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98400316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4-09-01
책 소개
목차
ㄱ
001 간척 사업 Reclamation Projects
002 강 River
003 고래 Whales
004 골프장 Golf Courses
005 기름 오염 사고 Oil Spill
006 기상이변 Extreme Weather Events
007 깃대종 Flagship Species
ㄴ
008 남획 Overfishing
009 녹조 Water-blooming
010 님비 현상 NIMBY Syndrome
ㄷ
011 대기오염 Air Pollution
환경 상식 단위Unit를 정복해야 환경 기사가 쏙쏙!
012 동물 보호 Animal Protection
ㄹ
013 로드 킬 Air Pollution
014 말라리아 Malaria
015 물 Water
016 밀렵 Poaching
ㅂ
017 반달가슴곰 Asiatic Black Bear
018 배출권 거래제 Emission Trading
019 백두대간 白頭大幹
020 북한 North Korea
021 비무장지대 DMZ : demilitarized zone
022 빛 공해 Light Pollution
ㅅ
023 사막화 Desertification
024 산림 Forest
025 산성비 Acid rain
026 생물 다양성 Biodiversity
027 생물자원 Biological Resources
028 생태계 Ecosystem
029 석면 Asbestos
030 소음 Noise
031 수돗물 Tap Water
032 수질오염 Water Pollution
환경 상식 수질이 좋고 나쁨을 어떻게 측정할까
033 습지 Wetland
034 실내 공기 오염 Indoor Air Pollution
035 쓰레기 Waste
036 쓰레기 처리 Waste Treatment
ㅇ
037 에너지 Energy
038 열대우림 Tropical Rain Forest
039 열섬 현상 Heat Island
040 오염자부담원칙 Polluters Pay Principle
041 오존 구멍 Ozone Hole
042 외래종 Invasive and/or Exotic Species
043 원자력 발전 Nuclear Power Generation
044 원전 사고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045 유전자 변형 생물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046 유해 야생동물 Harmful Wild Animals
ㅈ
047 자동차 Automobile
048 재활용 Recycling
049 전자파 Electromagnetic Wave
050 종 복원 Restoration of Species
051 중금속 오염 Heavy-metal Pollution 052 지구온난화 Global Warming
환경 상식 온실가스 Greenhouse Gas
053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
Global Warming Countermeasures
054 지구온난화 국내 대책
Global Warming Countermeasures in Korea
055 지구온난화 방지 기술
Global Warming Solutions
056 지속 가능한 발전 Sustainable Development
ㅊ
057 친환경 건축 Green Building
058 친환경 농업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
059 친환경 상품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ㅌ
060 토양오염 Soil Contamination
061 토양침식 Soil Erosion
ㅎ
062 해안침식 Coastal Erosion
063 해양 Coastal Erosion
064 해양 산성화 Ocean Acidification
065 화학물질 Chemical Substances
066 환경 경영
Environmental Management
067 환경 보건 Environmental Health
068 환경 분쟁 조정
Environmental Conflict Resolution
069 환경 영향 평가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070 환경 운동 단체 Environmental Groups
071 환경 협약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s
환경 상식
환경 회의 Environmental Mega-Conferences
072 환경호르몬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073 황사 Yellow Dust / Asian Dust
074 4대강 사업 4 Major Rivers Project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세기에 들면서 전 세계의 강들은 인구 집중과 산업 발전으로 오·폐수 배출이 늘면서 수질오염을 겪거나 말라가고 있다. 이집트 나일 강이나 중국의 황허 강, 미국의 콜로라도 강은 지나친 취수로 인해 강물이 바다에 이르지 못하는 날이 늘고 있다. 또 중앙아시아에서는 구소련 정부가 이곳으로 흘러들던 아무르다르야 강과 시르다르야 강의 물길을 면화 재배를 위해 다른 곳으로 돌리면서 세계 최대의 염호이던 아랄 해의 크기가 줄어드는 일도 발생했다.
이와 함께 강에 설치한 댐은 물고기들의 이동을 차단, 강 생태계의 모습을 잃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명박 정부 때 추진된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해 강의 모습이 크게 훼손됐고, 녹조 발생도 잦아졌다. 다음 글은 마치 우리의 4대강을 염두에 두고 쓴 것 같기도 하다.
― 002. 강
세계적으로 중국 어선들의 남획이 심각한 문제로 등장하고 있지만 한국의 원양어선들도 남획에 가담하고 있다. EU는 2013년 11월에 한국을 ‘예비 불법 조업국’으로 지정했다. 한국 어선들이 서아프리카 가난한 국가 연안에 불법 침입해서 조업을 벌이고 남획을 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가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는 이유다. 한국 원양 업계가 서부 아프리카 해역에서 잡아들이는 물고기는 연간 6만 4,000톤으로, 이 중 4만 톤을 국내에 들여오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불법 조업국으로 최종 지정되면 EU 지역으로 수산물을 수출할 수가 없고, 어선들이 EU 지역 항구를 이용할 수도 없다.
태평양에서 한국 어선들이 집어장치(FAD, Fish Aggregating Device)를 사용해서 참치를 남획한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그린피스에서는 집어장치 사용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FAD를 사용하지 않고 잡은 참치 캔에 별도로 표시하기도 한다. 또 남획이 아닌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잡았다는 마크를 물고기에 직접 부착해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008. 남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