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참고도서/백서
· ISBN : 9788997436293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15-04-08
목차
서문 _ 5
『표준동양의학』 한국어판 발간에 즈음하여 _ 8
역자 서문 _ 10
제1장 동양의학의 특징과 인체관
들어가며 _ 21
A. 동양의학의 특징 _ 21
A-1 정체관(整體觀) _ 21
A-2 변동(變動)과 변화(變化) _ 23
A-3 두 가지 힘(관점) _ 25
A-4 유체(流體) _ 26
A-5 층구조 _ 27
A-6 인체 이미지 _ 28
B. 동양의학의 인체관과 장부 _ 29
B-1 腎 : ‘선천(先天)의 근본’ 종화(種火)와 기원(起源) _ 29
B-2 脾 : ‘후천(後天)의 근본’ 증폭기(增幅器) _ 30
B-3 음(陰)의 장(臟) _ 31
B-4 肝 : ‘소설조달(疏泄條達)을 주관한다’, 확산기(擴散器), 조절기(調整器) _ 32
B-5 肺 : ‘천개(天蓋), 외각(外殼)’ 완충대, 장벽, 필터 _ 32
B-6 양(陽)의 장(臟) _ 33
B-7 心 : ‘군주의 관(官)’ 사령탑 _ 34
B-8 장부(臟腑)와 표리(表裏)의 관계 _ 35
B-9 층구조 모식도(模式圖)에서 동심원(同心圓)의 크기에 대해 _ 36
1장의 체크 포인트 _ 37
제2장 인체기능으로 보는 음양의 측면과 의의
들어가며 _ 39
A. 음양에 대하여 _ 39
A-1 음양의 본질 _ 41
A-1-1 기억해야 할 속성 : 陽은 방산(放散), 陰은 응집(凝集) _ 42
A-1-2 생각하면 알 수 있는 음양 자체의 성질 _ 42
A-2 음양가분(陰陽加分)의 본질 _ 43
A-2-1 음양가분과 정체관 _ 43
A-2-2 관점에 의한 음양의 변화 _ 44
A-2-3 음양가분의 개념 _ 45
A-2-4 음양가분과 정의 _ 47
A-3 음양상호의 특성 _ 48
A-3-1 음양의 대립과 제약 _ 48
A-3-2 음양의 호근호용(互根互用) _ 49
A-3-3 가분불리(加分不離) _ 51
A-3-4 음양소장(消長=변화) _ 53
A-3-5 음양전화(陰陽轉化) _ 55
A-3-6 음양개념의 총괄 _ 56
B. 인체기능에서의 음양 _ 60
B-1 한열조습(寒熱燥濕) _ 60
B-2 氣血津液과 陰陽 _ 66
B-3 층구조의 인체관과 음양 _ 69
B-4 발한(發汗)의 기전(機轉)에 있어서의 음양 _ 71
B-5 ‘血’의 운행에 관여하는 脾와 心의 역할과 음양 _ 73
B-6 음양론의 발전 _ 74
2장의 체크 포인트 _ 75
제3장 氣, 血, 津液의 생성과 운행
들어가며 _ 77
A. 氣津液血의 본질 _ 77
A-1 ‘순환하는 것’으로서의 생리적 상태 _ 78
A-2 ‘순환하는 것’으로서의 분류 _ 78
A-3 ‘순환’으로서의 病的 상태의 사고방식 _ 80
B. 기진액혈의 생성 _ 81
B-1 공통의 구조 _ 81
B-1-1 先天의 素材와 腎 _ 82
B-1-2 後天의 땅의 素材와 脾胃 _ 82
B-1-3 중간산물의 운반과 脾, 肝 _ 84
B-1-4 後天의 天空의 素材와 肺 _ 85
B-1-5 열원(熱源)으로서의 腎陽과 心 _ 86
B-2 氣의 生成 _ 86
B-3 津液의 生成 _ 87
B-4 血의 生成 _ 91
B-5 ‘순환’의 생성기전으로 보는 東洋醫學觀 _ 92
