백질 의약품 생산기술
사. 세포치료제 개발기술 아. 세포 분화 기술
(4) 신개념치료제 관련 기지원 과제 리스트

제2편 바이오의약품
제Ⅰ장 바이오의약품(Biologics, 생물의약품) 산업
1. 바이오의약품 산업 현황
1) 바이오의약품 개요 (1) 바이오의약품의 정의 (2) 바이오의약품의 진화과정
가. 바이오의약품 시대 나. 화학 합성의약품(chemical drug)과 바이오의약품(biologics)
(3) 바이오의약품의 세대별 구분
가. 1세대 바이오의약품: 인슐린, 백신 등
나. 2세대 바이오의약품: 항체의약품(mAb), 유전자치료제 등
다. 1.5세대 바이오의약품: 서방형 제제 및 경구용 제제 등
라.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줄기세포치료제
(4) 바이오의약품의 분류
가. 백신 나. 단백질치료제 다. 항체치료제
2) 항체의약품의 개발동향
3)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현황
4) 바이오의약품 현황
5) 해외 바이오의약품 현황 (1) 세계의약시장 메가트렌드
(2) 특허만료와 연구개발 생산성의 약화
(3) 연구개발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
(4) 시장 현황 (5) 기업 현황
가. Amgen Inc. 나. Biogen Idec. 다. Cephalon 라. Eil Lilly & Co.
마. F. Hoffmann-La Roche Ltd. 바. GlaxoSmithKline plc.
사. GlaxoSmithKline plc. 아. Novartis AG. 자. Pfizer Inc. 차. Sanofi-Aventis
6) 국내 바이오의약품 현황
(1) 시장 현황 (2)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바이오시밀러 현황
(3) 기업 현황 가. 녹십자 나. 동아제약 다. 셀트리온
라. 유한양행 마. JW중외제약 바. 한미약품 사. LG생명과학
2. 바이오의약품 개발 동향
1) 의의 2) 바이오의약품과 신약개발
3) 세부기술 개발동향과 기술특성 분석
(1) 면역치료제 가. 세부기술 개발동향 나. 기술특성 분석
(2) 세포치료제 가. 세부기술 개발동향 나. 기술특성 분석
(3) 유전자치료제 가. 세부기술 개발동향 나. 기술특성 분석
(4) 약물전달체계 가. 세부기술 개발동향 나. 기술특성 분석
(5) 신약개발 기반기술 가. 세부기술 개발동향 나. 기술특성 분석
3. 바이오의약품 특허현황 분석
1) 분석범위 2) 분석결과 3) 주요제품 특허분석
(1) Remicade (infliximab) (2) Humira (Adalimumab)
(3) Enbrel (Etanercept) (4) Rituxan (Rituximab)
(5) Avastin (Bevacizumab) (6) Erbitux (Cetuximab)
(7) Herceptin (Trastuzumab) (8) EPO (Human Erythropoietin)
제Ⅱ장 바이오의약품 제품시장 동향
1. 단백질의약품
1)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개념 (2) 범위 및 분류
2) 시장 동향 (1) 해외시장 동향 (2) 국내시장 동향
3) 기업 동향 (1) 해외기업 동향
가. 재조합 융합형 단백질신약 나. 고분자 결합형 단백질신약
다. 주사형 단백질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라. 비주사형 단백질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2) 국내기업 동향 가. 제네릭제품 및 체내 반감기 제고 차세대 제품개발 강화
나. 2세대 투여경로 지속형 주사제 개발 추진 다. 3세대 투여경로 비주사형 개발 추진
4) 기술 동향
(1) 해외기술 동향 가. 2세대 단백질의약품 개발기술 나. 단백질 모델링 및 재설계기술
(2) 국내기술 동향 가. 산업화기술 동향 나. 기반기술 동향
5)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정부부문 가. 해외 개황 나. 국내 현황
(2) 민간부문 가. 해외 개황 나. 국내 현황
(3) SWOT 분석
2. 항체의약품
1)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개념 (2) 범위 및 분류
가. 기술 범위 및 분류 나. 제품 범위 및 분류
2) 시장 동향
(1) 해외시장 동향 가. 세계시장 현황 나. 세계시장 전망 다. 제품판매 현황
(2) 국내시장 동향 가. 국내시장 현황 나. 국내시장 전망
3) 기업 동향
(1) 해외기업 동향 가. Roche사 등 4개 리드기업 나. 해외시장 진입경쟁 치열
(2). 국내기업 동향 가. 기업 동향 나. 관련기관 동향 다. 개발 현황
4) 기술 동향 (1) 해외기술 동향 가. 항체 타겟 발굴기술
