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찬양 총론

찬양 총론

(목회자 신학도 교회음악인을 위한,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서 사후지원 선정)

전낙표 (지은이)
표현(전낙표)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찬양 총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찬양 총론 (목회자 신학도 교회음악인을 위한,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서 사후지원 선정)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찬송가 > 찬양
· ISBN : 9788995727294
· 쪽수 : 441쪽
· 출판일 : 2014-08-21

책 소개

가능한 간결하고 짧은 문체로 작성하였다. 실례 자료들을 충분히 삽입하여 이해를 도왔다. 찬양대 봉사가 사명임을 깨닫게 해 준다. 성경에 근거한 저자의 지침을 밝혔다. 교역자, 찬양대 지휘자와 반주자를 비롯한 교회중직자, 평신도들이 꼭 알아야할 교회음악 전반에 걸친 내용을 두루 다루었다. 현재 한국 교회음악의 문제를 조명해보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작은 지침서이다.

목차

| 추천사 | (박종순 목사)
| 추천사 | (전희준 교수)
| 추천사 | (오덕호 총장)
| 머리말 |
| 책의 특징 |

제1부. 교회음악역사 편

I. 서양음악사 개론 24
A. 고대 24
B. 중세 25
C. 르네상스 31
D. 바로크 36
E. 고전 41
F. 낭만 46
G. 현대 51

II. 교회음악 54
A. 교회음악이란? 54
B. 교회음악의 역할과 조건 54
C. 교회력 55
D. 교회음악에 사용되는 악기 56
E. 교회음악과 예배음악 57

III. 교회음악사 개론 58
A. 고대 58
B. 중세 62
C. 르네상스 65
D. 바로크 68
E. 고전 69
F. 낭만 71
G. 현대 72

제2부. 찬송가 편

I. 찬송가讚頌歌 78
1. 찬송가의 개념 78
2. 찬송가의 조건 79

II. 국가별 찬송가 79
1. 미국 80
2. 영국 81
3. 독일 82
4. 일본 83
5. 한국 84

III. 찬송가 분석 86
1. 곡과 가사 관계 87
2. 화성 분석 오류 용례 90
3. 찬송가의 다양한 편성 102
4. 찬송가 분석 108

IV. 한국찬송가 개발안 112
1. 한국풍이란? 112
1)한국풍이란? 112
2)한국찬송가 개발의 당위성 112
2. 한국적 요소 114
1)음정간격 114
2)리듬 114
3)선율 114
4)화성 115
5)제창Unison 기법 115
6)짜임새Texture 115
7)장식 115
8)헤테로포니Heterophony 115
3. 한국어의 특성과 구조 116
1)한국어의 특성 116
2)한국어의 구조 117
3)한국어 강세 117
4. 한국어에 맞는 선율 작곡 117

V. 한국찬송가 작사 실제 119
1. 가사 분석과 창작 119
2. 찬송시의 조건과 내용 119
3. 찬송시 작사하기 121
1)창작가사의 중요성 121
2)찬송시 작법 122
3)찬송시 작법의 구체적 제언 122
VI. 한국찬송가 작곡 실제 125
1. 찬송가 작곡의 기초 125
2. 찬송가 작곡 순서와 방법 127
3. 찬송가 작곡 시 유의사항 128
4. 찬송가의 대중회중성 128
5. 결론 130

VII. 한국 창작찬송가 모음 130

VIII. 한국찬송가 곡 분석 137
1. 음악과 가사의 강세 불일치 137
2. 절마다 음수율音數律이 다른 가사 138
3. 각 절의 의미가 서로 다른 가사 140
4. 화성 사용의 오류 141
5. 작곡을 비음악적으로 한 경우 143
6. 형식구분이 잘못 된 경우 146

IX. 찬양론 148
1. 찬양곡 개발안 148
1)가사 부문 148
2)작곡 부문 148
2. 악곡에서 재확인 할 부분 149
3. 주일 예배 시작 전의 묵상과 찬양 149
4. 예배 전에 부를 회중찬송 레퍼토리Repertory 151