C. 氣津液血의 運行 _ 94
C-1 ‘순환’의 운행 _ 94
C-1-1 운행의 원동력 _ 94
C-1-2 운행의 조절 _ 95
C-2 ‘순환’의 운행경로 _ 95
C-3 氣의 운행 _ 98
C-4 진액의 운행수포(運行輸布) _ 99
C-4-1 脾 _ 100
C-4-2 肺 _ 100
C-4-3 腎 _ 101
C-4-4 三焦 _ 101
C-4-5 肝 _ 101
C-4-6 心 _ 102
C-5 혈의 운행 _ 102
C-5-1 혈 운행의 특징과 氣 _ 102
C-5-2 혈의 운행과 臟腑 _ 104
3장의 체크 포인트 _ 106
제4장 氣, 血, 津液의 生理機能
들어가며 _ 109
A. 인체에 있어 ‘순환’의 기능적 意義 _ 109
B. 기, 혈, 진액의 생리기능 _ 112
B-1 氣의 생리기능 _ 112
B-1-1 氣의 작용 _ 112
B-1-2 氣의 작용과 층구조 _ 113
B-1-3 氣의 분류 _ 118
B-2 혈의 생리기능 _ 121
B-2-1 血의 陽的 기능 _ 122
B-2-2 血의 陰的 기능 _ 123
B-2-3 氣나 熱의 운송체인 血 _ 123
B-3 津液의 생리기능 _ 125
C. 氣, 血, 津, 液의 상호작용과 그 제어 _ 129
D. 精에 대해 _ 132
4장의 체크포인트 _ 134
제5장 팔강변증(八綱辨證)의 의의와 활용법
들어가며 _ 137
A. 팔강변증의 사고방식 _ 137
A-1 변증논치에 대해 _ 137
A-2 팔강변증의 일반적인 해석 _ 138
A-3 세 관점으로부터의 多元的 음양론 _ 140
A-4 몸 전체가 아니라 한정된 사상의 분석수단 _ 142
B. 팔강변증의 활용법 _ 144
B-1 각 지표의 의의 _ 145
B-1-1 표리(表裏)→병위(病位)→부위(部位) : 부위의 관점 _ 145
B-1-2 한열(寒熱)→병상(病狀)→한열조습(寒熱燥濕) : 결과의 상태. 주로 기혈변증 _ 146
B-1-3 허실(虛實)→병기(病機)→장부(臟腑) : 한열조습이 생긴 원인을 찾는 관점 _ 147
B-1-4 음양→포괄적, 초월적 관점 : 특정할 수 없는 관점을 포함한다 _ 148
B-2 팔강변증의 이용방법 _ 148
B-3 虛實의 사고방식에 대해 _ 153
C. 증례(症例) 中의 팔강변증 _ 155
C-1 증례 : 여성 54세 _ 155
C-2 증례 해설 _ 156
5장의 체크포인트 _ 163
제6장 臟腑개념과 生理기능 1 (腎·脾)
들어가며 _ 167
A. 腎 _ 168
A-1 腎에 대한 기술 _ 168
A-1-1 腎은 성장, 발육, 생식을 주관하는 ‘先天의 근본’ _ 168
A-1-2 腎은 精을 저장하고, 뼈를 주관하고 수(髓)를 만든다 _ 169
A-1-3 腎은 水液을 주관한다 _ 170
A-1-4 腎과 肺 _ 171
A-1-5 腎과 心 _ 172
A-1-6 腎의 陽과 陰 _ 173
A-1-7 腎의 華는 발(髮) _ 174
A-1-8 腎은 耳와 이음(二陰)으로 개규(開竅) _ 175
A-1-9 腎과 진단 _ 176
A-2 腎의 본질과 해석 _ 177
A-2-1 腎의 본질적 특성 _ 177
A-2-2 腎과 gene _ 178
A-2-3 腎과 세포증식 _ 179
A-2-4 腎과 근육 _ 180
A-2-5 腎과 검정색 _ 181
A-3 腎과 생명 _ 184
A-3-1 腎의 防衛기능 _ 184
A-3-2 腎과 생명체의 안정 _ 185
