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9424254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8-01-2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4
지은이 소개 8
제1부 북극으로
북극은 어디인가? - 이유경 14
북극의 원주민과 북극 탐험 - 이유경 26
제2부 북극 다산과학기지
육지 빙하가 사라지면 - 정지영 40
북극의 환경오염을 막아라! - 김기태 52
기상관측, 에어로졸과 구름 - 윤영준, 박상종, 박기태 68
저 높은 하늘에는 무엇이 있을까? - 김정한 78
3억 년 전의 모습 - 우주선 88
제3부 빙하의 땅 그린란드
북극 끝자락 동토에 숨겨진 화석 - 박태윤 104
그린란드에서 만난 동물 - 이원영 116
빙하, 과거로의 입구에 서서 - 이강현 126
남극에서 북극까지의 빙하시추 - 정지웅 138
최북단 과학기지에서 기후변화 연구 - 최태진 148
제4부 알래스카를 지나 북극해로
토양 코어링 도전기 - 남성진 160
툰드라 벌판에서 - 권민정 170
척치해의 생태계 - 강성호, 양은진 182
얼어붙은 메탄가스 - 진영근 196
해저퇴적물에 숨겨진 과거 북극의 기록 - 남승일 210
바렌츠해에서 보는 우리나라의 겨울 - 김성중, 김백민 228
우주에서 바라본 북극 - 김현철 240
제5부 우리에게 북극이란?
북극, 북극해 그리고 국제법 - 서원상 250
북극과 에너지 - 김효선 270
북극이사회, 북극의 협력마당- 서현교 284
그림 참고문헌 302
저자소개
책속에서
북극 전체를 놓고 볼 때도 녹색이 증가한 지역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녹색이 줄어든 곳도 있다. 왜 이렇게 상반된 현상이 북극에서 일어나는 것일까? 기온이 높아지면 툰드라와 타이가 경계지역에서 침엽수가 자라면서 수목한계선이 북상하게 된다. 툰드라지역의 녹색이 진해지 는(greening) 것이다. 한편, 툰드라와 인접한 타이가 침엽수림에서는 가뭄이나 산불, 곤충의 대발생 등으로 인해 식물이 줄어드는 갈색화 현상(forest browning)이 일어나기도 한다.
갑자기 누군가가 “Polar bear!!!!”라고 크게 소리를 쳤다. 엄마 북극곰 한 마리와 새끼 북극곰 한 마리가 기지촌 앞 해안가를 따라 지나가고 있었다. 순간 우리 북극 환경오염 연구팀은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고 큰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며칠 동안 계속해서 그 지역에서 기지촌에서 방출된 오염물질들이 생물체 내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옆새우를 채집하던 장소이다. 그날도 바로 그 북극곰들이 지나가던 그 자리에서 샘플링을 했었다. 북극곰들도 사람들을 의식해서 기지 근처로는 자주 오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그것도 아니었나보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설마 북극곰을 만나겠어’라고 방심하고 있을 무렵 자신의 존재를 나타내려는 듯 뉘올레순 기지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관측기지까지는 케이블카로 20분가량의 시간이 소요되며,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는 놀이기구 못지않은 스릴을 느낄 수 있다. 제플린 관측소에서 강풍보다 무서운 것이 있다. 바로 화장실 사용이다. 제플린 관측지에는 화장실이 없으며, 이곳은 청정 관측기지로 보호되기 때문에 야외에서 실례를 하는 것 역시 절대 허락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