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6706335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12-10-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 론
1. 이 연구의 필요성
2. 이 연구의 난점
3. 이 연구의 기본방향
제 1 장 오순절 운동의 역사
I. 오순절 운동에 대한 개관
1. 일반적 서론
2. 오순절 운동의 현황
3. 오순절 운동에 대한 평가
II. 오순절 운동의 역사적 배경
1. 몬타누스주의
2. 존 웨슬리와 메소디즘
1) 존 웨슬리의 생애와 사상의 배경
2) 존 웨슬리의 사상(메소디즘의 주장)
3. 찰스 피니와 부흥 운동
1) 찰스 피니의 독특한 회심
2) 찰스 피니의 신학
3) 찰스 피니의 부흥 방법론
4) 찰스 피니의 영향
4. 19세기 미국의 성결 운동
5. R. A. 토리와 그의 성령론
III. 오순절 운동의 시작과 신오순절 운동의 출현
1. 오순절 운동의 시작
1) 1901년의 토페카
2) 1906년의 아주사 거리
2. 신오순절 운동의 출현
제 2 장 오순절 사건과 성령 세례
I. 오순절 사건과 해석 문제
1. 이해의 난점
2. 해석상의 문제
II. 오순절주의자들의 견해
1. 두 번째 체험으로서의 성령 세례
1) R. A. 토리 목사의 견해
2) J. E. 커밍 목사의 견해
3) 조용기 목사의 견해
2. 봉사를 위한 능력으로서의 성령 세례
1) 복음 전파의 능력으로서의 성령 세례
2) 새로운 생활의 능력으로서의 성령 세례
III. 전통적 견해
1. 첫 번째 체험으로서의 성령 세례
2. 예수님의 제자들의 문제
1) 존 스토트 목사의 견해
2) 박형룡 박사의 견해
3) 앤터니 후크마 교수의 견해
4) 제임스 던 교수의 견해
5) 메릴 엉거 교수의 견해
IV. 필자의 견해
1. 올바른 입장
2. 구속사적 관점에서 본 오순절 사건(성령 강림)
1) 구속사적 사건
2) 신약 시대의 교회의 탄생을 가져온 사건
3) 첫 번째 사건
3. 제자들의 관점에서 본 오순절 사건(성령 세례)
1) 오순절 전의 제자들은 신약 시대의 큰 구원 이전에 속해 있었다
2) 오순절 날의 제자들은 새 출발을 하였다
3) 오순절 후의 제자들은 능력 있는 증인이 되었다
결 론
[부록] 성령 세례와 중생의 관계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