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사주/궁합/예언
· ISBN : 9788995402580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03-05-07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 1 장 들어가는 말
1. 송하비결의 의도
가. 송하노인의 의도
나. 이율곡, 정감록 및 격암유록의 예언 (2000년~2011년)
(1) 이율곡 예언
(2) 정감록 예언
(3) 격암유록 예언
2. 해석방법 및 일러주기
가. 해석방법
나. 일러주기
제 2 장 송하비결 본문 해석
1. 조선말부터 일본식민지 시대까지
가. 개요 (조선왕조 멸망, 제국주의 침탈)
나. 연도별 예언
(1) 1910년 (일제에 의한 국권 피탈)
(2) 1911년 (일제의 무력탄압, 중국 신해혁명)
(3) 1912년~1915년 (일제의 토지조사사업, 1차 세계대전, 발칸전쟁)
(4) 1916년 (일제탄압, 제 1차 세계대전의 심화)
(5) 1919년 (3·1 운동, 8·15 해방 예언)
(6) 1925년 (을축 대수해, 6·25 전쟁 예언, 창씨개명)
(7) 1930년대 이후 (세계 대공황, 제 2차 세계대전, 히로시마 원폭 투하, 일본 항복)
2. 해방 이후부터 노태우 정부까지
가. 개요 (해방 후 이승만 집권, 박정희?김일성 집권, 남북한 미국과 소련에의 의존, 36년 독재통치기간)
나. 연도별 예언
(1) 1950년 (6·25 전쟁)
(2) 1960년 (4·19 혁명, 민주당 정권 분열)
(3) 1961년 (5·16 군사쿠데타, 월남전, KAL기 피납사건, 중동전)
(4) 1972년 (10월 유신, 미군 철수, 육영수여사 피격)
(5) 1979년 (부마사태, 10·26 사태 및 12·12 사태)
(6) 1980년 (전두환 등장, 5·18 광주사태)
(7) 1987~1988년 (KAL기 폭파사건, 대선정국 및 88올림픽)
(8) 1989~1991년 (소련 붕괴, 독립국연합 탄생, 사회주의 철폐)
3. 1992년~1995년
(1) 1993년 (미국경제 호황, 북한 핵 위기 및 대형참사)
(2) 1994년 (김일성 사망)
(3)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전직 대통령 구속, 지방자치시대 개막, 일본 지진)
4. 1996년~1999년 (IMF 경제위기)
5. 2000~2003년
가. 개요
(1) 제 1예언 (국난 극복을 위한 인물 출현, 해법 제시)
(2) 제 2예언 (붉은 악마, 붉은 악마의 지도자 출현, 월드컵)
나. 연도별 예언
(1)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사회 혼란)
(2) 2001년 (경제 불황, 인도 지진, 미국 9·11 테러)
(3) 2002년 (북한 핵 위기, 월드컵, 대수해 및 노무현 대통령 당선)
6. 2003년~2007년
가. 개요
(1) 제 1예언 (한반도 전쟁, 괴질 창궐)
(2) 제 2예언 (괴질 유행, 지도자 출현, 한반도 전쟁, 차기 대선)
나. 연도별 예언
(1) 2003년 (이라크전쟁, 개혁 추진, 여권 분열, 북한 핵 위기 전개)
(2) 2004년 (4월 총선, 경제 혼란, 괴질, 한반도 전쟁, 미국 대통령 피격, 미국 내 테러발생)
(3) 2005년 (민심 불안, 남서지역 민중혁명, 일본 경제대위기)
(4) 2006년 (영·호남 화합, 북한붕괴 개시, 북한 난민 유입, 행정수도 이전, 괴질 유행, 중동전 발발)
(5) 2007년 (한반도 전쟁, 핵 투하, 북한 붕괴 및 한반도 통일)
7. 2008년~2010년
(1) 2008년 (향락문화, 북한 패잔병 침입, 새로운 정치지도자 등장, 일본난민 발생)
(2) 2009년 (군사 쿠데타, 일본 대지진)
(3) 2010년 (중·미 전쟁, 한국 참전, 평창 동계올림픽)
8. 2011년 이후
가. 개요 (위대한 지도자 출현, 세계중추국가 등장)
나. 연도별 예언
(1) 2011년 (난민 유입)
(2) 2012년 (대통령 피격)
(3) 2013년 (대륙간 횡단 철도 개통)
(4) 2014년 (대외외교력 강화 및 형법제도 손질)
(5) 2015년 (천재지변 발생)
9. 말세론
가. 서론 (말세 시기, 말세 도래 원인)
나. 본론 (일본열도 괴멸, 말세 원리, 성인 출현 갈망, 말세 상황)
제 3 장 송하비결에 나타난 한국 및 국제사회의 미래상
1. 북한 핵 문제와 한반도 전쟁 전개과정
2. 국내정치
3. 사회·경제
4. 국제사회
가. 미국
나. 일본
다. 중동
5. 말세론
가. 말세론의 이론적 배경
나. 송하비결에서의 말세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