나. 항체 성능 개량기술 다. 항체 생산공정 개발기술 (2) 국내기술 동향
5)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정부부문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2) 민간부문
6) SWOT 분석
3. 백신 1)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개념 가. 백신의 정의 나. 백신의 개발사
(2) 범위 및 분류 가. 제조형태별 범위 및 분류
나. 백신개발의 변화 동향 및 성공적인 백신의 조건
2) 시장 동향 (1) 해외시장 동향 가. Major 5개사 나. 신흥 및 성장 백신시장
(2) 국내시장 동향
3) 기업 동향 (1) 해외기업 동향 (2) 국내기업 동향
4) 기술 동향 (1) 해외기술 동향 가. 해외기술개발 추세
나. 백신기업의 해외분포 현황 다. 5대 시장규모 백신의 해외개발 현황
라. 메이저 5개 기업 제외의 임상 및 비임상시험 개발품목 및 현황 (2) 국내기술 동향
5)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정부부문 가.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방향 나. 우리나라 정부의 R&D 투자동향
(2) 민간부문 6) SWOT 분석
4. 유전자의약품
1) 정의 및 범위 (1) 유전자의약품의 개념 (2) 유전자의약품의 분류
가. 유전자치료제 나. Antisense 치료제(RNAi, Aptamer, Ribozyme 포함)
2) 시장 동향 (1) 해외시장 동향
가. 유전자치료제 시장 및 임상시험 현황 나. 항암 유전자치료제 개발현황
다. 심혈관계 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현황 라. 파킨슨병 유전자치료제 개발현황
마. Antisense 치료제와 RNAi, Aptamer, Ribozyme 시장예측
(2) 국내시장 동향 가. 국내 개발 현황 나. 수요 예측
3) 기업 동향 (1) 해외기업 동향 가. 제품개발 현황 나. 기업 현황 다. 향후 전망
(2) 국내기업 동향 가. 제품개발 현황 나. 기업 현황 다. 향후 전망
4) 기술 동향 (1) 해외기술 동향 가. 미국의 유전자치료제기술 동향
나. 유럽(EU)의 유전자치료제기술 동향 다. 일본의 유전자치료제기술 동향
(2) 국내기술 동향 가. 국내 유전자치료 연구개발의 일반 동향 나. 분야별 기술개발 현황
5)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정부부문 가. 차세대 성장동력사업으로 바이오신약/장기부문 선정
나. 바이오신약/장기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안 확정 다. 유전자치료제 개발 포함
(2) 민간부문 가. 신약 개발 및 유전자치료제 임상개발 현황
나. 유전자치료제 투자 현황 6) SWOT 분석
5. 재생의약품 1)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개념 (2) 범위 및 분류
가. 범위 및 분류의 구분 나. 구분별 세부내용 (3) 총괄 개발전략
2) 시장 동향 (1) 해외시장 동향 가. 세계시장
나. 미국시장 다. 유럽(EU)시장 라. 일본시장 (2) 국내시장 동향
3) 기업 동향 (1) 해외기업 동향 가. 미국 동향
나. 상처치료 시장을 통해 본 재생의약제품 해외기업 동향 (2) 국내기업 동향
4) 기술 동향 (1) 해외기술 동향
가. 5가지 중분류별 세계 1위 국가의 기술수준
나. 미국 동향 다. 유럽(EU) 동향 라. 일본 동향 (2) 국내기술 동향
5)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정부부문 가. 정책적 및 사회적 측면 나. R&D 투자동향
(2) 민간부문 6) SWOT 분석
6. 약물전달시스템
1)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개념 가. 정의 나. 특성
(2) 범위 및 분류 가. 지속성 약물방출시스템 나. 제어방출시스템
다. 표적지향적 약물전달시스템 라. 약물전달에 이용되는 기술사례
마. DDS 바이오신약 바. 바이오의약 전달에 이용되는 기술사례
2) 시장 동향 (1) 해외시장 동향 (2) 국내시장 동향
가. 약물전달시스템 국내시장 전망분석 나. 약물전달시스템 시장진입 전략분석
3) 기업 동향 (1) 해외기업 동향
가. 의약품 전체 DDS 해외기업 동향 나. 바이오의약품 DDS 해외기업 동향
(2) 국내기업 동향
가. 의약품 전체 DDS 국내기업 동향 나. 바이오의약품 DDS 국내기업 동향
4) 기술 동향 (1) 해외기술 동향
가. 약물전달시스템 동향 나. 바이오의약 DDS기술 동향
(2) 국내기술 동향 가. 약물전달시스템 나. 바이오의약 전달시스템
