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녹조의 번성

녹조의 번성

(남세균 탓인가, 사람 잘못인가)

강찬수 (지은이)
지오북
1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550원 -10% 0원
970원
16,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녹조의 번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녹조의 번성 (남세균 탓인가, 사람 잘못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8899424289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3-10-25

책 소개

우리나라와 외국의 강과 호수, 바다에서 여름철이면 대발생하는 녹조의 심각성을 경고하는 책을 출간했다. 녹조의 원인이 무엇인지, 남세균 녹조가 생성하는 독소가 인간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일반 시민의 눈높이로 설명하면서, 국내외 논문을 바탕으로 하여 전문성까지 놓치지 않았다.

목차

들어가는 말 4

1부 남세균과 녹조
1. 미국 흰머리수리를 죽인 범인은? 14
2. 리우 올림픽 수영장에 발생한 녹조 19
3. 녹조, 녹색 물결이 일렁이는 것 23
4. 클로렐라부터 우뭇가사리까지 다양한 조류 28
5. 히치콕 감독의 영화에서 새들이 미친 이유는? 34
6. 남세균이란 이름은 적절한가? 39
7. 남세균은 모두 몇 종이나 될까? 43
8. 남세균은 어디서 살까? 48
9. 지구 대기를 산소로 채우다 53
10. 남세균의 광합성과 질소고정 59
11. 기포의 부력 덕분에 경쟁에서 이긴다 64
12. 곰팡이, 동물 등과 공생하는 남세균 69

2부 녹조 발생 원인
1. 소양호에서 이뤄진 남세균과의 첫 만남 76
2. 녹조 발생엔 빛과 온도가 중요하다 81
3. 영양물질 과잉이 녹조를 부른다 86
4. 녹조가 생기면 pH도 치솟는다 91
5. 밭에선 부족, 물에선 과잉으로 부영양화 일으키는 인 96
6. 인 제거한다고 녹조 문제가 해결될까? 101
7. 고인 물은 썩는다 … 녹조와 체류시간 105
8. 체류시간 232일 소양호에는 왜 녹조가 안 생길까? 110
9. 체류시간을 줄이면 녹조가 없어지나? 115
10. 얕은 호수가 녹조에 취약하다 120
11. 전 세계 바다도 녹조와 갈조류 비상 125

3부 독소 만드는 남세균
1. 기후변화는 녹조를 악화시킨다 132
2. 남세균은 물의 성층화 현상을 좋아한다 137
3. 녹조 호수가 메탄가스 내뿜는다 141
4. 녹조 발생으로 지불해야 할 비용 146
5. 물에서 흙냄새가 나면 남세균을 의심하라 152
6. 남세균이 만든 독소 시아노톡신의 유해성 158
7. 마이크로시스틴은 얼마나 위험할까? 162
8. 아나톡신과 BMAA는 동물 신경계에 작용한다 166
9. 공기 중에도 남세균 독소가 있다 171
10. 공기 중의 독소 에어로졸 연구는 진행형 176
11. 물이 오염되면 공기도 오염된다 181

4부 건강 위협하는 남세균
1. 남세균은 독소를 왜 만들까? 188
2. 수돗물에서 나온 남세균 독소 식수 대란 일으켜 193
3. 낙동강 녹조에서 검출된 남세균 독소 198
4. 정부 조사에서도 독소 검출됐다 203
5. 남세균 독소로 오염된 농산물 209
6. 벼에 축적되는 남세균 독소 214
7. 매운탕 끓이면 독소 없어질까? 219
8. 갯벌 조개까지 오염시키는 독소 224
9. 대구 수돗물에서 독소 검출됐나? 229
10. 불임을 유발하는 남세균 생식 독소 235
11. 유해물질 만나 더 독해지는 남세균 240
12. 미세플라스틱이 남세균 독소를 만나면 245

5부 녹조 해결 방안
1. 갈수록 잦아지는 조류경보 발령 252
2. 녹조 대비는 모니터링부터 256
3. 녹조, 하늘에서 감시한다 262
4. 녹조 모니터링, 첨단 기술이 전부는 아니다 267
5. 펄스 방류로 녹조를 잡을 수 있을까? 271
6. 녹조 없애려면 수질 개선이 필수 276
7. 하수처리장에서 인 제거하기 281
8. 비점오염원 걸러내야 녹조 잡는다 286
9. 짙은 녹조를 직접 제거하는 방법 291
10. 바이러스로 남세균을 공격한다 297
11. 먹이사슬 활용해 녹조를 억제한다 302
12. 알고 보면 남세균도 쓸모가 많다 307

나오는 말 312
참고문헌 320
찾아보기 33

저자소개

강찬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4년부터 중앙일보에서 환경전문기자로 30년 동안 환경·기상·과학에 천착하여 6,500건 이상의 기사를 썼고, 2001년에는 한국환경기자클럽 회장을 지냈다. 2022년에는 대한민국과학기자상을 수상했다. 1970년대 어린 시절 적조로 붉게 물들어 가는 바다를 보고 충격을 받은 지은이는 서울대학교에서 미생물학을 전공하고 적조·녹조가 생긴 춘천 소양호에서 물을 떠다가 분석해서 박사학위(미생물 생태학)를 받았다. 기자가 된 이후에도 전국의 강과 호수에서 창궐하는 녹조문제에 계속 관심을 가지고 기사로 다뤄왔으며, 4대강 사업 이전에도 팔당호와 대청호의 녹조 기사를 썼고, 4대강 사업 중에도, 4대강 사업이 완공된 지 10년이 넘은 지금도 녹조 기사를 쓰고 있다. 저서로는 『에코 사전』, 공저로는 『연어가 돌아오지 않는 이유』, 『환경이 아프면 몸도 아프다』, 『사람과 물』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