제3부. 찬양대와 찬양팀 편

I. 예배와 찬양 164
A. 예배 164
1. 예배 164
2. 예배의 당위성 165
3. 예배드릴 때 유의할 점 166
B. 찬양 166
1. 찬양 166
2. 찬양의 목표 167
3. 찬양의 대상 167
4. 찬양의 속성 168
5. 찬양의 능력 168
6. 찬양의 효과 169
7. ‘새 노래로 찬양’ 169
8. 온전한 번제와 찬양 172

II. 찬양대Choir 176
A. 찬양대의 기원 176
1. 성경적 배경 176
2. 역사적 배경 178
B. 찬양대의 역할 180
1. 예배위원의 역할 180
2. 찬양인과 그 역할 180
1)지휘자Conductor 180
2)반주자Accompanist 혹은, 연주자 180
3)찬양대원Choir Member 181
4)독창자Soloist 181
3. 찬양대 봉사자의 구체적 역할 181
1)지휘자 181
2)반주자 192
3)찬양대장과 총무 197
4)파트장 197
5)오케스트라 악장 197
6)대원 및 오케스트라 단원 198
7)교회 음향 관리자 198
8)찬양대 지휘자와 음향 담당자와의 조율 198
C.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찬양대원 200
1. 찬양대원의 신분 200
2. 찬양대원의 마음가짐과 자질 200

III. 찬양대 운영론 201
A. 성경에 근거한 찬양대 운영 201
1. 찬양대의 위치 201
2. 찬양을 통한 임상적 훈련과 효과 201
3. 찬양의 효과 202
4. 찬양 원론 203
1)찬양곡의 원론 203
2)찬양곡의 길이와 성격 204
3)찬양곡의 음악적 성격 204
4)찬양곡 레퍼토리Repertory 204
5)지휘자의 악곡 재해석과 악곡 변경 208
5. 찬양 레퍼토리 210
6. 선곡 계획서 212
7. 찬양대 부흥 안 212
8. 찬양대 파트Part연습 213
9. 찬양대와 시창 214
10. 유튜브You Tube 활용하기 216
B. 저자 소견 217

IV. 찬양곡Anthem성가합창곡 작곡 217
A. 찬양곡Anthem 작곡 217
1. 찬양곡 작곡 방법 217
2. 찬양곡 작곡 시 유의 사항 219
3. 조바꿈전조 轉調 220
4. 조바꿈과 조옮김이조 移調 220
B. 번역 성가의 문제점 222
1. 한국 성가 출판의 상황 222
2. 외국 곡 번역의 문제 222
3. 번역 성가의 문제점 223
4. 외국 성가 번역 시 유의점 223
5. 결론 및 저자 소견 224
C. 유료 악보악보 사용료=저작료 캠페인Campaign 226

V. 봉헌奉獻 Offerings 찬양 227
A. 봉헌 227
1. 봉헌 227
2. 봉헌 관련 성경구절 227
B. 봉헌 찬양 228
VI. 앙상블 ? 관현악단 운영 230
A. 성경에 근거한 악기 사례 230
1. 성경 사례 230
1)구약 230
2)신약 232
2. 악기 설명 232
3. 시편에 기록된 악기 분석 도표Chart 234
B. 저자 소견 236
1. 교회 앙상블과 오케스트라 236
2. 교회 앙상블의 특징 240
3. 앙상블 편곡자의 역할 241
4. 교회 악기의 다양한 편성 242
5. 불규칙 편성 해결 안 243
6. 교회 앙상블 운영 방안 243
7. 교회 앙상블 운영을 위한 제언 243
8. 찬양대와 앙상블 지원을 위한 제언 244
9. 찬양대원을 위한 제언 245
10. 일반 장년 성도를 위한 제언 245

VII. 보컬Vocal 찬양팀 운영 247
A. 보컬 찬양팀 운영 247
1. 보컬 찬양팀 247
2.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과 보컬 찬양팀의 유래 248
3. 보컬 찬양팀의 구성 249
4. 보컬 찬양팀의 활동 249
B. 저자 소견 250
1. 보컬 찬양팀의 본 예배 가담에 대한 견해 250
2. 보컬 찬양팀의 본 예배 가담 시 유의점 250