5)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정부부문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2) 민간부문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6) SWOT 분석
7. 저분자의약품 1)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개념
가. 저분자의약품 및 저분자신약 나. 분자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저분자의약품
(2) 범위 및 분류 가. 일반적인 범위 및 분류 나. 저분자 의약품의 비중
다. 신약의 기술적 및 경제적 위치
2) 시장 동향 (1) 해외시장 동향 가. 세계시장 규모 나. Pipeline 및 출시 의약품
(2) 국내시장 동향
3) 기업 동향 (1) 해외기업 동향 가. 세계적인 동향 나. 미국 동향
다. 유럽(EU) 동향 라. 일본 동향 (2) 국내기업 동향
4) 기술 동향 (1) 해외기술 동향 가. 저분자의약품 개발기술
나. 개량신약 개발기술 (2) 국내기술 동향
5)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정부부문 가. 신약개발 연구개발 추진전략 수립 나. 연구개발비 지원 현황
(2) 민간부문 가. 미국 나. 국내 6) SWOT 분석
8. 천연물의약품 1)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개념
가. 천연물의 정의 및 개념 나. 생약의 정의 및 개념
(2) 범위 및 분류 가. 국내의 범위 및 분류 나 해외의 범위 및 분류
2) 시장 동향 (1) 해외시장 동향 가. 전반적인 동향
나. 미국 다. 유럽 라. 일본 마. 중국 (2) 국내시장 동향
3) 기업 동향 (1) 해외기업 동향 가. 미국기업 동향
나. 유럽(EU)기업 동향 다. 일본기업 동향 라. 중국기업 동향
(2) 국내기업 동향 가. 천연물신약 제품화 성공사례 동아제약과 SK
나. 국내 바이오벤처기업들도 경쟁적으로 천연물제제 연구 주력
4) 기술 동향 (1) 해외기술 동향
가. 미국 나. 유럽(EU) 다. 일본 라. 중국
(2) 국내기술 동향
가. 경제적인 연구기간 및 개발비 나. 천연물관련 연구인프라 부족
다. 개발 중인 천연물의약품 라. 천연물의약품 특허 동향
5)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정부부문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2) 민간부문 6) SWOT 분석
제Ⅲ장 국내 '11년도 바이오의약품 주요 성과 및 '12년 전망
1. ‘11년도 바이오의약품 주요 성과
1) 정책 추진 내용 (1) 바이오의약품 안전관리 기반 강화
(2) 바이오의약품 허가·심사기준 재정비를 통한 제품 산업 지원
(3) 바이오의약품 국제적 신뢰도 향상 강구
2) 주요 성과 (1) 세계 최초 줄기세포치료제 허가
(2) 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 허가 급증
(3) 전체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 분야 급성장
2. ‘12년도 바이오의약품 전망
1) 정책 추진 방향 (1) 허가심사 체계의 선진화를 통한 완벽 예방
(2) 바이오의약품 허가심사 일관성??투명성 제고
(3)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신속대응
(4) 바이오의약품 선진 규제기관으로의 위상제고
2) 향후 바이오의약품 전망 (1) 세계 시장규모 확대
(2) 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 급증 추세 지속
(3) 줄기세포치료제 등 첨단바이오의약품의 허가 가능성

제3편 바이오시밀러/바이오베터
제Ⅰ장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산업
1. 바이오시밀러산업의 개념 1) 개요
2) 바이오산업 및 제약 산업의 분류 3) 바이오시밀러와 제너릭과의 차이점
4) 바이오시밀러 산업의 성장기회 5) 바이오시밀러 산업 경쟁력
(1) 높은 기술수준 및 대규모 자본투자 요구 가. 기술요인 나. 대규모 초기 투자
(2) 기존 메이저업체들과의 경쟁요인
가. 가격경쟁 및 마케팅 능력 나. 선진국시장 진입 경쟁력
2.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개발현황
1) 개발 장벽 (1) 기술 장벽 (2) 승인·제조 비용 및 대규모 설비 투자
(3) 품질 관리(Quality Control, QC)
(4) 생물학적 동등성(Biological Equivalence) 증명 (5) 임상 시험 (6) 제도
2) 바이오시밀러의 연구개발 과정
(1) 바이오시밀러의 허가 현황 (2) 바이오시밀러의 개발 현황
(3) 바이오시밀러의 개발 과정 (4) 바이오시밀러 성공 요인
