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무예/무술
· ISBN : 9788997617647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4-09-15
책 소개
목차
제1장 태권도 현대사 서사
1. 태권도 5대 모체관의 태동과 특징
가. 청도관(靑濤館)
나. 무덕관(武德館)
다. 조선연무관 권법부(朝鮮演武館 拳法部)
라. 중앙기독교청년회(YMCA) 권법부(拳法部)
마. 송무관(松武館)
2. 태권도 모체관 개관자의 이력과 행보
가. 청도관 이원국(李元國)
나. 무덕관 황기(黃琦)
다. 중앙기독교청년회(YMCA) 권법부 윤병인
라. 송무관 노병직(盧秉直)
3. 모체관에서 파생된 신흥관의 특징
4. 현대 태권도 초기의 현안과 쟁점
가. 대한공수도협회 창립과 한계
나. 최홍희와 대한태권도협회
다. 대한태수도협회 창립과 내부 갈등
라. 대한태수도협회 초대 회장 추대 과정
마. 대한태수도협회 승단심사제도 통합
바. 최홍희 등장과 대한태권도협회 재출범
사. 1965년 무덕관 내부 분열
아. 대한태권도협회와 국제태권도연맹 간의 분규
5. 1960년대 태권도 경기화 과정
6. 파월 태권도 교관단의 활약
7. 국기원 건립과정과 초창기 발자취
8. 태권도 관(館) 통합 전개과정과 의미
9. 여성 태권도 발전과정과 흐름
10. 태권도와 올림픽
11. 중국 태권도 현황과 발달과정
12. 장애인 태권도 발전과정과 과제
13. 태권도 공연예술극의 흐름과 실태
14. 북한 태권도의 흐름과 특징
제2장 태권도 현대사 쟁점과 담론
1. 태권도 사관 논쟁과 역사 담론
가. 기존의 태권도 역사 서술과 논쟁
나. 태권도 문화주의 사관을 제창함
다. 최홍희는‘태권도 창시자’일까
라. 태권도와 경주·화랑의 밀접성 재고해야
2. 태권도 명칭 제정과 휘호 논란
3. 태권도 서적의 흐름과 특징
4. 태권도원을 둘러싼 논란과 과제
5. WTF·ITF 통합 움직임과 남북 태권도 교류6
6. 태권도 바로세우기운동의 성과와 한계
제3장 태권도 현대사 인물비평
1. 김운용
가. 부유한 집안에서 성장하며 외교관 꿈꾸다
나. 1971년 태권도계에 첫발을 내딛다
다. 태권도 중앙도장, 국기원 시대를 열다
라. 태권도 스포츠 세계화에 전력하다
마. 1980년대 위기와 태권도 세계화 행보
바. 태권도 올림픽 정식종목 채택에 기여하며 승승장구
사. 2000년대 ; 퇴진 요구와 구속, 명예회복하다
2. 최홍희
가. 일본 유학시절 가라테를 접하다
나. 국군 장성이 되어 무술을 장려하다
다. 태권도 명칭 작명과 이승만 태권도 휘호 논란
라. 국군태권도시범단장과 말레이시아 대사 역임
마. 태권도 제도권 복귀와 활발한 저술 활동
바. 국제태권도연맹 창설과 대한태권도협회와의 갈등
사. 캐나다로 망명, 고국과 등을 지다
아. 북한에 태권도 보급하며 세계태권도연맹과 대립
자. 국제태권도연맹 내분 속 평양에서 타계
3. 이종우
가. 2014년 7월, 이종우는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나. 1950년대 ; 지도관을 확장하며 꿈을 키우다
다. 1960년대 초 ; 대한태수도협회 창립에 앞장서다
라. 최홍희와 반목, 다른 길을 걷다
마. 1970년대 ; 김운용과 태권도 청사진을 구상하다
바. 1980년대 ; 시련과 절치부심
사. 1990년대 이후 ; 태권도 연구와 전자호구에 심취
아. 태권도 역사에 남다른 관심, 가라테 유입설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