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88996994800
· 쪽수 : 835쪽
· 출판일 : 2013-02-27
목차
컬러화보
서문 / 추천사
<총론>
제1장 본초학의 정의
제2장 본초학의 역사
제1절 우리나라의 본초사
상고시대의 본초 / 삼국시대의 본초 / 통일신라시대의 본초 / 남방 및 서역에서 의약품수입 / 고려시대의 본초학 / 조선시대의 본초학 / 조선말기의 본초학 / 1900년~해방 이전의 본초학 / 해방 이후~1970년대 이전의 본초학 / 1970년대 이후의 본초학
제2절 중국의 본초사
본초학의 기원 / 신농본초 / 위진 남북조시대의 본초 / 도홍경의 본초교정 / 수당시대의 본초 / 송대의 본초 / 금원시대의 본초 / 명청시대의 본초 / 신해혁명~중화민국의 본초
제3절 일본의 본초사
제3장 본초학의 범위와 한약재의 명칭
제1절 본초학의 범위
제2절 한약재의 명칭
제4장 약용식물학의 일반적 지식
제1절 식물 분류학의 이해
식물 분류학의 정의 / 식물 분류학의 기반 / 분류학의 변천과정 및 분류법 / 검색표(Key)의 작성
제2절 식물원과 표본
식물원, 수목원, 표본관 / 표본제작과 관리
제3절 식물 외부형태학의 이해
Ⅰ. 영양기관
뿌리(Root) / 줄기(Stem) / 가지(Branch) / 잎(Leaf)
Ⅱ. 생식기관
화서(inflorescence)와 꽃(flower) / 과실(열매 : fruit)/ 종자(seed)
제4절 식물 내부형태학의 이해
Ⅰ. 세포
세포개설 / 세포벽 / 세포간극
Ⅱ. 조직
조직개설 / 유관속식물의 분류법 / 표피계 / 기본조직계 / 유관속계 / 이차유관속 / 중심주
제5장 약성론
제1절 사기와 오미
약성(사기) / 약미(오미) / 기와 미의 관계 / 오장과 오미의 보사 / 오미소상 / 오미오주 / 오장오의
제2절 승강부침
제3절 약물의 귀경
제4절 약물의 보사
제5절 독성에 대한 개념
제6절 제경의 인경요약
약성을 이용한 인경약 / 표리와 경락관계에 사용되는 인경약 / 수족경관계에 사용되는 인경약
제6장 한약재의 용량과 금기
제1절 배합
제2절 용량
약물의 성질과 용량의 관계 / 약물배오와 용량의 관계 / 약물제량의 대소와 제형과의 관계 / 질병과 제량의 관계 / 체질과 용량의 관계 / 계절과 지역의 다름과 용량의 관계
제3절 금기
증후금기 / 배오금기 / 임신용약의 금기 / 복약금기
제4절 복용법
전약법 / 복약법 / 복약후의 반응
제7장 한약재의 채집과 저장
제1절 한약재의 산지
제2절 한약재의 채취
근과 근경류 약재 / 경엽 전초류 약재 / 꽃과 꽃가루 / 수피와 근피 / 과실과 종자 / 수지류 약물 / 동물류 약물
제3절 한약재의 건조
양건법(직사광선건조법) / 음건법 / 증건법(인공증건) 및 탕침법 / 화건법(인공가온건조법)
제4절 한약재의 저장
저장전의 처리 / 저온 및 방습저장 / 피광저장 / 방충저장 / 밀폐저장 / 경험저장
제8장 한약재의 감별
원식물(혹은 원동물·원광물)의 감별법 / 외표와 성상에 의한 육안적 감별법 / 현미경에 의한 감별법 / 이화학 및 기기분석에 의한 감별법 / 생물학적 분석에 의한 감별법 / 유전자 분석에 의한 감별법
제9장 약물의 포제
제1절 개요
수치의 기원 / 수치의 발전사
제2절 수치의 목적
포제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 포제가 약물성분에 미치는 영향
