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자인학

디자인학

(사색의 컨스텔레이션)

무카이 슈타로 (지은이), 신희경 (옮긴이)
두성북스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자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자인학 (사색의 컨스텔레이션)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94524283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6-12-10

책 소개

일본 최고의 디자인 이론가이자 하라 켄야를 비롯한 걸출한 디자이너들을 키워낸 교육자, 무카이 슈타로가 평생에 걸쳐 실천하고 다져온 디자인 철학을 집대성한 책이다. 국내에서 그의 단독 저서가 정식으로 번역.출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목차

타자에게 받은 창조의 은혜_한국어판 서문
시작하며

constellation[a] abduction
애브덕션-생성의 근원을 향해, 제작의 지층

퍼스의 기호론과 애브덕션
퍼스가 직접 쓴 에드거 앨런 포의 시
칸트의 구상력과 퍼스의 애브덕션
퍼스의 기호 카테고리와 우주 생성관
애브덕션과 직관
애브덕션과 미적 감각
말라르메와 페놀로사에게서 볼 수 있는 서구적 전통의 해체
‘서양의 지’에 대한 탈구축

constellation[b][c] Bauhaus & cosmology
우주론으로서의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생성하는 우주
클레의 스케치 <바우하우스의 구성도>를 읽다
기초교육 과정-일상성의 해체와 재생․다의의 생성 장치
‘기초란 무엇인가’라는 물음

constellation[d] degeneration
마이너스 방향으로의 역행과 생성

코스모스에서 카오스로-새로운 질서의 생성
막스 벤제의 정보 미학과 디제너레이션
벤제의 비주얼텍스트 실험
요하네스 이텐의 조형관과 디제너레이션
퇴행화로 보는 동양과 일본의 발견
생성 과정으로서의 미학
모호이너지-또 하나의 탈구축
투명성의 발견
새로운 조형 언어의 발견-종합적인 지를 향해

constellation[f][g] furi(miburi)=gestus
세계를 생성하는 몸짓

동작-생명과 형태의 생성 리듬
몸짓-문화의 다원성․에센의 체험에서
서양의 여러 언어와 상통하는 ‘몸짓’의 의미
몸짓-인간 신체와 대자연의 공명

constellation[i] interaction
상호 작용-호응, 접촉, 울림의 생성

나와 너 사이
알베르스-색채의 인터랙션
괴테의 자연관에 대한 찬미
자연의 생성 과정으로서의 몸짓

constellation[k] katamorph
메타모르포제와 생명 리듬

볼프의 심메트리 이론과 카타모르프
괴테 형태학의 의미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과 원식물
볼프가 확장시킨 심메트리 개념
막스 빌의 〈15개의 변주〉

constellation[r] Relation/relation
균형 관계가 부여하는 새로운 조형

관계성에서 생성하는 세계
데스틸파의 조형 사고
자연과 정신의 균형․조화․유화
데스틸파와 바우하우스
데스틸파의 구성법과 일본 문화의 기억
중심의 해체-율동적 균형 관계의 형성
비대칭적인 구성 원리와 동적 균형
새로운 조형 요소-질의 균형 관계

constellation[r][s] Rhythums/rhythm & Struktur/structure
리듬의 구조․구조의 리듬

막스 빌의 수학적 사고 방법
파울 클레의 형태의 조직화와 리듬
추상 예술을 대체하는 구체 예술
음악․조형․언어의 구조-새로운 언어 우주의 형성

constellation[t] Trube
생명의 원상으로, 생성의 원 기억으로

괴테의 ‘흐림’-빛과 어둠의 매개자
터너의 대기상과 러스킨의 풍경 발견
러스킨의 ‘먹구름이 잔뜩 낀 하늘’과 사회 변혁 이념
괴테의 ‘흐림’과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음예예찬』
생성하는 세계에서 살아간다, 생성하는 색채를 살아간다
‘어둠’의 발견-눈에서의 혼색
어둠과 태양 잔상
카츠의 ‘색이 나타나는 방식’
생성하는 세계의 생명성-긴카쿠지 체험에서

constellation[u] Urbild
원상과 메타모르포제

원상의 보존과 갱신
원상으로서의 ‘~답다’-알베르스의 사진 작품에서
‘가타’와 ‘가타치’의 관계
4억 년의 진화 원상을 따라가는 인간 태아의 발생 과정
원상과 그 천혜의 환경-바이마르
원상과 환경 픽토그램-이즈니
디자인 원상으로서의 ‘모데르네’-계승과 변혁․창조
계승과 창조-뮌헨 올림픽 포스터
계승과 창조-뮌헨 올림픽 픽토그램
로티스-제3의 모데르네
로티스의 디자인 양상과 프로젝트

constellation[q][w] Qualitat /quality & Werkbund
생활 세계의 ‘질’과 공작연맹운동

공작연맹운동과의 만남
빌의 ‘환경 형성론’과 파울손의 ‘상징 환경론’
생활권과 ‘삶’의 질적 규범
사회적 공통 자본으로서의 환경
공동 감정-환경의 원상에 대한 주민들의 생각
두 정치가, 나우만과 호이스
호이스의 회상, ‘질이란 무엇인가’
베렌스 활동의 배경-라테나우의 사상과 경제정책

