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컴퓨터공학 > 컴퓨터공학/전산학 개론
· ISBN : 9788995707043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06-12-22
목차
제1장 자료와 형(Data & Type) = 11
1.1 정보와 의미 = 12
1.1.1 이진수와 십진수 = 14
1.1.2 실수 = 17
1.1.3 문자열 = 18
1.2 자료 형(Data TyDe) = 20
1.2.1 자료 형의 유형 = 20
1.2.2 자료의 저장과 사용 = 20
1.2.3 C 언어의 자료 형 = 22
1.2.4 C 언어의 포인터(pointer) = 23
1.2.5 값으로 전달(call by value) = 25
1.2.6 참조로 전달(call by reference) = 27
1.3 C 언어에서의 자료 구조 = 28
1.3.1 배열 = 28
1.3.2 1 차원 배열 = 30
1.3.3 매개 변수로의 배열 = 32
1.3.4 C 언어에서의 문자열 = 34
1.3.5 문자열의 연산 = 34
1.3.6 2 차원 배열 = 36
1.3.7 다차원 배열 = 39
1.4 C 언어에서의 구조체 = 43
1.4.1 구조체 = 43
1.4.2 구조체의 구현 = 48
1.4.3 구조체 매개 변수 = 51
1.5 C 언어에서의 공용체 = 55
1.5.1 공용체(union) = 55
1.5.2 공용체의 구현 = 58
1.6 그 외의 자료 구조들 표현 = 60
1.6.1 유리수 = 60
1.7 기억 장소의 할당과 변수의 영역 = 64
연습문제 = 71
제2장 스택(Stack) = 77
2.1 스택의 정의 = 78
2.1.1 기본 기능 = 80
2.1.2 스택의 예 = 81
2.2 C 언어에서의 스택 표현 = 86
2.2.1 pop연산의 구현 = 92
2.2.2 stacktop 연산의 구현 = 94
2.2.3 예외 조건에 대한 검사 = 95
2.2.4 push 연산의 구현 = 96
2.3 예제 : 중위 표기, 후위 표기, 전위 표기 = 99
2.3.1 기본 정의와 예제 = 100
2.3.2 후위 표기식의 계산 = 103
2.3.3 후위 표기식을 계산하는 프로그램 = 105
2.3.4 프로그램의 한계 = 107
2.3.5 중위 표기식을 후위 표기식으로 변환 = 108
2.3.6 중위 표기식을 후위 표기식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 114
연습문제 = 118
제3장 순환(Recursion) = 123
3.1 순환의 정의와 과정 = 124
3.1.1 팩토리얼(factorial) 함수 = 124
3.1.2 자연수의 곱셈 = 128
3.1.3 피보나치 수열 = 129
3.1.4 이진 탐색 = 130
3.1.5 순환 정의와 알고리즘의 특성 = 134
3.2 C언어에서의 순환 = 135
3.2.1 C 언어에서의 팩토리얼 = 135
3.2.2 C 언어에서의 피보나치 수 = 140
3.2.3 C 언어에서의 이진 탐색 = 142
3.2.4 순환 체인 = 145
3.2.5 대수식의 순환 정의 = 145
3.3 순환 함수의 작성 = 149
3.3.1 하노이 탑 문제 = 151
3.3.2 순환을 이용해서 전위 표기를 후위 표기로 변환 = 157
3.4 순환의 효율 = 163
연습문제 = 165
제4장 큐와 리스트(Queue & List) = 175
4.1 큐와 큐의 순차적 표현법 = 176
4.1.1 큐의 C 구현 = 178
4.1.2 원형 큐 = 181
4.1.3 우선 순위 큐 = 186
4.1.4 배열을 이용한 우선 순위 큐의 구현 = 187
4.2 연결 리스트 = 190
4.2.1 리스트에서 노드의 삽입과 삭제 = 191
4.2.2 스택을 연결로 구현 = 196
4.2.3 getnode와 freenode = 198
4.2.4 큐를 연결로 구현 = 199
4.2.5 자료 구조로서의 연결 리스트 = 201
4.2.6 리스트 연산의 예 = 203
4.2.7 우선 순위 큐를 리스트로 구현 = 206
4.2.8 헤더 노드 = 206
4.3 C 언어에서의 리스트 = 208
4.3.1 리스트의 배열 구현 = 208
4.3.2 배열 구현의 제한 사항 = 214
4.3.3 동적 변수의 할당과 반납 = 214
4.3.4 동적 변수를 이용한 연결 리스트 = 219
4.3.5 리스트 구조로 큐를 표현 = 222
4.3.6 리스트 연산의 예 = 224
4.3.7 비정수 리스트와 이질 리스트 = 227
4.3.8 리스트의 동적 구현과 배열 구현의 비교 = 228
4.3.9 헤더 노드의 구현 = 229
4.4 기타 리스트 구조 = 230
4.4.1 원형 리스트 = 230
4.4.2 원형 리스트로 구현한 스택 = 231
4.4.3 원형 리스트로 구현한 큐 = 233
4.4.4 원형 리스트에서의 기본 연산 = 234
4.4.5 Josephus 문제 = 235
4.4.6 헤더 노드 = 238
4.4.7 원형 리스트를 이용한 긴 양의 정수의 추가 = 239
4.4.8 이중 연결 리스트 = 242
4.4.9 이중 연결 리스트를 사용한 긴 정수의 덧셈 = 245
연습문제 = 252
제5장 트리(Tree) = 259
5.1 이진 트리 = 260
5.1.1 이진 트리의 연산 = 266
5.1.2 이진 트리의 응용 = 267
5.2 이진 트리 표현 방법 = 273
5.2.1 이진 트리의 노드 표현 = 273
5.2.2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 = 277
5.2.3 이진 트리의 암시적 배열 표현 = 278
5.2.4 이진 트리 표현 선택 = 283
5.2.5 C 언어에서의 이진 트리 순회 = 284
5.2.6 스레드 이진 트리 = 287
5.2.7 부모 필드를 사용하는 순회 = 293
5.2.8 이종(異種 : heterogeneous) 이진 트리 = 296
5.3 이진 트리의 리스트 표현 = 298
5.3.1 k 번째 요소 발견 = 300
5.3.2 요소 삭제 = 302
5.3.3 C 언어에서의 트리-표현 리스트 구현 = 306
5.3.4 트리 표현 리스트의 생성 = 310
5.4 트리와 그 응용 = 313
5.4.1 트리의 C 표현 = 315
5.4.2 트리 순회 = 318
5.4.3 일반식의 트리 표현 = 320
5.4.4 수식 트리의 평가 = 323
5.4.5 트리 구축 = 326
연습문제 =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