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97498482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23-05-01
목차
Part 01 행정의 본질
Chapter 01 행정이란
I. 행정들 바라보는 시과(정치행정 ㆍ 공사행정 일원론) 17
1. 공사행정 일 ㆍ 이원론(행정과 경영의 관계) 18
2. 정치행정 일 ㆍ 이원론(행정과 정치의 관계) 20
Chapter 02 정부관료제론
I . 관료제의개념과 특징 24
Ⅱ . 관료제의한계 27
1. 관료제의 이론적 한계 28
2. 관료제의 구조적 한계(관료제의 역기능론) 29
3. 관료제의 재평가 및 과제 32
Ⅲ. 관료 때리기 (bureaucrat -bashing) 와 관료제의 변론 33
1. 관료제에 대한 비판의 이해 34
2. 관료제의 변론 36
3. 논의의종합 38
Chapter 03 행정가치
I . 행정의본질적 가치 41
1. 공공성 41
2. 공익(Public interest) 48
Ⅱ. 행정의 절차적 가치 51
1.합법성 51
2. 민주성 52
3. 합리성 54
4.투명성 55
5.책임성 55
Ⅲ.행정의 수단적 가치 57
1. 효율성 57
2. 효과성 58
Chapter 04 행정환경
I. 행정완3의 개념과 한국의 행정완3 변화 59
1. 정치적환경 59
2. 법적 환경 62
3. 사회경제적환경 63
4. 기술적환경 64
Ⅱ. 최근의 새로운 행정환경 변화 64
1. 뉴노멀시대와위험사회 65
2. 4차 산업혁명 68
Chapter 05 행정이론
I.태동기(~1915) 70
1. 엽관주의와 실적주의 71
2. W.Wilson의 정치행정이원론(Wilson's bureaucracy) 72
Ⅱ. 정통행정학(~1940) 72
1. Taylor 의 과학적 관리 법 73
2. G니lick 등의행정관리론 73
Ⅲ정통행정학의 비판기 ( ~1969) 74
1. 정치행정일원론 75
2. 인간관계론 75
3. Simon의 행정행태론 76
4. Waldo의 행정국가론 76
5. 비교행정,발전행정 77
IV. 행정이론의다원화기 78
1. 신행정학(NPA new public administration) 78
2. 신공공관리론(NPM new public management) 78
3. 뉴거버넌스(New Governance) 83
4. 신공공서비스론(NPS, New Public Service) 90
5. 주요거버넌스의 유용성과 한계 93
6. 대안으로서의 메타거버넌스 99
V. Post NPM시기와 최근의 정부운영에 관한 모형 및 이론들101
1. Christensen & Laegreid의 정부재집권화와
영국의 통합정부 모형 102
2. Mark Moore의 공공가치론 104
3. 신발전거버넌스 106
VI. 기타이론들 108
1. 신제도주의 108
2. 공공선 택론 111
Part 02 정부의 역할과 기능
Chapter 01 시장과 정부의 한 111
I.시장실패와 정부의 역할 116
1. 시장실패 116
2. 정부의 역할 119
3.정부실패 120
1. 정부실패의 이론적 근거 120
2. 정부실패의 발생원인 122
3. 정부실패 현상의 유형 125
Ⅲ.논의의 종합 125
Chapter 02 정부정책
l. 정책의 유형
Ⅱ. 공공서비스의 공급 129
1. 공공서비스의 공급과정과 의의
2. 공공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성 130
3. 정책수단의 다양화 ; 공공서비스 공급 체계의 개혁
Ⅲ. 규제정책 151
1. 규제정책의 개념과 유형 151
2. James.Q.Wilson의 규제정치이론 153
3. 규제실패현상
4. 규제개혁 157
IV. 공공말등관리 160
1. 공공갈등의 개념과 원인
2. 공공갈등 해결방식 161
3. 한국행정의 공공갈등관리 현황 및 개선점
V. 정책과정 167
1. 정책의제설정 167
2. 정책 결정 172
3. 정책집행
4. 정책평가 186
Part 03 공무원의 태도와 정부신뢰
Chapter 01 공직자의 태도
I.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188
1. 전통적 의미의 정치적 중립성 188
2. 현대적 의미의 정치적 중립성 188
3. 한국 행정의 경우 190
Ⅱ. 공직가치 191
1. 공직가치의 개념과 유형
2. 공직가치의 필요성 192
3. 공직가치의 활성화 193
Ⅲ적극행정의 촉진과 소극행정의 해소 194
1. 적극행정의 개념 194
2. 소극행정의 발생원인 194
3. 적극행정 촉진방안 195
IV. 행정부패와 이해충돌 198
1. 행정부패 198
2. 이해중돌 204
Chapter 02 정부신틔와사회자본
I.정부신틔 206
1. 정부신뢰의 개념과 중요성 206
2. 정부신뢰의 영향요인 206
3. 한국행정의 정부신뢰와 정부신뢰 확보방안 207
Ⅱ.사회자본 208
1. 사회자본의 개념 208
2. 사회자본의 순기능과 역기능 208
Part 04 정부 내부 관리
Chapter 01 조직
I.조직구조 212
1. 조직구조의 개념과 특성 212
2. 조직과 환경의 관계에 관한 이론 213
3. 관료제 조직과 대안적 조직구조 218
4. 조직구조개편과 조직 내 협업 224
5. 조직 변화관리 234
Ⅱ.조직행태 238
1. 조직 구성원에 대한 동기부여 239
2. 리더십 247
3. 조직문화
253
Chapter 02 사람
I.인사행정 255
1. 인사행정의 운영원리 255
2. 인사행정의 구조 260
3. 인사관리 265
Ⅱ.성과관리 284
1. 성과관리의 개념과 접근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