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4491516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6-09-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2016)
들어가는 글(2009)
제1부 워런 버핏처럼 적정주가 구하기
1장 내재가치는 적정주가의 어머니
가치를 모르고 가격을 지불하지 마라
같은 주식을 사도 누구는 웃고, 누구는 우는 이유
2장 일반적인 가치 평가방법 돌아보기
워런 버핏의 보조 수단, 상대가치 평가방법
워런 버핏 방식과 유사한 현금흐름 할인방법
3장 워런 버핏의 내재가치 계산법과 적정주가
대학교육과 주식의 내재가치
주주이익을 주목하라
운전자본의 증가는 빨간 신호등
유형자산 투자비용을 꼭 고려하라
워런 버핏이 사용한 할인율
워런 버핏 내재가치 계산공식
자회사는 어떻게 처리할까
투자자산 처리와 포괄이익
4장 실제 확인! 적정주가와 내재가치 계산 절차
case 1. 기업의 순자산과 공정가치, 프리미엄에 주목하기
case 2. 재고자산, 고정자산, 영업권 조정하기
case 3. 우수한 기업의 바겐세일과 적정주가
버핏의 내재가치 평가 기타 사례
5장 계산할 가치가 있는 기업부터 찾자
강력한 경제적 해자가 있는 기업
인플레이션을 이기는 기업
정말로 주주 입장에서 생각하는 기업
6장 내재가치로 찾는 최적의 매매 시기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매수 기준과 시기
수익을 극대화하는 매도 기준과 시기
7장 실전! 내재가치 평가
비즈니스 모델별 성장률의 가정
안전마진과 내재가치평가
저 PER 전략이 통하는 이유
한국의 산업구조와 버핏 투자
금리 인상 시기의 내재가치평가
버핏 가치평가방법의 한계
8장 한국 기업 적용 5가지 사례 분석
코웨이 동서 BGF리테일 대한약품 쎌바이오텍
제2부 워런 버핏처럼 투자하기
9장 워런 버핏 주주편지 핵심 분석(2008)
10장 워런 버핏 주주편지 핵심 분석(2013)
11장 워런 버핏의 투자 조언과 해설
책을 마치며
추천의 글
용어설명
주석
참고도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훌륭한 기업이라고 알려져 있는 기업들이라고해도 너무 높은 주가에 투자했다가 실패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과거에는 훌륭한 기업이었으나 산업을 둘러싼 환경이나 기업 내부적인 여건이 변화를 맞게 되어 경쟁력을 상실한 경우일 수도 있다. 열악한 기업 내부사정을 주가가 자연스럽게 반영하는 과정에서 실패를 맛봤을 수도 있다. 그러나 굳이 기업에 큰 변화가 없더라도 너무 높은 주가는 조정을 거치게 마련이다. 따라서 주가 수준을 판단할 수 없다면 그만큼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아무리 투자의 고수가 매수한 종목을 따라서 매수한다 하더라도 내재가치를 계산할 수 없다면 투자라는 전장에 총 없이 뛰어드는 꼴이다. 빗발치는 총탄 속에서 실수에 대한 대가를 대신 짊어줄 동료는 아무도 없다. 오직 자기 자신만이 잘못된 투자의 결과를 담담히 받아들여야 한다. 투자에 대해 스스로 책임지기 위해서라도 직접 내재가치를 계산할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 1장 내재가치는 적정주가의 어머니
주가를 판단하는 과정은 쇼핑을 하면서 물건 값을 판단하는 과정과 아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물건을 사기 전에 가격을 보고 경험적으로 느끼는 가치와의 비교를 통해 저렴한지 여부를 판단하듯이 주가 또한 기업의 내재가치와의 비교를 통해 충분히 싼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어야 한다.
주식은 기업의 소유권이기 때문에 주식의 적정가치는 반드시 그 기업의 내재가치를 통해 계산해야 한다. 주식 1주는 기업의 소유권을 잘게 자른 하나의 조각이기 때문에 주식 1주의 주가만으로 기업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주가를 유통 가능한 주식수대로 모두 더한 시가총액과 기업의 내재가치를 비교하거나, 주식 1주의 가격과 내재가치를 주식수로 나눠준 1주당 내재가치를 비교해야 한다.
- 1장 내재가치는 적정주가의 어머니
그렇다면 내재가치보다 싼 주가는 반드시 내재가치만큼 오르게 되어 있는 것일까? 내재가치보다 싸게 매수한 주식이 반드시 내재가치에 수렴한다는 보장이 없다면 아무리 싸게 주식을 매수한들 의미가 없을 것이다. 사실 이 부분은 일종의 믿음과도 같다. 정확한 시기에 대해 말하지 못할 뿐 궁극적으로 주가는 내재가치에 수렴한다는 것이 정설이다. ……
정확한 시기를 맞히려고 온갖 도구를 활용하기도 하지만 지속적으로 정확히 짚어낸 사람은 없다. 따라서 시기를 맞히려는 노력보다 꾸준히 좋은 기업의 주식들을 내재가치보다 싸게 매수해두려는 노력이 더 현실적이다. 그런데 내재가치를 계산할 줄 알아야 현재 주가가 싼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내재가치에 비해 얼마나 싸게 거래되고 있는지를 알아야 주식을 매수해놓고 느긋하게 기다릴 수 있으며, 매수가격 이하로 주가가 떨어졌을 때 추가로 매수할 수 있는 것이다.
- 1장 내재가치는 적정주가의 어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