VIII. 찬양대 지휘자, 반주자 보수 문제 250
A. 찬양 전업자 250
B. 성경에 근거한 지휘자, 반주자 보수 문제 251
C. 레위인의 찬양사역에 대한 성경구절과 주석 252
D. 저자 소견 및 결론 256

제4부. 절기 및 공연 행사 편

I. 칸타타Cantata 연주 261
1. 칸타타의 유래와 역사 261
2. 현대의 칸타타 261

II. 오라토리오Oratorio 연주 262
1. 오라토리오의 유래와 역사 263
2. 세계 3대 오라토리오 264
3. 오라토리오 연주 준비 266

III. 마임Mime 공연 267
1. 마임의 어원 및 개념 267
2. 마임의 종류 267
3. 마임의 역사 268
4. 마임의 특성 269
5. 마임의 현재와 전망 269
6. 교회와 마임공연 269
7. 마임공연 활성화하기 270

IV. 시 ? 문학의 밤 270
1. 시 ? 문학의 밤 270
2. 시 ? 문학의 밤 행사의 필요성 271
3. 시 ? 문학의 밤 행사 진행 271

V. 인형극人形劇 Puppet Play과 성극聖劇 272
A. 인형극 272
1. 인형극의 개념 272
2. 인형의 종류 272
3. 인형극과 도구 273
4. 인형극의 효과 273
B. 성극 273
1. 성극의 개념 273
2. 뮤지컬과의 비교 273
3. 성극의 내용 273
4. 성극의 효과와 장점 273
5. 성극 공연 준비 274
6. 성극연극 공연부 운영 274

VI. 워십 댄싱Worthship Dancing 몸 찬양 275
1. 워십 댄싱 275
2. 워십 댄싱의 활용 275
3. 워십 댄싱 연습과 공연 준비 276

VII. 음악 제작 및 영상편집 276
1. 음악 제작 및 연상편집의 필요성 276
2. 음악 제작 및 연상편집의 효과 277

VIII. 결론 및 당부 277

제5부. 성서선교, 교회뮤지컬 편

I. 왜 뮤지컬Musical인가? 280
A. 뮤지컬이란? 280
B. 뮤지컬과 다른 장르 비교 280
C. 왜 뮤지컬인가? 280

II. 뮤지컬 운영의 실제 281
A. 대본구성-시놉시스 작성 282
B. 배역 설정 282
C. 대화체로 대본 구성 282
D. 찬양곡 가사 작성 및 삽입 282
E. 가사에 맞는 곡 작곡 283
F. MRMusic Recorded 반주음악편곡 283
G. 배경음악Back Ground Music, BGM 작곡 284
H. 효과음 삽입과 처리 284
I. 공연연습과 리허설 285
J. 본 공연 285

III. 전문 뮤지컬 팀이 있는 대표적인 교회 286
1. 명성교회(김삼환 담임목사) 286
2. 사랑의 교회(오정현 담임목사) 287
3. 안양제일교회(홍성욱 담임목사) 288
4. 연세중앙교회(윤석전 담임목사) 289
5. 은혜와 진리교회(조용목 담임목사) 290
6. 양곡교회(지용수 담임목사) 291
7. 광림교회(김정석 담임목사) 291

제6부. 자료 편

I. 음악예배 296
A. 음악예배 296
1. 음악예배의 개념 296
2. 음악예배의 목적 296
3. 음악예배의 특징 296
4. 음악예배의 활용 296
B. 절기 별 음악시범예배 자료 297
1. 부활절 음악예배 297
2. 추수감사절 음악예배 315

II. 찬송가 세미나 자료 338
A. 한국찬송가 개발에 관한 제언-곡과 가사 중심으로 338
B. 한국찬송가 개발을 위한 제언-작곡 측면을 중심으로 365

III. 찬양대 세미나 자료 390
A. 찬양~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전주시온성교회 390
B. 예배를 살리는 찬양대-광주북문교회 397

IV. 교회력 407
1. 교회력 407
2. 교회력의 설정 407
3. 교회력 전반기간 408
4. 교회력 후반기간 408
5. 교회력의 내용 409
6. 교회력에 따른 전례색의 의미 417
7. 2010~2039년까지의 주요 교회력 날짜 418

