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띠빳타나 수행

사띠빳타나 수행

(존재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기)

우 냐나로까 사야도 (지은이), 우 감비라냐나 (엮은이)
민족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350원
12,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띠빳타나 수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띠빳타나 수행 (존재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9874295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02-15

책 소개

사띠빳타나 수행의 실제를 담았다. 냐나로까 스님의 성품을 따라 빈틈없고, 덧붙일 것 없고, 뺄 것도 없는 수행자들의 지침서이다. 삶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맞이하여 진정한 행복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책이다.

목차

·저자 우 냐나로까 사야도 행장 … 5

1장 수행의 유익함 … 19
마음이 분명하고 안정되어 평안해지다 … 20
업業을 점점 제거시켜 도덕적인 생활을 하게 되다 … 21
스트레스에서 자유로워지다 … 23
육체적 고통과 질병이 치유되다 … 24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되다 … 26
보다 상위의 지혜가 계발되다 … 28
열반을 성취하게 되다 … 29

2장 사띠빳타나 수행의 이론적 기초 … 32
1.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 … 32
1) 대상을 앎nīlaṃpītaka … 32
2) 삼매samādhi, 三昧와 위빳사나 內觀 … 37
3) 위빳사나vipassanā, 內觀와 사띠빳타나 念處 … 40
4) 사띠sati, 念 … 41
- 사띠의 세 가지 주요한 요소 … 41
- 사띠의 특성 … 43
2. 수행에 대한 마음가짐 … 50
1) 수행에 대한 흥미와 믿음 … 50
2) 자신에 관한 모든 것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 … 51
3) 지계 청정 … 51
3. 다섯 가지 기능Indriya, 根… 54
1) 신심 인드리야saddhindriya, 信根 … 54
2) 정진 인드리야viriyindriya, 精進根 … 56
3) 사띠 인드리야satindriya, 念根 … 60
4) 삼매 인드리야samādhindriya, 定根 … 64
5) 반야 인드리야Pannindriya, 慧根 … 64
4. 빤냐띠paññtti와 빠라마타paramātha … 66
5. ‘명칭 붙이기’에 대해서 … 72
6. 사띠빳타나satipaṭṭāa, 四念處수행 … 76
1) 정신nāma, 名과 물질rūpa, 色 … 76
- 정신과 물질의 관계 … 76
- 몸·느낌·마음·담마의 현상은 각각 독립해서 일어나지 않는다 … 78
- 일어난 현상의 원인을 분별·비교하는 등의 일은 일체 삼가야… … 78
- 대개의 경우 사띠는 실제로 현상의 변화과정보다 한 단계 늦게 일어난다 … 79
2) 몸 계속 관찰의 사띠빳타나… 80
3) 느낌 계속 관찰의 사띠빳타나… 83
4) 마음 계속 관찰의 사띠빳타나 … 84
5) 담마 계속 관찰의 사띠빳타나 … 86

3장 사띠빳타나 수행의 실제 Ⅰ … 88
1. 걸을 때 사띠빳타나 수행 방법行禪… 89
1) 행선하는 자세 … 91
2) 걸을 때 사띠빳타나 수행의 방법 … 91
3) 걸을 때 사띠빳타나 수행의 유의점 … 95
2. 서 있을 때 사띠빳타나 수행 방법住禪… 102
3. 앉아 있을 때 사띠빳타나 수행 방법坐禪… 103
1) 앉는 자세 … 103
2) 좌선할 때 수행의 대상과 방법 … 104
3) 느낌의 현상 통찰 … 107
4) 마음의 현상 통찰 … 107
4. 누워 있을 때 사띠빳타나 수행 방법臥禪… 109
5. 수행이 항상 지속되어야 한다 … 110

4장 사띠빳타나 수행의 실제 Ⅱ … 113
1. 세 종류의 느낌 … 113
2. 괴로운 느낌에 대한 사띠의 방법 … 116
3. 즐거운 느낌에 대한 사띠의 방법 … 127
4.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에 대한 사띠의 방법 … 129

5장 사띠빳타나 수행의 실제 Ⅲ … 133
1. 없애버리려 애쓰지 말고, 사띠를 더욱 면밀하게… … 135
2. 자기 동일화시키지 않고, 객관적인 상황에서 바라보기 … 137
3. 성향 … 140
4. 자기 정당화, 합리화, 자기학대 … 143
5. 지루함 … 147
6. 자만과 오만 … 148
7. 들끓음과 고요함 … 150
8. 의존적 관계성 … 151