A-3-3 생명의 위기와 腎과 스테로이드 _ 186
B. 脾 _ 188
B-1 脾에 대한 記述 _ 188
B-1-1 脾는 後天의 근본 _ 189
B-1-2 脾는 四肢를 주관 _ 191
B-1-3 脾는 肌肉을 주관 _ 191
B-1-4 脾의 華는 입술(脣) _ 191
B-1-5 脾는 입으로 개규(開竅) _ 192
B-1-6 脾와 진단 _ 192
B-2 脾의 본질과 해석 _ 192
B-2-1 ‘수곡의 정미’를 흡수 _ 193
B-2-2 脾는 氣血生化의 근원 _ 193
B-2-3 脾는 昇淸을 주관 _ 194
B-2-4 脾는 運化를 주관 _ 195
B-2-5 脾는 統血 _ 198
B-2-6 脾는 生痰의 근원 _ 199
B-2-7 脾와 四肢 _ 199
B-2-8 脾의 본질 _ 200
B-2-9 脾와 황색 _ 201
6장의 체크포인트 _ 204
제7장 臟腑개념과 生理기능 2 (肝·肺)
들어가며 _ 207
A. 肝 _ 208
A-1 肝에 대한 기술 _ 208
A-1-1 肝은 疏泄을 주관 _ 209
A-1-2 肝은 血을 저장 _ 209
A-1-3 肝은 筋을 주관 _ 210
A-1-4 肝의 華는 손톱에 있다 _ 211
A-1-5 肝은 目으로 개규(開竅) _ 211
A-1-6 肝의 진단 _ 212
A-2 肝의 본질과 해석 _ 213
A-2-1 肝의 본질적 특성 _ 213
A-2-2 肝과 ‘風’ _ 217
A-2-3 肝과 血의 유도 _ 218
A-2-4 肝과 배란 및 사정 _ 219
A-2-5 肝과 근육 _ 220
A-2-6 肝과 脾胃 _ 221
A-3 肝과 靑(파란색) _ 222
B. 肺 _ 223
B-1 肺에 대한 기술 _ 223
B-1-1 肺는 氣를 주관 _ 223
B-1-2 선산(宣散)과 숙강(肅降) _ 224
B-1-3 肺는 皮毛를 주관 _ 226
B-1-4 肺는 水의 상원(上源) _ 226
B-1-5 肺의 華는 毛 _ 226
B-1-6 肺의 개규부(開竅部)와 表裏의 大腸 _ 227
B-1-7 肺와 진단 _ 228
B-2 肺의 본질과 해석 _ 228
B-2-1 肺의 본질적 특성 _ 229
B-2-2 外殼으로서의 肺 _ 229
B-2-3 人體와 天空을 연결하는 肺의 기능 _ 231
B-2-4 필터와 장벽으로서의 肺 _ 232
B-2-5 肺와 脾 _ 232
B-2-6 肺와 腎의 면역 _ 233
B-2-7 肺와 腎의 배엽(胚葉) _ 234
B-2-8 肺와 알레르기 _ 234
B-3 肺와 흰색 _ 235
B-3-1 흰색과 한랭 _ 235
B-3-2 인체에서 흰색을 띠는 기전 _ 235
B-3-3 흰색과 肺와 한랭 _ 236
7장 체크포인트 _ 238
제8장 臟腑개념과 生理기능 3 (心)·五行學說
들어가며 _ 241
A. 心 _ 241
A-1 心에 대한 기술 _ 241
A-1-1 心은 血脈을 주관 _ 241
A-1-2 心은 신명(神明)을 주관 _ 242
A-1-3 心의 華는 얼굴 _ 243
A-1-4 心은 혀에 開竅 _ 244
A-1-5 心과 진단 _ 244
A-2 心의 본질과 해석 _ 245
A-2-1 心의 본질적 특성 _ 245
A-2-2 정신활동과 신(神), 혼(魂), 백(魄), 의(意), 지(志) _ 249
A-2-3 心의 陽과 陰 _ 250
A-2-4 心血의 공급 _ 251
A-2-5 心腎相交 _ 253
A-2-6 心-小腸-膀胱系 _ 253
A-2-7 心의 병태(病態) _ 255
