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비스 디자인

서비스 디자인

(실무에서 들춰보는 인사이트)

라브란스 로이빌, 벤 리즌, 앤디 폴라인 (지은이), 임윤경, 배상원, 정은기 (옮긴이)
카오스북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230원
22,7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비스 디자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비스 디자인 (실무에서 들춰보는 인사이트)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서비스/고객관리
· ISBN : 978899833891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6-02-29

책 소개

이 책은 서비스 디자인에 대해 ‘디자인’의 관점으로 통찰력 있고 실용적이며 체계적으로 집필되었으며, 이미 UX(User Experience) 디자인을 전공한 분이라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본 지식들이 서비스 디자인으로 어떻게 재해석되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생생하게 배울 수 있다.

목차

CHAPTER 01 서비스 디자인, 인사이트에서 실행까지
고객 인사이트
회사 인사이트
인사이트 적용하기
서비스 경험 프로토타이핑
끝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

CHAPTER 02 서비스 디자인의 본질
왜 서비스는 디자인되어야 할까?
서비스는 제품과 어떻게 다른가?
사일로에서 만들어진 서비스는 온전히 경험될 수 없다
서비스는 사람들에 의해 함께 만들어진다
네트워크: 새로운 기술의 지평
서비스 경제
서비스의 핵심 가치들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들기
서비스의 퍼포먼스
경험을 하나로 합치다

CHAPTER 03 사람과 관계 이해하기
서비스의 핵심, 사람
인사이트 vs 숫자

CHAPTER 04 리서치를 인사이트와 행동으로 바꿔놓기
인사이트의 수준
인사이트 수집 방법들
인사이트 조합하고 제시하기

CHAPTER 05 서비스 생태계 묘사하기
서비스 생태계를 매핑하는 이유는?
네트워크 사회
상자 vs 화살표: 보이지 않는 연결고리 찾기
서비스 생태계 도해에서 서비스 청사진으로
서비스 청사진
서비스 청사진의 다양한 활용
광범위한 단계 및 활동들로부터 시작하기
채널별 접점을 더하기
낮은 충실도 vs 높은 충실도
서비스 청사진을 확대 및 축소해 보기

CHAPTER 06 서비스 제안서 개발하기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제안서 만들기
조파 서비스 제안서
청사진으로 쪼개보기

CHAPTER 07 서비스 경험 프로토타이핑
경험 정의하기
경험의 종류
고객 기대 vs 경험
시간을 디자인 대상으로서 생각하기
서비스 경험 프로토타이핑

CHAPTER 08 서비스 측정하기
공동의 이익을 위한 측정
경영과 진리의 확립
설계와 실행 이전에 기초 자료 정의하기
투자 수익에 대한 사례 만들기
모델 측정을 위해 서비스 청사진 사용하기
돈에 대한 이야기
서비스 측정 시 일반적인 실수 방지
측정 프레임 워크
SERVQUAL과 RATER
The Triple Bottom Line

CHAPTER 09 서비스 디자인의 향후 과제
경제적 과제- 제품 기반에서 서비스 기반 사업으로의 전환
환경적 과제- 서비스 디자인과 자원 절약 및 보존
사회적 과제- 사회 개선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악제 해결하기
더 좋은 세상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저자소개

라브란스 로이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4년부터 디자인 컨설턴트로 일해왔다. 런던의 live|work사를 크리스 다운즈 및 벤 리즌과 함께 설립하였고, 그 전에는 노르웨이와 덴마크에서 인터랙션 디자이너로 일했다. live|work사의 파트너로서 라브란스는 소니 에릭슨, 소니, 삼성전자, Aviva/Norwich 조합, BBC,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 병원, Johnson & Johnson, 영국 Design Council, Orange, Vodafone과의 서비스 혁신 프로젝트에서 수석 디자이너로 일했다. 그녀는 또한 영국의 서비스 디자인 표준 위원회의 멤버로도 활동하였다. 라브란스는 Interaction Design Institute Ivrea(이탈리아), K?n International School of Design(독일), Oslo School of Architecture(노르웨이), Institute of Health and Society at the University of Oslo,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Helsinki(핀란드), the Estonian Academy of Arts, 그리고 Cranfield School of Management(영국)에서 강의와 세미나를 진행한 바 있다. 노르웨이 Design Council의 이사회 멤버로 활동 중이기도 하다.
펼치기
벤 리즌 (지은이)    정보 더보기
live|work사의 공동 설립자이다. 벤은 리버풀의 Liverpool John Moores University에서 예술학 학사를 받았으며(1994), University of Bath 에서 Responsibility and Business Practice 석사를 마쳤다(2000). 벤은 상호 연결된 서비스들의 디자인 및 혁신 분야에서 일해 왔고, live|work 재직 이전에는 웹 디자인 대행사인 Razorfish와 Oyster Partners에서 일했다. 벤은 영국 건강 의료 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 BBC, 영국 내무부(UK Home Office), Johnson & Johnson, 런던 교통국(Transport for London)과의 프로젝트에서 전략 수립과 프로젝트 관리를 수행했다. 그는 2009년 IKON 매거진이 뽑은 가장 영향력 있는 디자이너 20인에 선정되었으며, 이탈리아의 Interaction Design Institute Ivrea, 런던 Goldsmiths대학, 그리고 Royal College of Art에서 강의를 진행한 바 있다.
펼치기
앤디 폴라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0년 초부터 인터랙션 디자인 작업을 해왔으며, 영국 런던의 뉴미디어 회사인 Antirom의 공동 설립자였다. 그는 영국의 디자인회사 Razorfish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였고, 그 후에는 호주 시드니에 위치한 Animal Logic의 인터랙티브 디렉터로 일했다.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chool of Media Arts의 선임 강사 및 학장을 맡은 바 있고, 호주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에서 연극과 상호작용성 간의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를 통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독일에 살고 있으며, 스위스의 Lucerne School of Art and Design에서 연구 강사로 재직 중임과 동시에 독립 서비스 및 인터랙션 디자인 컨설턴트이자 작가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임윤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KAIST 산업디자인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용자 중심 디자인 방법론, 사용자 중심 서비스 디자인 등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배상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카네기멜론대학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연구소(Human Computer Interaction Institute)에서 박사후 연구 과정 중으로 헬스케어 서비스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 외 다년간 대기업에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펼치기
정은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카네기멜론 대학 디자인 학교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을 공부하고, 동 대학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연구소(Human Computer Interaction Institute)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