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원전
· ISBN : 9788995514948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04-10-01
책 소개
목차
머 리 말
제1강 易이란?
역의 개념 / 의역은 時와 效를 다룬다 / 時와 처방 / 변화의 추리 / 설위(設位) / 役으로서의 易 / 中과 응(應) / 易은 乾이다 / 의학의 易
제2강 乾에 대하여(1)
상부하응(上浮下凝) / 좌선우전과 오행 / 허공의 함몰 / 인체의 상부하응 / 괘상과 삼관 / 乾은 元亨利貞 / 初九와 初六의 의미 / 老陽과 老陰 / 삼변칠전(三變七轉) / 잠룡물용(潛龍勿用)
제3강 乾에 대하여(2)
음즐(陰庄) / 현룡재전(見龍在田) / 九二가 動하면 / 이견대인(利見大人) / 군자에 대하여 / 종일건건(終日乾乾) / 석척약(夕脂若)
제4강 乾에 대하여(3)
의원의 자기 건강성 / 외괘와 후삼관 / 혹약재연(或躍在淵) / 九四의 상응 / 或과 在 / 무구(无咎)에 대하여 / 비룡재전飛龍在天) / 利見大人
제5강 坤에 대하여(1)
의역의 문제의식 / 경락의 經과 絡 / 유주와 경혈 / 음즐과 의학의 일관성 / 亢龍이니 有悔하리라 / 坤은 선미후득(先迷後得)
제6강 坤에 대하여(2)
보양 / 미래의학, 인간의학으로서의 전망 / 乾坤, 陰陽, 精神 / 리상(履霜)에 대하여 / 乾坤과 상부하응 / 견빙(堅氷)에 대하여 / 復亨,剛反 / 動而以順行 / 격팔상생(隔八相生) / 陰始應也 / 直方大에 대하여 / 不習无不利
제7강 坤에 대하여(3)
남녀의 생리기전 / 3변7전125법 / 복합적 생리기전 / 无成有終 / 침술과 침법 / 괄낭(括囊)에 대하여 / 含章에 대하여 / 亨하니 有終이라 / 或從王事 / 含-從-無-有 / 利建候行師
제8강 坤에 대하여(4)
천부의 것을 취할 뿐 / 直方大가 치료의 관건 / 黃裳의 의미 / 六五가 應하면 / 元吉의 의미 / 龍戰于野 / 消息盈虛 天行也 / 其血이 玄黃이로다 / 直方大 / 敬以直內 義利方外 / 직방대는 不習이다 / 龍과 血
제9강 屯에 대하여(1)
음화론(陰火論) / 수뢰둔(水雷屯)의 성상(性象) / 수뢰둔형의 변증(變症) / 취혈(取血)과 유주 / 뇌우지동(雷雨之動)
제10강 屯에 대하여(2)
修養과 保養 / 卦는 인체의 부호체계 / 응(應)·변(變)·동(動) / 음양한열(陰陽寒熱) / 장부학은 중정(中正)의 학문 / 건곤일척(乾坤一擲) / 상응관계에 따라서 形이 바뀐다 / 체용, 음양 / 水雷屯, 진퇴양난의 숙제 / 반환(磐桓)에 대하여 / 居貞과 建侯 / 둔여(屯如), 전여(例如) / 관맥이 기준이다 / 승마반여(乘馬斑如) / 匪寇면 婚 / 女子, 不字, 十年
제11강 屯에 대하여(3)
保養說의 動靜에 대하여 / 즉록무우(卽鹿无虞) / 유입임중(惟入林中) / 應하면 풍뢰익(風雷益) / 動하면 수산건(水山蹇) / 互하면 산뢰이(山雷灑) / 불여사(不如舍) / 구혼구(求婚擄)
제12강 屯에 대하여(4)
도인법(導引法) / 경락, 경혈학의 재구성 / 屯其膏 / 九五의 증상에는 六二를 / 기질이 변화는 것으로 도를 따른다 / 上六과 遁의 치법 / 읍혈연여(泣血漣如) / 차제와 질서를 분명하게 / 치료의 업그레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