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 한국사
· ISBN : 9788996410669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11-05-11
책 소개
목차
글쓴이의 글4
≪바로 그때 한국사와 세계사≫, 이렇게 보세요!6
고대~통일 신라,
바로 그때 한국사와 세계사
기원전 27만 년연천 전곡리 구석기 유적 14: 우리나라 구석기 유적지와 생활 | 아슐리안형 도끼 | 구석기 시대의 뗀석기
기원전 35만 년네안데르탈인이 나타나다 15: 생김새의 변화기원전
5000년 서울 암사동 선사 유적지 16: 간석기 | 빗살무늬토기 | 패총기원전
7000년 신석기 시대 농경의 시작 17: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신석기 유적지기원전 5000년4대 문명 18메소포타미아 문명18: 수메르 | 함무라비 법전 | 오리엔트 | 길가메시 서사시 | 설형 문자 | 페니키아와 헤브라이이집트 문명 사자의 신 오시리스 | 상형 문자인더스 문명 모헨조다로 유적 | 하라파 유적황허 문명 하, 상(은), 주 | 선양 | 요와 순
기원전 2333년고조선 건국 24: 단군 왕검 | 홍익인간기원전 2600년이집트의 피라미드 25피라미드는 왜 만들었을까? | 임호텝 | 스핑크스 | 미라 | 최초의 국제 전쟁, 카데시 전투 | 람세스 2세와 엑서더스 | 투탕카멘
기원전 1122년고조선의 발달 27: 기자동래설 기자고조선의 세력권을 나타내는 유물들 청동기는 어디에 쓰였을까? | 고조선의 사회 생활과 모습 | 8조 금법 | 고인돌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기원전 776년 제1차 고대 올림피아 제전 31: 어린이 올림픽 | 근대 올림픽 경기 | 판크라티온
기원전 2000년에게 문명과 고대 그리스 32: 에게 문명크레타(미노아) 문명 라비린토스고대 그리스아테네아네테에서 활동한 인물들 이솝 | 호메로스스파르타 페르시아 전쟁 | 펠로폰네소스 전쟁(포커스) 트로이 전쟁 38
기원전 1500년고대 인도 40: 불교의 탄생 카스트 제도 | 석가모니 | 베다 | 우리 나라 불교의 전래왕조의 탄생 아소카 왕 | 카니슈카 왕 | 간다라 미술 | 굽타 양식
기원전 770년 춘추 전국 시대 44: 춘추 시대전국 시대 백가쟁명
기원전 221년진, 최초의 중국 통일 국가 46: 진의 중국 통일 만리장성 | 제와 군국제
기원전 202년유방, 한나라 건국 47: 유방의 한 | 건국 한나라의 전성기, 한 무제 고조선과 중국의 관계 | 실크로드 후한 시대 (포커스)중국의 사상가들 50
기원전 753년로마 이야기 52: 건국왕정공화정(기원전 509년~27년) 12동판법이탈리아의 통일포에니 전쟁과 영토 확장 한니발 | 카르타고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라티푼디움카이사르의 암살과 공화정 마감로마 제정(기원전 27년~기원후 476년) 오현제와 군인 황제 시대 콘스탄티누스 대제 로마의 문화 제2차 삼두 정치 |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 클레오파트라 7세(포커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60
기원전 469년소크라테스의 탄생 62: 차축 시대 | 탈레스 | 피타고라스 | 플라톤 | 소피스트 | 아리스토텔레스
기원전 5세기한반도에 철기 보급 64: 널무덤과 독무덤 | 민무늬토기
기원전 331년알렉산드로스 대왕 65: 헬레니즘 | 이오니아 건축 양식 | 도리스식 건축 양식
기원전 194년위만 왕조와 고조선의 멸망 66: 공무도하가
기원전 202년항우와 유방, 해하의 결전 67: 항우 | 약법삼장(포커스) 홍문의 회 68
기원전 108년한군현 설치 70: 낙랑군
기원전 91년사기 편찬 71: <한서> | 편년체 | <삼국지> | 기사본말체
기원전 3세기한반도, 만주 지역의 나라들 72: 부여 해모수와 해부루, 금와와 주몽 | 윷놀이삼한동예옥저 서옥제
기원전 37년주몽, 고구려 건국 76: 고구려 건국 이야기고구려의 5부족고구려의 정치 제도 대무신왕 | 태조왕 | 고국천왕
기원전 18년온조, 백제 건국 78: 백제 건국 이야기백제의 정치 제도 고이왕 | 풍납토성
기원전 57년혁거세, 신라 건국 79: 신라 건국 이야기 알영 읍락 국가에서 연맹 왕국으로 발전 왕의 명칭
기원전 4년 예수의 탄생 81: 성경 | 모세 5경 | 베드로와 바울
194년 진대법 82: 의창
208년 적벽대전 83: 고구려와 삼국과의 관계 | 출사표(포커스) 조조, 유비, 손권 84
313년 고구려, 낙랑을 멸망시키다 86: 을불 이야기
313년 밀라노 칙령 87: 로마의 기독교 박해 | 콘스탄티누스 1세 | 리키니우스
346년백제의 전성 시대 88: 왕인 | 칠지도
304년 중국, 5호 16국 시대 89: 8왕의 난
372년 고구려, 통치 제도를 만들어가다 90: 소수림왕 | 삼국은 왜 불교를 받아들였는가? | 율령
375년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 91: 훈족은 누구인가? | 아틸라
391년 광개토왕의 영토 확장 92: 임나일본부설 | 연호 | 광개토왕릉비
395년 비잔틴 제국 93: 테오도시우스 황제 | 로마는 왜 동서로 분열되었는가?
