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약리학
· ISBN : 9788994993591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3-09-01
목차
CHAPTER 1 일반 약리학과 약물투여
역사적 중요한 사건들과 약물의 표준화 2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역할 3
약물 프로필 5
약물: 약명, 근원, 분류, 그리고 참고 6
약물: 생리, 수용체, 반응 그리고 상호작용 8
약물의 제형과 약물투여 경로 13
특수 상황: 소아, 노인, 임신부 15
응급구조사 의무와 약리학 16
약물투여: 해부학, 생리학, 도구, 그리고 기술 17
혈액 표본 채취 21
장관 약물투여 기술 22
비경구 약물투여 기술 24
약물의 경피투여 기법 28
약물의 흡입투여 기법 32
약: 법적쟁점과 “약물투여원칙” 33
환자관리 및 약물처치 계획 35
약물투여 중 감염관리 36
응급구조사로서 최상의 약물투여 수행 37
CHAPTER 2 외상
약리학적 약물과 외상 44
화상 44
화상의 특정 유형 관리 53
머리와 얼굴의 외상 54
척수, 가슴, 복부의 외상 61
근골격외상 68
연령과 관련된 뼈의 변화 73
견인치료(당김치료) 74
CHAPTER 3 폐와 호흡기 응급
호흡기환자 처치에 흔히 사용되는 약물들 84
응급구조사가 병원 전 단계에서 마주치게 되는
호흡기질환들 85
폐색전증 97
폐부종 103
울혈성 심장기능상실(심부전) 103
CHAPTER 4 심혈관계 응급
급성관상동맥증후군 122
급성관상동맥증후군과 관련된 다른 문제들 129
증상이 있는 부정맥이나 심정지를 동반한 환자 131
심폐소생술을 보조하는 장비 140
팀워크: 가장 중요한 소생술기 141
골내주사 사용의 확대 146
심폐소생술의 중단 146
저체온증 환자에서의 제세동 147
일반인에 의한 제세동의 성공적 도입 147
위태롭게 느린 심박수 153
심박조율기 156
빠른 심박수: 커피를 너무 많이 마셔서 인가
혹은 생명을 위협하는 것인가? 158
심장율동전환 기법 165
급성폐부종: 심장 문제만은 아니다. 166
저혈압 혹은 심장성 쇼크 166
심장성 쇼크 171
심장학: 고혈압 171
CHAPTER 5 신경계 응급
의심되는 뇌졸중 196
혈전과 비행 여정 203
발작장애 204
열성경련 210
종양과 발작 211
그 외 신경성 응급상황 211
두통: 어디가 아픈가? 212
심각한 두통에 처방되는 약물들 212
신경계 질환 216
CHAPTER 6 내분비 응급
내분비 응급상황에 대한 개요 228
당뇨 환자들 229
혈당측정기 사용법 237
경구용 포도당 투여 237
글루카곤 생리 239
인슐린 239
CHAPTER 7 알레르기와 아나필락시스 응급
경증 및 중증의 알레르기반응 248
알레르기반응의 병태생리 249
부작용 249
알레르기 치료 252
에피펜 259
CHAPTER 8 콩팥 및 비뇨기 응급
콩팥 및 비뇨기 질환들의 병태생리학 266
CHAPTER 9 독성학·행동 응급
독성학 282
표면흡수, 흡입으로 인한 중독 291
표면흡수, 흡입으로 인한 중독 처치 291
기타 약물중독 291
보호관리 대상자 위험평가척도(SICRAS) 291
행동응급 294
CHAPTER 10 환경 응급
환경 조건 308
열장애 308
한냉장애 314
고공병 314
익사 또는 침수 317
CHAPTER 11 산과 응급
현장 분만 326
기형유발물질 333
비정상적 분만 334
합병증 335
산전관리 336
임신과 고혈압 336
자간증과 자간전증의 소인 343
임신 중 외상 343
CHAPTER 12 신생아 응급
소생술 연령 집단 350
신생아소생술 358
느린맥: 신생아에게 불길한 징후 359
저체온증 359
저혈당증 359
기타 질환 359
어린이 또는 태아에게 권장되지 않는 것 360
CHAPTER 13 소아 응급
소아 환자 366
호흡기 응급 380
독성 응급 387
심혈관 응급 389
의학적 응급 390
외상 390
화상 396
CHAPTER 14 노인 응급
약물과 노인 410
노인 약물요법 시 주의사항 410
약물중독과 노인 환자 416
낙상-심각한 건강문제 423
특별한 조건에 대한 관리 425
CHAPTER 15 구조 인식, 활동 및 테러 대응
구조 과정 446
으깸증후군 446
테러 대응 456
신경작용제 456
신경작용제에 대한 해독제 457
APPENDIX A 미터법과 약물 계산 469
APPENDIX B 빠른연속기관삽관 481
APPENDIX C 약물복습 483
찾아보기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