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ISBN : 9788995039342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0-05-27
책 소개
목차
제1장 21세기 교회의 개혁적 형성
Ⅰ. 서 론
Ⅱ. 20세기의 신학과 교회에 대한 Runia의 진단
1. 신학적 진단
2. 목회적 진단
3. 교회론적 진단
Ⅲ. 21세기의 교회개혁과 그 형성
1. 성경적 교회형성을 위한 지도자들의 인식과 신학의 확립
2. 신자의 양육과 교회일치
3. 신앙고백과 일치하는 교회관 확립
Ⅳ. 결 론
제2장 한국교회의 무속적 현상과 그 극복
Ⅰ. 서 론
Ⅱ. 한국교회에 내재하는 무속적 현상들
1. 긍정적인 현상들
1) 새벽 기도회
2) 성미
3) 각종 헌금
4) 주일성수와 헌신적 봉사
5) 번영신앙
2. 부정적 현상들
1) 교회 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2) 일천번제
3) 각종 작정 기도회와 특별집회
4) 교패와 십자가 장식들
5) 경품행사
6) 공인(公人)들의 공적(公的)인 기도
7) 기도원 운동
8) 가계에 흐르는 저주
Ⅲ. 무속적 현상의 극복을 위한 대안
1. 성경적 신관, 세계관의 확립
2. 신앙고백서를 통한 신자양육
3. 성례전의 회복과 권징의 시행
Ⅳ. 결 론
제3장 한국교회의 성장 지향적 부흥운동에 나타난 실용주의적 문제
Ⅰ. 서 론
Ⅱ. 한국교회의 성장 지향적 부흥운동
1.‘ 부흥’에 대한 개념적 이해
2. 기독교회의 역사에 나타난 부흥운동의 성향
3. 한국기독교회의 부흥운동의 성향
Ⅲ. 성장 지향적 부흥운동의 문제와 그 대안
1. 문제점
1) 부흥과 성장
2) 성장 지향적 현상
3) 포퓰리즘적 실용주의
2. 그 대안
1) 신학과 목회의 일치
2) 설교의 회복
3) 공교회성 회복을 통한 극복
Ⅳ. 결 론
제4장 한국교회의 포퓰리즘적 현상
Ⅰ. 서 론
Ⅱ. 신학과 목회에 있어서 포퓰리즘적 현상
1. 포퓰리즘의 이해
2. 현대신학과 포퓰리즘적 현상
3. 목회에 있어서 포퓰리즘적 현상
Ⅲ. 한국교회의 포퓰리즘적 현상
1. 설교에 있어서 포퓰리즘적 현상
2. 목회 방법론에 있어서 포퓰리즘적 현상
3. 예배당 리모델링에 나타난 포퓰리즘적 현상
Ⅳ. 포퓰리즘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
1. 목회자의 신학확립
2. 성경신앙에 입각한 세계관 확립
3. 공교회성 회복
Ⅴ. 결 론
제5장 강해설교 시대는 지났는가? - 하나님 중심의 설교
Ⅰ. 서 론
Ⅱ. 무엇을 설교할 것인가?
Ⅲ.‘ 내리막길논쟁’을 통해서본 설교의 변천
Ⅳ. 소비자 중심의 설교와 그 현실
Ⅴ. 하나님 중심의 성경해석과 설교
Ⅵ. 결 론
제6장 언약신앙의 입장에서 본 주 5일 근무제
- 한국교회의 역기능적 현상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언약신앙의 전통
1. 언약신앙이란?
2. 언약신앙의 전통
Ⅲ. 언약신앙과 주 5일 근무제
1. 언약신앙에 있어서 노동
2. 언약신앙에 있어서 6일의 의미
3. 사회적 현실로서의 5일 노동
Ⅳ. 주 5일 근무제에 대처하는 한국교회의 역기능적 현상과 그 진단
1. 신학적 배경
2. 역기능적 방법론의 실제들
3. 역기능적 현상들에 대한 진단
Ⅴ. 개혁파 신학적 입장에서의 대안
1. 지도자들의 신학 확립
2. 신자들의 신앙교육의 개혁적 시행
3. 성경적 삶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Ⅵ. 결 론
제7장 한국교회의 신앙과 교회형성을 위한 대안
-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Ⅰ. 서 론
Ⅱ. 한국 교회형성의 현실
1. 교회형성을 위한 기본적 요소
2. 한국교회의 신앙과 교회형성에 대한 문제들
1) 한국 신자들의 영적 성장의 경향
2) 개교회주의적 신앙과 교회형성
3) 교회 개척(설립)의 현실적인 문제들
4) 이단적 신앙에 대해 무능한 교회
5) 권위를 상실한 교회
6) 인본주의적 방법에 의한 교회형성과 성장
Ⅲ. 바른 신앙과 교회형성을 위한 대안
1. 공교회로서의 교회관 확립
2.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하는 교회형성
3. 신앙고백을 통한 신자 양육
Ⅳ. 결 론
제8장 교회론 이해에 있어서 현대복음주의적 현상에 대한 이해
Ⅰ. 서 론
Ⅱ. 현대교회에 나타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적 현상
Ⅲ. 포스트모더니즘적 현상에 대한 개혁파 교회의 대처
Ⅳ. 결 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