가. 가격경쟁력 나. 진입시점에서의 경쟁상황
다.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라. 허가의 난이도
마. 특허문제 바. 마케팅능력 (5) 연구개발 추진방안
3) 주요 국가별 바이오시밀러 개발현황 (1) 미국 (2) 유럽 (3) 일본
3. 바이오시밀러 시장동향
1) 세계시장 규모 및 업체현황 2) 국내시장 규모 및 업체현황
(1) 국내시장 규모 (2) 업체현황 (3) 동등생물의약품 임상시험 승인 현황
4. 바이오시밀러가 넘어야 할 장벽
1) 이미 포화된 1세대 바이오시밀러 2) 다양한 각국의 바이오시밀러 허가규정
3)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우려 4) 시장선점의 중요성
5) 개량 바이오의약품; 슈퍼바이오시밀러(Super-Biosimilar), 바이오베터(Bio-better)
5. 바이오시밀러 전략 방안 1) 타이밍(Timing) 2) 특허(Patent)
(1) 타겟 발굴 전략 (2) 타겟 보호 전략
(3) 포트폴리오(Portfolio) 확보 전략 (4) 플랫폼(Platform) 기술 개발 전략
3) 약효군 Positioning 4) 개발 로드맵 설정 5) 전략적 M&A 6) 전략적 차별화
6. 바이오시밀러 산업전망 1) 경쟁력 결정 요소
(1) 기술수준 (2) 대규모 투자 능력
(3) 가격경쟁 및 마케팅 능력 (4) 선진국시장 진입능력
2) 국내 업계의 당면 문제점 3) 산업전망 및 시사점
제Ⅱ장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수출 산업화 전략(案)
1. 추진배경
2. 바이오시밀러 산업 현황 1) 바이오시밀러 시장 현황 2) 시장진입의 장벽
3) 세계 현황 4) 국내 현황 및 문제점
3. 발전비전 및 추진전략
4. 주요 추진 과제 1) 글로벌 수준의 임상?생산 인프라 확충
(1) 국내 CRO 기업 육성 및 실험동물 인프라 구축
(2) CMO 비즈니스 및 지역특화센터 연계 활성화
2)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 3) 글로벌 수출 역량 강화 4) R&D 지원 전략
5) 법?제도 지원 기반 강화 5. 기대효과 6. 실천계획 (Action Plan)
제Ⅲ장 동등생물의약품(바이오시밀러) 가이드라인
1. 가이드라인 개요 2. 적용범위 3. 일반적 고려사항 4. 대조약의 선정
5. 품질평가 1) 제조공정 2) 품질평가에 있어서‘비교동등성’시험
(1) 평가 방법 (2) 특성분석 시험
3) 규격 4) 분석방법 5) 안정성시험 6. 비임상평가
1) 시험관 내(In vitro) 시험 2) 생체 내(In vivo) 시험
7. 임상평가 1) 약동학 시험 2) 약력학 시험 3) 유효성 시험
4) 확증적 약동력학 시험 5) 안전성 6) 면역원성 7) 적응증 외삽
제Ⅳ장 바이오베터 (슈퍼바이오시밀러)
1. 바이오베터의 개요와 정의 1) 개요 2) 정의
2. 바이오베터 의약의 시장성 3. 바이오베터 연구개발 동향
4. 바이오베터의 기술요소와 시장동향 1) 바이오베터의 최신 동향
2) 다국적 제약사들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베터 전략현황
3) 지속형 기술 (Long acting technology) 4) 국내??외 지속형 바이오 의약 기술
5) 지속형 바이오 의약 개발 (1) 중요 요소 (2) 항목별 특성
5. 바이오베터의 개발 전략
6. 바이오베터 특허분석
1) 특허분석 개요 (1) 분석방법 (2) 분석범위
2) 주요 품목별 특허분석 현황
(1) ReoPro?(abciximab) (2) Rituxan?(Rituximab) (3) Enbrel?(etanercept)
(4) Herceptin?(Trastuzumab) (5) Remicade?(Infliximab) (6) Synagis?(Palivizumab)
(7) Humira?(Adalimumab) (8) Raptiva?(Efalizumab) (9) Erbitux?(Cetuximab)
(10) Tysabri?(natalizumab) (11) Vectibix?(Panitumumab) (12) Xolair?(Omalizumab)
(13) Avastin?(Bevacizumab) 및 Lucentis?(Ranibizumab) (14) Soliris?(Eculizumab)
(15) Cimzia?(Certolizumab pegol) (16) Simponi?(Golimumab)
(17) EPO(Human Erythropoietin) (18) G-CSF(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19) Insulin (20) Interferon α (21) Interferon β
3) 특허분석을 통해 본 바이오베터 개발전략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