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91197222986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23-12-07
책 소개
목차
⦁ 발간사 / 이건영 4
⦁ 축 사 / 진유신 6
⦁ 축 사 / 황규호 9
⦁ 머리말 / 이종전 11
⦁ 백암리 만세 운동과 유아 교육의 선구자, 김복희 장로 / 최조길 16
⦁ 사랑을 실천한 김윤찬 장로 / 김은미, 김은경, 김은선, 김은정, 김은희 46
⦁ 시각 장애인의 아버지 송암 박두성 선생 / 박혜숙 82
⦁ 기억하고 싶은 오계수 장로 / 오정택 104
⦁ 기억하고 싶은 오재의 장로 / 오두석 118
⦁ 일평생 하나님을 찬양한 오재섭 장로 / 오효숙 138
⦁ 유경실 장로가 걸어가신 작은 발자취 / 유도열 158
⦁ 기억하고 싶은 윤두표 장로 / 강두환 180
⦁ 교회음악으로 하나님께 향기로운 제사를 드린 지휘자, 이동훈 선생 / 이수영 198
⦁ 기억하고 싶은 이종청 장로 / 김요환 236
⦁ ‘사랑방 교장’ 이흥운 장로 / 이현호 254
⦁ 임의섭(林義燮) 장로가 걸어오신 길 / 임태환 288
⦁ 전의철 장로의 삶과 신앙 / 전우택 302
⦁ 주님의 일이 먼저이셨던 정정섭 장로 / 정규원 324
⦁ 염소몰이 통일몰이, 최성원 장로 / 최광열 356
⦁ 아내의 손을 잡고 순종의 길을 가신 황돈주 장로 / 황우승 406
저자소개
책속에서
/ 머리말 /
<기억하고 싶은 목회자들 I>을 편찬한 후, 이번에 인천 지역의 교회와 기관 등에서 신실하게 섬김의 삶을 살았던 장로님들과 일반 신자들 가운데 16명의 신앙과 삶을 정리하여 <기억하고 싶은 하나님의 사람들 I>이라는 제목으로 엮었습니다. 필진은 모두 그 후손들이 감당해 주셨습니다. 역사의 기록은 사실성과 함께 객관적인 평가가 중요한 요소인데, 후손들에 의해서 기록되었기 때문에 고려해야 할 부분도 없지 않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중요한 것은 16명의 평신도 지도자들이 어떤 신앙의 삶을 살았는지? 그 분들의 존재와 삶을 사실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신앙의 유산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고 중요합니다.
편집하는 과정에서 역사의 주인공인 사람을 통해서 섭리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실감있게 체험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고백하면서 … “모든 영광이 주님의 것입니다.”
1919년 3월 31일, 그러니까 서울에서 만세 시위가 있은 지 30 일 되는 날 저녁에 모든 부락민에게 저녁을 먹고 횃불을 들고 동네에서 가장 높은 산인 백암리 방화산으로 모이라는 말을 전달했다. …… 드디어 사람들이 다 모였다. 50명 정도 되었다. 여자라고는 장로님과 한연순 선생님 둘 뿐이었다. 산꼭대기에다 모닥불을 놓은 마을 사람들은 모두가 힘을 다해 목청껏 “대한 독립 만세”를 외쳤다. 외치는 소리는 산골짜기와 온 마을로 크고 넓게 울려 퍼졌다. 목이 쉬도록 얼마나 외쳤는지 탈진할 정도였다.
- 백암리 만세 운동과 유아 교육의 선구자, 김복희 장로
“일본 놈들의 점자는 있어도 우리말 한글 점자는 없으니 안타까운 일이 아니오” ...... 1920년 12월 드디어 한글의 초성(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14자를 3점 점자로 옮기는 데 성공한다. 그 후 맹인 문자로서의 완벽함을 기하기 위해 고치는 직업을 세 번 했고, 마침내 총독부의 승인도 떨어졌다. 이제 세상에 발표하는 일만 남게 되었다. 훈민정음과 비슷한 훈맹정음이라 이름 지어 1926년 11월 4일 세상에 발표하니 이 날이 훈맹정음의 날이다.
- 시각 장애인의 아버지 송암 박두성 선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