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97255443
· 쪽수 : 426쪽
· 출판일 : 2012-03-30
책 소개
목차
역자의 말 3
시작하면서 7
제1장 영어교육관과 제2언어 습득 연구 19
1.1. 영어 학습관과 영어교육관 21
1.2. 독자의 영어관은? 22
1.3. 제2언어 습득 연구란 무엇인가? 26
제2장 전통적 교수법 33
2.1. 전통적 교수법의 언어 습득관과 교육관 35
2.2. 전통적 교수법에서의 교육 방법 38
2.3. 한계와 문제점 42
2.3.1. )전통적 교수법으로 배운 영어로 커뮤니케이션을
잘 할 수 있을까? 42
2.3.2. )문법을 확실히 이해하면, 사용할 수 있게 될까? 45
2.3.3. )열심히 연습하면 반드시 능숙해지는가? 59
2.3.4. )문법 중심의 수업에서 커뮤니케이션으로 균형을
잡으면 어떨까? 71
2.3.5. )문법과 커뮤니케이션을 따로 가르치면 어떤 영향을
미칠까? 76
2.4.. 요약 81
제3장 커뮤니케이션 중심 언어 교수법 1:내용중심교수법 83
3.1. 커뮤니케이션 중심 교수법의 언어 습득관과 교육관 86
3.2. 커뮤니케이션 중심 교수법의 약버전과 강버전 90
3.3. 내용중심교수법이란 무엇인가? 93
3.3.1. 내용중심교수법의 이론적 배경과 일본의 영어교육
에서의 의미 95
3.3.2. 몰입교육의 도전:일석이조에 몰두하다 113
3.3.3. 프랑스어 몰입교육에 대한 연구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것 122
3.3.4. )加藤?園kat?gakuen의 영어 몰입교육 : 일본에서도
가능할까? 126
3.3.5. 내용중심교수법의 앞으로의 과제 133
제4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언어 교수법 2 : 과제중심교수법 139
4.1. 과제task란 무엇인가? 141
4.2. 과제중심교수법의 이론적 배경 157
4.3. 과제활동에 대해서 SLA연구가 시사하는 것 166
4.3.1. )단순화 vs. 상세화:어느 인풋이 읽기에서 이해를
깊게 할 것인가 167
4.3.2. 회화에서의 상호작용은 문법 학습에 도움이 되는가? 173
4.3.3. 과제 중심 수업은 어휘 습득에 도움이 될까? 181
4.3.4. )벨기에 시행된 과제 중심 교육의 대규모 프로젝트가
제시하는 과제 187
4.4. 과제중심교수법의 과제 193
4.5. 정리 200
제5장 제3의 어프로치:Focus on Form 203
5.1. 언어습득의 3요소란? 206
5.1.1. 수동태의 예 208
5.1.2. 존재를 나타내는 There 구문의 예 211
5.1.3. 3요소를 가르칠 때의 주의 사항 214
5.2. focus on form의 언어 습득관과 교육관 216
5.3. focus on form의 과제 221
5.3.1. 어떤 언어형식을 목표로 할 것인가 222
5.3.2. Focus on Form을 실시하기 위해서 교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224
5.3.3. 어떠한 테크닉을 사용하여 언어형식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할 것인가? 226
5.3.4. 어떠한 타이밍/수업 구성으로 언어형식에 주의를
기울이게 할 것인가? 231
5.3.5. 일본의 영어교육에서 실러버스를 어떻게 할까? 235
5.3.6. )일본에서 어떻게 의미 내용이 많이 들어있는 영어
수업을 수 있는가? 240
5.4. 정리 246
참고자료 248
제6장 Focus on Form의 실제 255
6.1. 내용중심교수법과 focus on form 257
6.1.1. )과학 수업으로 과거형과 과거 조건문을 가르친다:
리캐스트의 효과 257
6.1.2. )환경 문제를 다룬 수업에서, 부정사를 가르친다:
간결한 문법 설명을 적절하게 도입한다 265
6.2. 과제중심교수법과 focus on form 288
6.2.1. )분실물의 주인을 찾는 과제활동으로 법조동사를
가르친다:간결한 문법 설명의 효과 288
6.2.2. )문제해결형 과제활동을 하면서 관사의 사용법을
가르친다:상호작용강화의 효과 300
6.3. 정리 308
제7장 앞으로의 영어교육 311
7.1. 일본의 영어교육에 대한 제언 313
7.1.1. 이해 가능한 ‘i+1’의 인풋을 적극적으로 많이 제공한다 314
7.1.2. 언어가 전달하려는 의미나 내용을 중시한다 316
7.1.3. 상호작용을 하도록 한다 318
7.1.4. 과제활동을 활용한다 320
7.1.5. Focus on Form으로 지도를 한다 323
7.1.6. 언어의식을 높이고 깨닫기를 촉진한다 325
7.1.7. 언어능력을 기르기 위한 기초 훈련을 실시한다 326
7.2. 영어교육 개혁에 대한 장벽 330
7.2.1. 수업 시간의 문제 331
7.2.2. 수험 영어의 문제 337
7.2.3. 교사와 학습자의 영어 능력에 대한 문제 343
7.3. 마지막으로 350
●부록● FonF을 도입한 영어 수업안 353
참고문헌 373
색인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