제3절 수치의 상용보료
액체보료 / 고체보료
제4절 세정과 가공
한약재의 수치제법 / 잡질을 제거하는 방법 / 비약용부위의 분리와 제거 / 기타 가공
제5절 음편절제
절제전의 수분처리 / 음편의 유형 및 그 절제방법 / 음편의 건조방법 / 음편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
제6절 초법
청초법 / 보료초법
제7절 자법
주자법 / 초자법 / 염자법 / 강자법 / 밀자법 / 유자법
제8절 하법
명하법 / 하쉬법 / 밀폐하법(암하, 민하, 간접하)
제9절 증·자·천·오법(수화공제법)
증법 / 자법 / 천법(수탕) / 오법
제10절 복제법
제11절 발효·발아법
발효법 / 발아법
제12절 기타제법
홍배법 / 외법 / 제상법 / 제정법 / 수비법 / 건류법 / 기타의 수치법
제10장 방제형
제1절 군신좌사
제2절 제형
탕제 / 산제 / 환제(원·주·정·단) / 음 혹은 음자 / 고제 / 주제 / 세제(욕제) / 시럽제 / 엑스제 / 주사제 / 증류한약 / 발효한약
<각론>
제1장 해표약
제1절 발산풍한약(신온해표약)
마황 / 계지 / 자소엽 / 형개 / 강활 / 백지 / 방풍 / 고본 / 신이 / 세신 / 생강 / 향유 / 총백 / 정류 / 창이자
제2절 발산풍열약(신량해표약)
박하 / 우방자 / 상엽 / 국화 / 갈근 / 시호 / 승마 / 만형자 / 담두시 / 선태 / 부평 / 목적
제2장 청열약
제1절 청열사화약
석고 / 지모 / 노근 / 과루근(천화분) / 죽엽 / 치자 / 하고초 / 담죽엽 / 밀몽화 / 청상자 / 괴각
제2절 청열조습약
황금 / 황련 / 황백 / 용담초 / 고삼 / 백선피 / 대두황권
제3절 청열양혈약
서각 / 지황·생지황 / 현삼 / 목단피 / 적작약 / 자초(자근)
제4절 청열해독약
금은화 / 연교 / 포공영 / 자화지정 / 대청엽 / 판람근 / 청대 / 우황 / 마치현 / 백두옹 / 진피 / 패장초 / 백화사설초 / 웅담 / 백렴 / 누로 / 산자고 / 녹두 / 야국화 / 인동등 / 조휴 / 반변련 / 토복령 / 어성초 / 사간 / 산두근
제5절 청허열약
청호 / 백미 / 지골피 / 은시호 / 호황련
제3장 사하약
제1절 공하약
대황 / 망초 / 노회
제2절 윤하약
화마인 / 욱리인
제3절 준하축수약
감수 / 대극 / 원화 / 견우자 / 상륙 / 파두 / 속수자
제4장 거풍습약
제1절 거풍습지비통약
독활 / 위령선 / 방기 / 진교 / 해동피 / 초오 / 잠사(잠시) / 마전자
제2절 서근활락약
목과 / 낙석등 / 상지 / 백화사·기사 / 희렴초 / 오초사 / 취오동
제3절 거풍습강근골약
오가피 / 호골 / 곡기생 / 상기생
제5장 방향화습약
창출 / 후박 / 곽향(토곽향·광곽향) / 사인 / 백두구 / 초두구 / 초과 / 패란
제6장 이수삼습약
제1절 이수퇴종약
복령 / 저령 / 택사 / 의이인 / 동과피 / 적소두 / 옥미수
제2절 이뇨통림약
차전자 / 목통 / 활석 / 통초 / 해금사 / 석위 / 비해 / 지부자 / 편축 / 구맥 / 동규자 / 등심초 / 삼백초
제3절 이습퇴황약
인진호 / 금전초
제7장 온리약
부자 / 천오두 / 건강 / 육계 / 오수유 / 촉초 / 필발 / 필징가 / 정향 / 고량강 / 소회향 / 호초
제8장 이기약