constellation[w] Weg/way
21세기의 마땅한 생활 세계의 길

중부 유럽의 부활과 디자인 사상
중부유럽디자인회의에서 아시아와 일본의 수필가를 생각하다
새로운 디자인의 근대-문명의 전환을 향하여
다름슈타트 예술가 마을에서
자기 재생적 문명의 형성과 근대의 재확인
문명의 라보라토리움-자성적 문명의 형성을 향하여
문명의 라보-이념과 프로젝트의 동태
나쓰메 소세키의 말에서 일본 근대화의 문제를 돌아보다
내발성의 원천-지역 문화의 고유성과 생명
자연 과학에 의한 새로운 생명관-생명과 정보
디자인 행위와 마땅한 생활 세계의 형성

constellation[v][w] value & wealth
진정한 생활 세계의 형성-진정한 가치와 부란 무엇인가

‘생’의 충실-진정한 사회 과학․러스킨 경제론에 대한 재고
‘토지’란 무엇인가
디자인 계몽사상과 러스킨의 가치관
다시 러스킨, 모리스에서 예술가 마을 그리고 공작연맹으로
가치의 전환-두 가지 자연의 붕괴
사회 디자인-뮌스터의 경험
뮌스터에서 일본 문화를 돌아보다
생성하는 디자인 고유의 지의 원천-‘생’의 디자인학으로

‘컨스텔레이션’을 향해, 창조의 토포스_후기
무카이 슈타로의 디자인학과 메타모르포제_옮긴이 해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무카이 슈타로 ()    정보 더보기
1932년 도쿄 태생. 디자이너, 시인. 디자인학, 형태학, 기호론을 연구했다. 1955년 와세다대학교 상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상학 연구과(경영경제학 전공) 재학 중이던 1956년 독일 울름조형대학교로 유학을 떠나 막스 빌, 오틀 아이허, 막스 벤제, 토마스 말도나도, 오이겐 곰링거, 헬레네 논네 슈미트, 엘리자베스 월터 등의 가르침을 받았다. 1957년 일본 통산성 공업기술원 산업공예시범소 의장부 연구생, 도요구치디자인연구소(산업 디자인, 인테리어 디자인)를 거쳐, 1963~64년 울름조형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펠로, 1964~65년 하노버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펠로로서 디자인 연구 개발과 교육 활동에 매진했다. 1965년 귀국해 디자이너로 활동하는 한편, 무사시노미술대학교에 ‘사이언스 오브 디자인학과’(department of science of design, 基礎デザイン學科)를 설립해 새로운 인재 육성과 디자인학 연구에 힘써왔다. 현재 무사시노미술대학교 명예교수, 기초디자인학회 회장, 국제디자인연구평의회(BIRD)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형태의 시학-morphopoiesis I, II』, 『생과 디자인-형 태의 시학 I』, 『디자인의 원상-형태의 시학 II』 등이 있다.
펼치기
신희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시각 디자인과 디자인 이론을 전공했다. 일본 문부성 국비유학생으로 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교에서 석사, 니혼대학교 예술학부 디자인학과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연구원을 거쳐 현재 세명대학교 시각 디자인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두 번의 개인전을 갖는 등 작품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문체부 세종도서에 선정된 『제국미술학교와 조선인 유학생들(공저)』 『디자인학(역서)』과 공저 『고교 국정교과서 디자인 일반』 『기초조형thinking』 『2014 디자인백서』, 일본에서 출간된 『디자인에 철학은 필요한가デザインに哲學は必要か』(공저, 무사시노미술대학출판국, 2019) 등 10여 권의 공저, 역서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생’의 의의를 새삼스럽게 생각해보면 ‘생’에는 영어 ‘life’나 독일어 ‘Leben’, 프랑스어 ‘vie’와 같이 생명에서 생활이나 사회관계나 생물에 이르는 생의 영위 전체가 포함돼 있습니다. ‘생’은 분할할 수 없는 전체이자 종합이며 생성 과정이고 성좌와 같은 복수적 관계성의 세계이기에, 생에는 경계가 없다는 생명 원리 그 자체와 디자인이 깊이 연결돼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디자인이라는 행위가 마땅히 이루어져야 할 생의 기반을 현실의 생활 세계에서 형성하는 것이라면, 디자인의 디자인학 형성에는 그 생의 다양성을 생생하게 포함하는 새로운 논술 시스템(체계) 창조가 필요합니다. 경계를 지니지 않고, 다양한 관계성이 환기되는 방법. 이미지의 원천에서 사고하는 방법. 그것이 별자리에 의한 이미지 사고인 컨스텔레이션의 구성 방법입니다.


이 책은 내가 무사시노미술대학교를 퇴임할 때 사이언스 오브 디자인학과에서 했던 ‘디자인학의 알파벳, 사색의 컨스텔레이션’이라는 제목의 최종 강의를 보완해 집필한 것입니다. ‘디자인학의 알파벳’이라 하면 ‘디자인학 입문’ 같은 느낌을 줄지도 모르지만, ‘알파벳’은 그런 의미로 쓴 표현은 아닙니다. 내가 주로 작업해온 디자인 어휘 무리에서 단어를 하나씩 골라 a부터 z까지 알파벳 26문자 순으로 정리한 다음, 그것들의 말과 개념의 조합, 의미의 세계를 이야기하면서 내가 디자인학에 대해 사색해온 풍경을 그려낼 수 있으면 좋겠다 싶어 이런 제목을 썼습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알파벳’을 생략하고, ‘디자인학’에 부제 ‘사색의 컨스텔레이션’을 붙여놓았습니다. ‘사색의 컨스텔레이션’은 나의 생각과 디자인이라는 행위, 그 배움의 생성 방법을 의식화하여 하나의 문제로 제기한 것입니다. 그 방법이 바로 ‘컨스텔레이션’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