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ISBN : 9788997231720
· 쪽수 : 190쪽
· 출판일 : 2013-07-15
책 소개
목차
1. 서론
2. 고정식 해양구조물
3. 부유식 구조물
4. 하이브리드 구조물
5. 해양구조물 설비 및 시추기술
6. 해양플랜트
7. 해양구조물의 기능
저자소개
책속에서
- 저자서문
살펴보면, 유로존의 경제위기 지속 등 세계 경제침체가 지속되고, 세계 최강의 위치를 유지하던 한국의 조선 산업에서는 과잉 생산 및 중국의 저가 공세 등으로 인해 위기에 직면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주목받고 있는 해양플랜트 산업은 조선 산업에서 사용되는 기초기술들을 다수 활용할 수 있고, 가격보다는 검증된 기술과 품질, 특화된 기술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중국과의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조선 산업은 해운회사 중심의 제조업이라는 성격이 강한 반면, 해양플랜트 산업은 제품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시추, 생산의 안전성 및 안정성 등 조건에 따른 차별화된 제품이 요구되기 때문에, 앞선 엔지니어링 기술이 강조된다. 더불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원유공급을 위해 심해원유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산업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이 되는 등, 해양플랜트 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미래의 먹거리로 평가된다.
이 책은 조선해양공학 및 인접분야를 전공하는 학부생들을 위한 “해양구조물 설계 및 플랜트 공학에 대한 개론”이다. 해양 구조물이란 육지와 연결된 어떤 구조도 갖지 않은 채, 어떠한 날씨 조건하에서도 바다의 한 지점에 머물러 있을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 해양 구조물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해저유전이나 가스의 개발과 생산을 위해 설치되기도 하고, 대형 유조선의 접안을 위한 항만 구조물로 쓰이기도 하는 등, 해양 구조물은 해양플랜트를 비롯하여 해상에서 운영되는 다양한 구조물을 통칭한다. 이 책에서는 해양구조물을 처음 접하는 관련 전공 학부생들을 위해 선박과 해양구조물을 비교하고 해양구조물의 기초 구조를 고정식, 중력식, 부유식, 하이브리드식 등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 및 지반과의 관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해저석유나 천연가스를 시추, 생산, 저장 및 수송하는데 필요한 구조물의 설계와 플랜트 기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더불어 해양구조물의 다양한 부가적 기능에 대한 소개를 수록하여 넓은 의미의 해양구조물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끝으로, 이 책을 집필하는데 헌신적으로 수고해 준 군산대학교 조선공학과 전산역학 최적설계 연구실의 정석경 군과 GS인터비전의 송기수 사장님과 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3년 6월
하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