427년고구려 장수왕, 평양 천도 94: 개로왕 | 중원고구려비 | 장군총
439년 중국, 남북조 시대 95: 둔황의 막고굴 | 윈강의 석굴 사원 | 룽먼의 석굴 사원(포커스) 영원한 적도, 친구도 없다! 96
475년 백제 웅진 시대 98: 무령왕 | 성왕 | 노리사치계
476년 서로마 제국 멸망, 중세의 시작 99: 제국의 멸망
520년 신라 법흥왕, 율령 제정 100: 지증왕 | 삼국의 율령 제정 | 이차돈
520년 영국, 아서왕과 원탁의 기사 101: 기사도 정신 | 원탁의 기사
532년 금관가야의 멸망 102: 우륵 | 수로왕 전설
537년 성 소피아 성당 건축 103: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 성상금지령 | 술탄 아흐메드 모스크
555년 신라, 진흥왕 순수비 104: 금석문 | 단양신라적성비 | 화랑 제도
552년 돌궐 제국 건국 105: 이리가한삼국의 문화 106고구려의 문화 담징백제의 문화신라의 문화 자장
612년 살수 대첩 112: 을지문덕 | 수 문제
618년 당나라 건국 113: 이백 | 균전제 | 두보(포커스) 영양왕 114
632년 최초의 여왕인 선덕여왕 즉위 116: 첨성대 | 지기삼사 | 우리 나라의 여왕
626년 현무문의 변으로 당 태종 즉위 117: 방현령과 두여회 | 정관의 치
645년 연개소문과 안시성 전투 118: 양만춘 | 연개소문
645년 일본, 다이카 개신 시작 119: 쇼토쿠 태자 | 스이코 천황
660년 백제의 멸망과 부흥 운동 120: 백제의 멸망 김유신 | 김춘추백제의 부흥 운동 웅진도독부 | 계백
668년 고구려의 멸망, 부흥 운동 122: 고구려의 멸망고구려의 부흥 운동 안동도호부
661년 사라센 제국 123: 무함마드우마이야 왕조(661~750년) 이슬람의 다섯 기둥아바스 왕조(750~1258년) 수니파와 시아파
668년 통일 신라 시대가 열리다 126: 감은사와 만파식적 | 문무왕과 대왕릉
683년 중국 최초의 여황제, 측천무후 집권 127: 무주의 치
698년 대조영, 발해 건국 128: 발해와 당, 신라, 왜와의 관계 | 문왕
712년 당 현종, 개원의 치 129: 안사의 난
727년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130: 아잔타 석굴 | 날란다 사원
720년<일본 서기> 편찬 131: 육국사
751년 불국사 창건 132: 불국사의 문화재 | 포석정 | 안압지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원효 | 의상 | 석굴암 | 성덕대왕 신종
747년당의 고선지, 서역 원정을 떠나다 135: 탈라스 전투 | 봉상청
남북국의 사회와 제도 136: 통일 신라 관료전 | 녹읍 | 상수리 제도발해
780년 통일 신라의 혼란 138: 원성왕 | 풍수지리설 | 김헌창의 난
787년 바이킹 시대 개막 139: 바이킹의 배 | 카누트 대왕프랑크 왕국과 봉건 제도 140메로빙거 왕조카롤링거 왕조봉건 제도
828년 장보고의 청해진 개척 142: 신라방, 신라소, 신라관 | 견당매물사
828년 잉글랜드의 통일 143: 알프레드 대왕
879년 최치원의 <토황소격문> 144: 6두품 | 3최 | 계원필경
875년 당나라, 황소의 난으로 혼란 145: 환관
901년 후삼국 시대 146: 궁예의 후고구려, 견훤의 후백제, 신라의 멸망 | 미륵불 | 신검
고려,
바로 그때 한국사와 세계사
918년 왕건, 고려를 건국하다 150: 훈요 10조
907년 당의 멸망과 5대 10국의 시대 151: 후삼국과 5대 10국 시대 | 송나라
956년 광종의 개혁 152: 최승로 | 노비안검법과 노비환천법
962년 오토 1세, 신성로마제국 설립 153: 독일의 왕 선출법
고려의 사회와 정치 제도 154: 집권 초 왕권의 불안, 광종의 개혁중앙과 지방 제도 성종, 군사 제도토지와 조세 제도, 교육과 과거, 불교 문화 | 서경 제도 | 기인 제도 | 사심관 제도 | 2성 6부
993년 거란과의 전쟁 158: 강민첨 | 천추태후 | 서희 | 강감찬
