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리눅스
· ISBN : 9788997924080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4-01-13
책 소개
목차
1장_리눅스 서버의 구축
1.1 서버·하드웨어
1.1.1 하드웨어 관점에서 본 OS의 역할
1.1.2 서버·하드웨어의 기초
1.1.3 부트로더와 초기 RAM 디스크(initrd)
1.2 리눅스 도입 작업
1.2.1 사전 작업
1.2.2 설치 작업
1.3 인스톨 후 기본 설정 작업
1.3.1 인스톨 후 설정 리스트
1.4 킥스타트에 의한 자동 인스톨
1.4.1 서버 배포
1.4.2 킥스타트의 구조
1.4.3 킥스타트 서버 구축
2장_리눅스 서버 운용의 기초
2.1 시스템 감시
2.1.1 시스템 감시의 목적
2.1.2 시스템 감시 방법
2.2 백업
2.2.1 백업의 종류 및 방식
2.2.2 데이터 백업 기능
2.2.3 시스템 백업
2.3 시큐리티 관리
2.3.1 psacct 이용 방법
2.3.2 PAM의 이용 방법
2.3.3 자주 이용되는 PAM 설정 예
2.3.4 SSH의 이용 방법
2.4 구성 관리, 변경 관리, 문제 관리
2.4.1 리눅스 서버 운용 프로세스
3장_리눅스 스토리지
3.1 Storage Area Network(SAN)의 기초
3.1.1 SAN 개요
3.1.2 SAN 스토리지 기능
3.2 LVM 구성 관리
3.2.1 LVM 개요 및 기본 조작
3.2.2 LVM 고도의 조작
3.3 iSCSI와 FCoE
3.3.1 SAN 환경으로의 네트워크 기술 적용
3.3.2 iSCSI
3.3.3 FCoE
4장_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4.1 IP 네트워크
4.1.1 IP 네트워크의 기초
4.1.2 네트워크 아키텍처
4.2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4.2.1 네트워크 기본 설정
4.2.2 Bonding 드라이버에 의한 NIC의 이중화
4.3 고도의 네트워크 설정
4.3.1 소켓 통신
4.3.2 TCP 세션 타임아웃 시간
4.3.3 이용 가능한 소켓 수의 제한
5장_리눅스 내부구조
5.1 프로세스 관리
5.1.1 프로세스 시그널과 프로세스 상태 변화
5.1.2 프로세스 리소스 제한
5.1.3 init에 의한 프로세스 기동
5.2 메모리 관리
5.2.1 x86 아키텍처 메모리 관리
5.2.2 디스크 캐시와 스왑 영역
5.2.3 물리 메모리 할당 로직
5.3 파일시스템 관리
5.3.1 파일시스템 기초 지식
5.3.2 서버 기동 시 fsck 커맨드 실행
5.3.3 저널링 파일시스템
5.3.4 NFS 데이터 버퍼링
6장_리눅스 서버의 문제 판별
6.1 문제 판별의 기초
6.1.1 문제 판별의 개념
6.1.2 시스템 구성 정보의 수집
6.1.3 시스템 로그 수집
6.1.4 커맨드에 의한 정보 수집
6.2 커널 덤프의 취득
6.2.1 커널 패닉과 커널 덤프
6.2.2 커널 덤프 설정
6.3.1 퍼포먼스 문제란?
6.3.2 CPU 병목현상 판별
6.3.3 디스크 I/O 병목현상 판별
6.3.4 메모리 사용량 문제 판별
6.3.5 네트워크 통신 속도의 문제 판별
6.3.6 프로세스 정보 확인
6.4 서버 기동 시 문제 판별
6.4.1 리눅스 부트 프로세스
6.4.2 서버 부팅에 실패한 경우의 대책
6.4.3 레스큐 부트에 의한 복원 작업
책속에서
리눅스 시스템 관리자가 알고 있어야 할 핵심 기술을 다룬 책!
이 책은 리눅스 설치 경험이 있으면서 기본적인 명령어와 vi 에디터 조작이 가능한 분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리눅스 시스템을 업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배워야 할 것이 너무 많아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답답해 하는 분들을 위한 책입니다.
짧고 굵게 꼭 필요한 기술만 모아놓은 실무 지침서이며, 이 책을 완독하는 것만으로도 리눅스 시스템 엔지니어로서 상당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주요 내용]
리눅스 서버 구축
리눅스 서버 운용의 기초
스토리지 관리
네트워크 관리
리눅스의 내부 구조
리눅스 시스템 문제의 발견과 해결
이 책은 놀라우리만큼 담당 업무와 비슷했고, 1장부터 6장까지 기술되어 있는 모든 기술(킥스타트에서부터 시스템 모니터링 기법, 백업, 보안, 스토리지 관리 기술, Bonding 및 VLAN을 포함한 네트워크 기술, 커널의 구조부터 문제 판별까지)의 설명에 현업의 노하우가 고스란히 녹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_역자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