A-3 心과 赤 _ 256
A-3-1 자연계에서 빨강의 의미 _ 256
A-3-2 인체에서 빨간색을 띠는 기전 _ 256
A-3-3 赤과 心의 관계에 대해 _ 257
B. 심포(心包)와 삼초(三焦) _ 258
C. 오행학설(五行學說) _ 260
C-1 五行의 성질 _ 261
C-1-1 木 _ 261
C-1-2 火 _ 262
C-1-3 土 _ 262
C-1-4 金 _ 262
C-1-5 水 _ 263
C-2 오행의 관계 _ 263
C-2-1 상생(相生) _ 263
C-2-2 상극(相克) _ 264
C-3 五行과 陰陽 _ 265
C-4 오행의 病的인 관계 _ 266
C-4-1 상승(相乘) _ 266
C-4-2 상모(相侮) _ 267
C-5 五行과 층구조 _ 268
C-6 五味 _ 270
C-6-1 五味와 효능 _ 270
C-6-2 五味와 五臟의 부합과 모순 _ 272
8장의 체크포인트 _ 274
제9장 四診의 원리
들어가며 _ 277
A. 사진(四診) _ 277
A-1 四診이란 _ 277
A-2 四診은 주관(主觀)인가? _ 278
A-3 四診과 변증(辨證)의 원칙 _ 279
A-4 四診의 지침 _ 280
B. 망진(望診) _ 281
B-1 형태(形)와 陰陽 _ 281
B-2 움직임과 陰陽 _ 281
B-3 色과 陰陽 _ 281
B-4 色의 의미 _ 282
B-5 色의 발생기전과 변증적 의의 _ 283
B-5-1 빨간색에 대해 _ 283
B-5-2 노란색에 대해 _ 286
B-5-3 흰색에 대해 _ 287
B-5-4 검정색에 대해 _ 287
B-5-5 암홍색(暗紅色)과 紫(보라색)을 띠는 병리기전 _ 288
B-5-6 파란색에 대해 _ 288
B-6 望診所見의 표현 _ 289
B-7 설진(舌診) _ 290
B-7-1 혀(舌)와 장부 _ 290
B-7-2 혀의 진단방법과 소견의 표현 _ 291
B-8 설진의 증후로서의 파악법과 변증 _ 296
B-8-1 치흔(齒痕) _ 296
B-8-2 설체(舌體)의 열문(裂紋) _ 299
C. 문진(問診) _ 301
D. 맥진(脈診) _ 304
D-1 脈診의 방법 _ 304
D-2 맥증(脈證)에 대해 _ 305
D-3 맥증의 정의 _ 305
D-4 맥증의 辨證的 의의 _ 306
D-4-1 맥율(脈律, 맥의 속도) _ 307
D-4-2 맥위(脈位, 촉지의 깊이) _ 309
D-4-3 맥형(脈形, 맥의 형상) _ 311
D-5 28脈의 분석 例 _ 314
D-5-1 혁맥(革脈) _ 314
D-5-2 유맥(濡脈) _ 314
D-5-3 뢰맥(牢脈) _ 315
D-6 六脈과 臟腑 _ 316
D-6-1 六脈과 층구조 _ 316
D-6-2 六脈과 臟腑의 변천 _ 317
9장의 체크포인트 _ 319
제10장 경락(經絡)과 변증(辨證)의 진행방법과 실제
들어가며 _ 323
A. 經絡 _ 323
A-1 경맥 _ 324
A-1-1 정경십이경맥 _ 324
A-1-2 기경팔맥 _ 325
A-2 十二經脈의 분포원칙과 주행양식(走行樣式) _ 326
A-3 경락의 병리적 의의 _ 329
A-4 경락의 변증적 의의 _ 329
B. 변증의 진행방법 _ 331
B-1 四診과 四技 _ 331
B-2 변증의 큰 흐름 _ 333
B-3 증례분석의 실제 _ 335
10장의 체크포인트 _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