987년 프랑스 카페 왕조 성립 159: 발루아 왕조 | 루이 9세
1044년 천리장성 짓다 160: 강동 6주
1038년 투그릴 베그, 셀주크 왕조를 열다 161: 술탄
1096년 십자군 전쟁 162: 소년십자군 | 사자왕 리처드 1세 | 템플기사단 | 독일기사단 | 요한기사단
1107년 윤관의 9성 개척 166: 별무반
1115년 여진의 아구다, 금나라 건국 167: 맹안모극
1135년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168: 이자겸의 난 | 칭제건원
1142년 금, 남송을 신하국으로 만들다169: 악비
1170년 무신 정권 시대 170: 무신의 난, 무신의 권력 투쟁, 최씨 정권 | 삼별초의 항쟁
1198년 만적의 난 172: 무신 정권 때 대표적인 반란
1198년중세 교황권의 전성기 173: 아비뇽 유수 (포커스) 카노사의 굴욕 174
1206년 칭기즈 칸과 몽골 제국 176: 테무친, 칭기즈 칸의 정복 사업, 원나라몽골 제국의 쇠퇴 | 몽골의 영토 분할 | 킵차크한국 | 일한국 | 차가타이한국 | 오고타이한국
1231년 몽골의 침략 178: 팔만대장경 | 다루가치 | 김윤후
1215년 영국, 마그나카르타 179: 마그나카르타의 중요 조항
1281년 일연의 <삼국유사> 180: 김부식의 <삼국사기> | 이승휴의 <제왕운기> |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 균여의 <균여전>
1299년 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 출간 181
1351년 공민왕의 개혁과 권문세족 182: 신돈 | 권문세족1337년백년 전쟁 183유럽의 흑사병(포커스) 잔 다르크 184
1377년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 <직지심경> 186: 상정고금예문
1368년 주원장, 명나라 건국 187: 영락제고려의 문화와 예술 188고려 청자불교 예술그림과 글씨
찾아보기 190
리뷰
책속에서
475년, 백제 웅진 시대 백제는 고구려 장수왕에게 수도 한성이 함락되고, 이 때문에 개로왕이 죽임을 당했어. 한성을 빼앗긴 백제는 문주왕이 수도를 웅진(지금의 공주)으로 옮기고 다시 한번 재기할 힘을 길렀어. 동성왕은 신라와 혼인 동맹을 통해 국력을 키웠고, 501년 무령왕은 즉위하면서 고구려와 말갈의 침입을 막고 중국 남조의 양나라와 외교를 통해 차차 힘을 키워 나갔어. 또한 지방의 담로에 왕족을 파견해 왕권을 강화하고 지방을 통제해 국력을 회복했어. 이어 성왕 때인 538년에 수도를 웅진에서 사비(지금의 부여)로 옮기고 국호도 남부여로 바꿨어. 노리사치계에게 일본에 불교를 전파케 하고, 중국 양나라에 사신을 보내 외교 관계를 지속했으며, 신라와 손잡고 고구려를 물리쳐 잠시 한강 유역을 다시 찾기도 하는 등 번영의 시대가 오는 듯했지. 하지만 신라 진흥왕과의 동맹이 깨지면서 신라와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은 전사하고, 결국 백제는 재기하지 못한 채 점점 쇠퇴하고 말았어.
476년 서로마 제국 멸망, 중세의 시작 395년 로마가 동서로 분열되고, 약 100년 만인 476년에 지금의 서유럽 지역인 서로마가 멸망하면서 게르만족의 시대인 중세가 시작됐어. 게르만족은 로마 제국 때 야만족이라고 멸시를 받았으나 이 시기에 역사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게 돼. 라틴 민족의 로마 제국에서 게르만족 중심 시대가 열린 거지. 하지만 중세 시대는 유럽 역사의 암흑기라고 할 정도로 문화와 예술, 정치 등에서 어지러운 시대였어. 이런 중세 시대는 1000여 년 이어지다가 1400년대에 잊혀진 그리스, 로마의 고전 문명을 기억하는 르네상스 시대가 등장하면서 막을 내리게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