진피 / 청피 / 지실 / 지각 / 목향 / 향부자 / 오약 / 침향 / 천련자(금령자) / 여지핵 / 청목향 / 해백 / 단향 / 시체 / 매괴화 / 대복피 / 토목향 / 감송향
제9장 소식약
산사 / 신곡 / 맥아 / 곡아 / 내복자 / 계내금
제10장 구충약
사군자 / 고련피 / 빈랑 / 뇌환 / 학슬 / 비자 / 무이 / 관중
제11장 지혈약
제1절 수렴지혈약
용아초(선학초) / 백급 / 종려피 / 우절
제2절 양혈지혈약
대계 / 소계 / 지유 / 괴화 / 측백엽 / 백모근 / 양제근
제3절 화어지혈약
삼칠근 / 포황 / 천초근
제4절 온경지혈약
애엽
제12장 활혈거어약
천궁 / 유향 / 몰약 / 현호색 / 울금 / 강황 / 봉출(아출) / 삼릉 / 단삼 / 호장근 / 익모초 / 도인 / 홍화 / 오령지 / 우슬 / 천산갑 / 자충 / 수질 / 택란 / 능소화 / 자연동 / 왕불류행 / 소목 / 건칠 / 조각자 / 혈갈 / 충위자 / 권백 / 계혈등
제13장 화담 지해 평천약
제1절 온화한담약
반하 / 천남성 / 백부자 / 백개자 / 조협 / 선복화 / 백전
제2절 청화열담약
전호 / 길경 / 과루 / 천패모 / 절패모 / 천축황 / 죽여 / 죽력 / 청몽석 / 해조 / 곤포 / 반대해 / 비파엽 / 동과자
제3절 지해평천약
행인 / 백부근 / 자완 / 관동화 / 소자 / 상백피 / 정력자 / 마두령 / 백과
제14장 안신약
제1절 진심안신약
주사 / 자석 / 용골 / 호박
제2절 양심안신약
산조인 / 백자인 / 원지 / 합환피 / 영지 / 야교등
제15장 평간약
제1절 평간식풍약
영양각 / 조구등 / 천마 / 백강잠 / 전갈 / 오공 / 구인 / 결명자
제2절 평간잠양약
석결명 / 모려 / 진주 / 대자석 / 백질려(자질려)
제16장 개규약
사향 / 빙편 / 석창포 / 소합향 / 안식향 / 섬수 / 장뇌
제17장 보익약
제1절 보기약
인삼 / 당삼 / 황기 / 백출 / 산약 / 백편두 / 감초 / 대조 / 봉밀
제2절 보양약
녹용 / 녹각 / 녹각교 / 녹각상 / 파극천 / 육종용 / 선모 / 음양곽 / 호로파 / 두충 / 속단 / 보골지 / 구척 / 익지인 / 골쇄보 / 동충하초 / 합개 / 호도육 / 자하거 / 토사자 / 사원질려 / 쇄양 / 구자 / 양기석 / 해구신 / 해마 / 사상자
제3절 보혈약(양혈약)
당귀 / 숙지황 / 백작약 / 하수오 / 아교 / 용안육
제4절 보음약
사삼 / 맥문동 / 천문동 / 석곡 / 옥죽 / 황정 / 백합 / 구기자 / 상심자 / 한련초 / 여정자 / 귀판 / 별갑 / 흑지마 / 저실자
제18장 수삽약
제1절 지한약
부소맥 / 마황근 / 나도근
제2절 지사약
가자 / 육두구 / 적석지 / 오매 / 앵속각 / 우여량 / 석류피 / 춘피 / 오배자
제3절 삽정 축뇨 지대약
오미자 / 연자육 / 검실 / 산수유 / 금앵자 / 상표초 / 복분자 / 해표초 / 백반
제19장 용토약
과체 / 상산 / 담반 / 여로
제20장 외용약
유황 / 비석 / 웅황 / 경분 / 연단 / 노감석 / 붕사 / 반모 / 노봉방 / 대풍자 / 목근피
<부록>
부록1. 공정서에 수재되어 있으나, 본서에서 빠진 한약재
부록2. 기타 알아두어야 할 한약재
부록3. 동의보감 및 방약합편에 응용된 약물 및 빈도수
부록4. 약성가
찾아보기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