V. 교회력에 따른 찬양대 선곡 목록표 421

참고문헌 427

| 찾아보기 | 433
| 저자약력 | 437
| 도서안내 | 439
| 판권 |

저자소개

전낙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모짜르테움 국립음악대학 음악이론, 작곡전공제1 Diplom (오)모짜르테움 국립대학교 대학원 작곡전공제2 Diplom (오)모짜르테움 국립대학교 대학원 작곡전공 최종학위Magister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곡전공 박사학위과정 수료 (미)Midwest 대학교 교회음악학 박사(D.C.M.) 숙명여대 음악치료대학원 음악치료학, 음악심리학 수료 서울기독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연세대학교 강사역임 (현) 21c 교회음악협회 이사, 한국교회음악학회, 한국음악학회, 아세아 작곡가 연맹 한국본회(ACL), 국민악회, 한국가곡학회 이사, 한국작곡가회 자문위원, 전북작곡가회 회장역임(현, 이사),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정회원, 음악도서출판 표현, 한국뮤지컬아카데미(한뮤아)대표, 한일예배와음악연구소(HILaM)장 역임, 한국찬송가작가총연합회 상임부회장, (사)글로벌예술단 기획단장 목정문화상 수상 음악부문(제26회 전라북도 목정문화재단) 전)한일장신대학교 음악학부 작곡교수 현)음악도서출판 표현 대표 현)미드웨스트대학교 교수 및 ‘MIRI’ Church Music Conservatory 원장 현)치유합창단 / 한국뮤지컬아카데미(한뮤아) 대표 [주요논문] Gedanken zur Kompositionstechnik von Bela Bartok, basierende auf einer Analyse seiner Improvisationen. Op. 20. 2000. 6. 14. 모짜르테움 국립대학원 마기스터 학위논문 A Study on the Church Music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diom. 2004. 2. 10. Midwest University 교회음악학 박사학위 논문 [주요작품 및 저서] 1994. 04. 05.『기타독주를 위한 '山野산야Ⅰ'』도서출판 수문당 1994. 05. 15.『세 사람의 타악기 주자를 위한 '에파'』수문당 1994. 09. 13.『대금, 피리, 거문고, 장고를 위한 '허튼가락'』수문당 1999. 11. 22.『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變化변화'』음악도서출판 표현 1999. 12. 22.『기타독주를 위한 '山野산야Ⅱ'』표현 1999. 12. 22.『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표현 1999. 12. 30.『현악 4중주를 위한 '3場面장면'』표현 1999. 12. 30.『기뻐하라(국악 합창곡)』표현 1999. 12. 30.『관현악을 위한 '像상'』표현 2000. 01. 28.『전낙표 창작 성가곡집1』표현 2000. 01. 28.『오르간을 위한 '組曲조곡'』표현 2005. 09. 28.『한국음악 작곡법』표현 2006. 02. 27.『아리랑 모음곡집』한일장신대학교 출판부 2006. 12. 12.『새 노래로 주 찬양』음악도서출판 표현 2007. 02. 05. 뮤지컬칸타타,『예수님을 본 우리들』표현 2009. 03. 25.『관현악을 위한 ‘滿月만월’』표현 2010. 09. 28.『기초형식 작곡법』음악도서출판 표현 2011. 05. 20.『핵심 화성학』표현 2011. 11. 15.『시창ㆍ청음 클리닉』표현 (2012 문체부 학술우수도서 선정) 2013. 09. 03 『기본음악통론』표현 2013. 10. 31 『뮤지컬-크리스마스 선물』표현 2014. 08. 21. 『찬양 총론』표현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서 사후지원 선정) 2015. 04. 23. 『악전실습』표현 2020. 12. 18. 『합창편곡법과 연주법』표현 2020. 12. 30. 『찬양대를 위한 예배음악총론』표현 근 간 『뮤지컬 작곡 가이드라인』표현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