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말의 뿌리

우리말의 뿌리

서정범 (지은이)
유씨엘아이엔씨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말의 뿌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말의 뿌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사/방언론
· ISBN : 9788995675656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05-12-20

목차

1. 여는 말

2. 祖語 再構 및 消失語 再構論
2-1 祖語는 單音節語로서 閉音節語다
2-2 動詞는 語幹과 形容詞의 語幹은 名詞에서 轉成된 것이다.
2-3 語根末音은 거의 ㄷ이다
2-4 ㅑ, ㅕ, ㅛ, ㅠ 母音의 形成
2-5 ㅐ, ㅔ, ㅚ, ㅟ 母音의 形成
2-6 음(-vm)系 接尾辭
2-7 을(-vl)系 接尾辭

3. 韓?日語의 祖語와 語源
3-1 身體語
3-2 天體語
3-3 人稱語
3-4 물 關係語
3-5 地理語
3-6 色彩語
3-7 植物語
3-8 動物語
3-9 宗敎

4. 數詞의 祖語
4-1 系統과 數辭
4-2 數詞의 變遷過程
4-3 日稱數詞의 接尾辭
4-4 基本數詞의 接尾辭
4-5 10單位 數詞의 接尾辭
4-6 日本 數詞와의 비교
4-7 오로코語와의 비교
4-8 基本數詞의 祖語

5. 國語의 祖語 再構와 아이누語
5-1 序 言
5-2 身體語
5-3 人稱關係語
5-4 自然關係語
5-5 衣食住 關係語
5-6 其他
5-7 國語의 基層語와 抱含語

6. 消失語 再構와 合成語
6-1 合成語
6-2 異音同義語와 合成語
6-3 消失語 再構

7. 國語의 祖語와 中國語의 祖語
7-1 中國語의 位置
7-2 身體語
7-3 天體語
7-4 自然語
7-5 食品語
7-6 人稱語
7-7 動物語
7-8 其他
7-9 祖語의 同系性

8. 比較言語學的인 면에서 본 葬法의 背景硏究
8-1 北枕과 歸巢
8-2 人稱語
8-3 무덤語
8-4 天體語
8-5 方位語
8-6 婚體와 葬法
8-7 北斗七星

간행 후기

저자소개

서정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필가이자 국어학자이며, 동시에 무속연구가이기도 한 서정범은 1926년 충북 음성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가족들과 황해도로 이주해 성장했으며 한국전쟁 중 해주에서 홀로 월남했다. 시인 김광섭과 소설가 황순원이 재직하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1957)와 동 대학원(1959)을 졸업한 후, 평생을 모교에서 후진 양성에 이바지했다. 서정범은 수필가로서의 명성만큼 저명한 국어학자로 학계에 잘 알려져 있다. 특수 계층인 ‘백정’의 언어를 다룬 <한국 특수어 연구>(1959)에서 시작된 그의 학문 분야 연구는 <15세기 국어의 표기법 연구>(1964), <현실음의 국어사적 연구>(1975), <음운의 국어사적 연구>(1982) 등으로 이어져 국내외 언어학계에 일찍부터 신선한 충격을 가했다. 특히 그의 후기 저작들인 ≪우리말의 뿌리≫(1989), ≪일본어의 원류≫(1989), ≪한국에서 건너간 일본의 신과 언어≫(1994), ≪국어어원사전≫(2000)은 우리말의 원형과 기원은 물론 일본과 몽골, 터키 등이 속한 알타이 언어권과의 상관성을 추적하는 데 이론적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무속연구가의 직함은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었다. 주목받는 언어학자로서 서정범의 공적은 주로 살아 있는 모국어의 현장에서 견인된다. 그는 고대 원시언어의 계통 관계와 현재적 ‘흔적들’을 시공간의 차원을 넘나들며 입체적으로 추적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샤먼과 그들의 언어 체계에 대한 탐구 작업이다. 그가 꽤 오랜 기간 동안 전국의 무당들을 찾아다녔던 이유도, 적지 않은 그의 수필 작품들이 무속의 세계 혹은 신화적 세계관과 일정한 상관성을 지니는 것도 바로 이런 사정에서 연유한다. 서정범의 수필 문학은 1974년 첫 작품집 ≪놓친 열차는 아름답다≫를 발간한 이래, ≪겨울 무지개≫(1977), ≪무녀의 사랑 이야기≫(1979)로 이어진다. 이후 1980년대 ≪그 생명의 고향≫(1981), ≪사랑과 죽음의 마술사≫(1982), ≪영계의 사랑과 그 빛≫(1985), ≪품봐, 품봐≫(1985), ≪학원별곡≫(1985), ≪어원별곡≫(1986) 등을 거쳐, 1990년대에는 ≪무녀별곡≫(전 7권)과 ≪서로 사랑하고 정을 나누는 평범한 사람의 이야기≫(1999)로 이어졌다. 특히 ≪학원별곡≫, ≪대학별곡≫, ≪익살별곡≫ 등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까지 이어진 이른바 ‘별곡 시리즈’는 동시대의 은어나 속어, 또 유행하는 이야기를 담은 책들로, 단순한 ‘우스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암울했던 우리 삶의 이면을 블랙 유머라는 독특한 방식을 전용해 표현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를 대표하는 저서로는 ≪한국무속인열전≫(전 6권)을 꼽을 수 있다.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한국어원학회장, 한국수필가협회 부회장, 경희문인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제18회 한국문학상(1981), 제9회 펜문학상(1993), 제10회 수필문학상(2000), 제8회 동숭학술상(2004) 등을 수상했다. 2009년 7월 14일, 83세의 나이에 영면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