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97087112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16-10-24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김운용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예배설교학)
김진홍 목사(청주 금천교회 담임)
머리말
1. 주제설교(Topical Sermon)
2. 강해설교(Expository Sermon)
3. 본문접맥식 설교(Textbezogene Themapredigt)
4. 양극구조 설교(Bipolar Sermon)
5. 분석설교(Analytical Sermon)
6. 상관관계 설교
7. 원전설교
8. 이야기체 설교(Narrative Sermon)
9. 네 페이지(The Four Pages of the Sermon) 설교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주제설교란 설교자 삶의 장에서 발견되어진 주제를 가지고, 본문을 선택해서 설교자의 주관에 따라서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설교형태이다. 정확한 설교명칭은 ‘제목(title)설교’가 아니라, ‘주제(topical)설교’이다. 주로 3대지로 구성함으로 ‘삼지창 설교’라는 별명이 붙어있다. 특별히 예화 세 개만 있으면 한편의 설교작성이 가능하다고 생각함으로, 한국교회 설교자들이 가장 편안하게 많이 사용하는 전통적인 설교 형태이다. 장점으로는 첫째, 설교 구성이 매우 쉽다. 주로 세개의 대지를 만들고 각 대지에 예화를 삽입하면 한편의 설교가 구성된다. 둘째, 논리적, 합리적, 이성적으로 정보와 명제를 효과적으로 잘 전달 할 수 있으므로 회중들이 선명하고 명료한 이해를 가지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제설교는 상당히 많은 장점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약점이 다른 설교 형태보다 많다. 첫째, 설교자의 생각이 설교본문을 지배할 수 있다. 즉 본문보다는 설교자가 말씀의 주인이 되어서 본문을 통제하고 지배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설교형태이다. 그리하여 본문을 설교자의 ‘증거자료’(proof text)로 전락 시키므로 ‘성언운반일념’(聖言運搬一念)을 이탈하는 ‘비성경적인 설교’가 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므로 좀 더 성경적인 주제설교가 되기 위하여 보완책이 뒤따라야 한다. 첫째, 대지는 반드시 본문에서 나오게 한다. 허락되지 안 으면 적어도 성경 66권 가운데서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성경말씀을 인용할 때 문장의 주어는 성삼위 하나님이 주어가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전13장의 경우 “하나님은 바울을 통하여 ...말씀하십니다.”라고 한다. 셋째, 각 대지마다 통일성과 연관성을 가져야 한다.
-주제설교(topical sermon) 중에서
존 스타트(John Stott)는 ‘두세계 사이에서’(Between Two Worlds)에서 “설교란 다리 놓기이다(bridge-building)이다. 참된 설교란 성경의 세계와 현실세계 사이에서 다리를 놓은 작업이다. 그리고 두세계 사이에 동등하게 접지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허도화는 성경적 설교를 설명하면서 “설교학적인 임무인 텍스트와 컨텍스트에 충실한 설교”라고 정의를 내렸다. 올바른 설교란 성경의 세계에 대한 진리를 잘 석의하는 것 뿐 만아니라, 현실세계에 대한 적절한 적용이 있어야 참된 설교라고 볼 수 있다. 이에 상관설교는 성경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를 균형있게 말씀하는 설교형태로서 새벽기도, 심방, 교회학교 설교 시 아주 간단하고 편리하게 설교할 수 있는 쉬운 설교 형태로 주목받고 있다. 구성은 간단한 서론, Then(성경 본문의 내용), 그리고 Now(지금 우리의 삶에 적용)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관관계 설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