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99403446
· 쪽수 : 393쪽
· 출판일 : 2015-02-28
목차
PART 01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Chapter 01 지역사회의 개념과 유형
1.지역사회의 개념
2.지역사회의 유형
3.지역사회의 기능
4.지역사회의 구성요소
Chapter 02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
1.지역사회복지의 개념
2.지역사회복지의 이념
3.지역사회복지의 특성
4.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되는 개념
5.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의미
6.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
Chapter 03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2.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3.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Chapter 04 지역사회복지의 주요 이론
1.갈등이론과 구조기능주의이론
2.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이론
3.엘리트이론과 다원주의이론
4.자원동원이론과 교환이론
5.사회구성론과 권력의존이론
PART 0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해
Chapter 05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1.로스만의 모델
2.테일러와 로버츠의 모델
3.와일과 갬블의 모델
Chapter 06 사회행동의 전략과 전술
1.개요
2.사회행동의 전략
3.정치적 압력전술
4.법적 행동과 사회적 대결
5.언론의 활용과 협상전술
Chapter 07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과정
1.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의 모델
2.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
3.지역사회의 사정
Chapter 08 지역사회복지실천가의 역할과 기술
1.지역사회복지실천가의 역할
2.지역사회복지실천가의 기술
Chapter 09 공공영역에서의 지역사회복지실천
1.공공영역에서의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의의
2.공공복지실천주체의 전문 인력
3.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4.주민생활지원서비스
5.주민자치센터
6.희망복지지원단
Chapter 10 사회서비스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1.사회서비스의 정책환경
2.사회서비스의 공급체계
3.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목적과 의의
4.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추진체계
5.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유형
6.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문제점과 성과
Chapter 11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 및 시행
1.지역사회복지계획의 개요
2.지역사회복지계획의 법적 근거 및 전제조건
3.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 방향
4.시·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
5.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
6.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활성화 방안
PART 03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
Chapter 12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1.사회복지협의회
2.한국사회복지협의회
3.지역사회복지협의체
Chapter 13 사회복지관
1.사회복지관의 개요
2.사회복지관의 발전과정
3.사회복지관의 설치현황
4.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전달체계도
5.사회복지관의 주요 사업
6.사회복지관의 발전 방안
Chapter 14 사회복지공동모금회
1.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개요
2.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발전과정
3.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구조
4.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모금과 배분
5.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활성화 방안
Chapter 15 지역사회복지운동
1.지역사회 주민운동
2.지역화폐운동
3.마을공동체운동
Chapter 16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와 사회적 자본
1.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의 개념과 추진체계
2.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구축 요인
3.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