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655079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1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봄(Spring)
01. 지구를 살리는 지구의 날
02. 종이 없는 식목일
03. 환경을 생각하는 학급 규칙 세우기
04. 쓰레기를 버리는 올바른 방법
05. 학교 식물도감 만들기
06. 생명을 살리는 씨앗 폭탄
07. 친환경 피충제 만들기
08. 세상에서 벌이 사라진다면?
09. 멸종 위기 동물을 지켜라!
10. 오늘은 미세먼지 없는 날
Part 2. 여름(Summer)
11. 세계 환경의 날 - 캔크러시
12. 비닐봉지가 플라스틱이라고?
13. 물 발자국 줄이기
14. 내 친구, 친환경 에너지
15.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에너지 도시
16. 쓰레기로 뒤덮인 바다
17. 비상! 이상한 기후
18.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기업에 편지 쓰기
19. 출동! 우리 동네 쓰레기 수사대
20. 쓰레기의 도착지
Part 3. 가을(Autumn)
21. 오존층 보호를 위한 의정서 만들기
22. 농장 동물들의 권리 찾기
23. 과대포장, 멈춰!
24. 우리가 먹고 난 후에는?
25. 환경을 생각하는 먹거리 소비자
26. 동물 실험은 안 돼!
27. 청소년 기후 행동 캠페인
28. 환경과 사회가 함께 행복해요
29. 우리가 몰랐던 식물 이야기
30. 학교 주변 쓰레기 줍깅 - 플로깅
Part 4. 겨울(Winter)
31. 나만의 습지 여행 코스 만들기
32. 토양을 지켜라!
33. 뜨거워진 지구는 위험해!
34. 탄소발자국 인생게임
35. 1.5℃를 지켜라! 탄소중립 대작전
36. 기후 난민, 기후 정의 수업
37. 1년간의 환경 활동 내용 공유하기
38. 생활 속 유해화학물질 알아보기
39. 환경 진로교육 - 그린 잡
40. 교실에서 실천하는 자원 순환 - 업사이클링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이들은 교실에서 아주 작은 벌레만 나와도 흥분해서 소리를 지릅니다. 심지어 그 벌레가 벌이라면 문제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지죠. 아이들 눈에는 무섭기만 한 벌, 그런데 벌이 세상에서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은 ‘꿀벌이 멸종하면 인류도 4년 안에 사라진다’고 말했습니다. 꿀벌의 멸종과 인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그 해답은 생물 다양성에 있습니다. 이 수업은 생물 다양성을 주제로, 어떠한 생물이든 생태계에서 맡은 역할이 있음을 알려줍니다. 학생들이 좋아하는 만화를 통해 평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동물들을 새로운 관점으로 살펴보고, 동물들의 이야기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돌림책을 만들어 짝꿍과 함께 신나게 퀴즈를 주고받다 보면 생물 다양성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를 자연스럽게 깨닫게 될 거예요.
- <PART 1. 봄 - 08. 세상에서 벌이 사라진다면?> 중에서
지구의 70%가 물이기 때문에 물 자원은 몹시 풍족하고 무한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은 몹시 한정적이에요. 그리고 ‘물’ 그 자체를 사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품의 원료, 제조, 유통, 사용과 폐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물 발자국’까지도 생각해 보아야 해요.
언제까지 우리가 물 자원을 아무런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을까요? 이미 지구촌 어느 곳에서는 매일같이 생명을 이어나가기 위한 물 자원을 확보하는 데 하루의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세계 물의 날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들의 물 사용 습관을 점검해 봅니다. 물 발자국과 우리가 생활 속에서 물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실천 방안에 대해서도 알아보며 물 자원의 소중함을 느껴보아요.
- <PART 2. 여름 - 13. 물 발자국 줄이기> 중에서
아이들의 학교생활 중 가장 즐거운 시간은 아마도 급식 시간일 것입니다. 매일 식단표를 확인하고 어떤 메뉴가 가장 맛있는지, 어떤 요일의 급식이 가장 자신의 취향인지 공유하는 것이 아이들의 중요한 일과 중 하나이니까요. 하지만 자신의 취향에 맞는 반찬을 추가로 더 받은 뒤 버리는 일도 많습니다. 이 수업을 통해서 아이들은 도덕적인 원리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지 않아야 한다는 것에 더하여 우리가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는 것 중 재활용될 수 없는 것이 많음을 깨달았고 그렇게 버려진 쓰레기가 탄소를 내뿜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생각이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음식물을 남기지 않는 습관을 길러주는 수업을 후속 차시로 이어간다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실천을 습관화・내면화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PART 3. 가을 - 24. 우리가 먹고 난 후에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