6장 사띠빳타나 수행의 실제 Ⅳ … 152
1. 다섯 가지 장애paña nivaraṇ, 五蓋… 152
1) 감각적 욕망에 대한 열의kāmacchanda … 155
- 감각적 욕망에 대한 열의의 비유 … 155
- 감각적 욕망에 대한 열의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행 … 158
2) 악의byāpāda, 惡意 … 160
3) 해태와 혼침thinamiddha, 懈怠·惛沈 … 162
4) 들뜸과 회한uddhaccakukkucca, 悼擧·惡作 … 165
5) 회의적 의심vicikicchā, 疑 … 167
2. 선정jhāa … 170
1) 초선paṭhamaṃjhāna : 색계 1선 … 170
- 선정jhāa의 구성요소 … 170
- 위딱까vitakka와 위짜라vicāa … 172
- 희열pīi과 행복sukha … 174
- 집중ekaggatā… 176
- 다섯 가지 능숙함paña vasiyo … 187
2) 제2선정dutiyaṃjhāna … 188
3) 제3선정tatiyaṃjhāna … 190
4) 제4선정catutthaṃjhāna … 193
5) 무색āruppa의 증득 … 196
6) 상수멸saññāvedayitanirodha의 증득과 멸진의 증득… 199

3.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sambojjhaṅa … 202
1) 사띠의 깨달음의 요소satisambojjhaṅga … 204
2) 담마를 조사하는 깨달음의 요소dhammavicayasambojjhaṅga … 205
3) 정진의 깨달음의 요소vīriyasambojjhaṅga … 205
4) 희열의 깨달음의 요소pītisambojjhaṅga … 205
5) 고요함의 깨달음의 요소passaddhisambojjhaṅga … 205
6) 삼매의 깨달음의 요소samādhisambojjhaṅga … 206
7) 평온의 깨달음의 요소upekkhāsambojjhaṅga … 206
4. 진리saccā 諦… 207
1)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dukkhaṃariyasacca, 苦聖諦 … 209
2) ‘괴로움의 발생’의 고귀한 진리dukkhasamudayaṃariyasacca, 集聖諦 … 218
3) ‘괴로움의 소멸’의 고귀한 진리dukkhanirodhaṃariyasacca, 滅聖諦 … 228
4)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고귀한 … 234
진리dukkhanirodhagāminīpaṭipadāariyasacca, 道聖諦
- 바른 견해sammāiṭṭi … 236
- 바른 사유sammāaṅappa … 246
- 바른 말sammāāa … 246
- 바른 행위sammāammanta … 249
- 바른 생계sammāāīa … 250
- 바른 정진sammāāāa … 251
- 바른 사띠sammāati … 252
- 바른 삼매sammāamāhi … 253

7장 맺는말 … 254
·미주 … 258

저자소개

냐나로까 사야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님은 한국인이다. 1989년 거해 스님으로부터 위빳사나 수행법을 배운 이후 테라와다 불교와 위빳사나 수행의 전파에 전력했으며, 테라와다 승가의 수호와 자애를 실천하기 위한 활동, 그리고 한국불교의 새로운 지표를 위해 온 몸으로 실천하며 수행을 지도한 이 시대의 참된 수행자셨다. 1993년 2월 미얀마 빤디따라마 예익타에서 비구계를 수지한 뒤 10여 년간 미얀마, 태국 등지에서 수행하셨고, 미얀마의 우 쿤달라 비왐사(U Kundala Bhivamsa)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2002년 경주시 내남면 박달리에 마하보디선원을 창건. 수행 지도하였고, 마하보디 자비 실천회를 설립, 미얀마 교육 후원 활동을 하였다. 2009년 10월 사단법인 ‘한국 테라와다 불교’를 창립하여 초대 운영위원장을 맡았다. 2014년 1월 20일 입적하셨다.
펼치기
감비라냐나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양산 통도사에서 득도得度, 비구계를 수지하였으며 제방선원에서 수행하였다. 한국의 전통사찰에서 수행 중 위빳사나 수행을 접하고, 보다 깊은 공부와 수행을 하고자 전통적인 테라와다 불교국가인 미얀마로 갔다. 미얀마 빤띠따라마 센터에서 수행하였고, 만달레이 쉐친 타익마지에서 비구계를 수지하였다. 부처님의 원음을 알기 위해서는 초기불교 경전 원문의 독해 능력이 필수적임을 절감하고 스리랑카 캔디의 뻬라데니야 국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빨리어를 수학하였다. 현재 경주 마하보디선원의 선원장이며, 동 선원이 한국의 바른 테라와다 수행도량으로서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과 실천을 전하는 도량으로 거듭나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바른 수행은 사성제와 팔정도 중에서도 바른 알아차림과 바른 삼매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바른 수행을 위해서는 경전과 수행이 함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소신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신을 현실에 접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중이다. 『사띠빳타나 수행-존재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기』의 편자이다.
펼치기
감비라냐나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