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가정학
· ISBN : 9788999411175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1-02-25
목차
머리말
1장 가족의 개념 및 구조와 기능
제1절 가족과 가정에 대한 개념
1. 가족의 소중함은 보편성
2. 가족, 가정의 정의
3. 가족의 특징과 관점에 대한 이해
제2절 가족의 구조와 기능
1. 가족의 구조
2. 가족의 기능
제3절 한국 가족의 변화
1. 한국 사회의 변화
2. 글로벌 환경 변화
3. 가족 가치관의 변화 - 현대 가족의 이해
4. 가족 유형의 변화 - 전통적 가족과 다양한 가족
2장 건강가정의 의미
제1절 건강가정의 등장배경과 중요성
1. 건강가정의 이해
2. 건강가정의 개념과 특성
제2절 건강가정의 요소
1. 건강가정의 특징과 양성평등한 가족관계
2. 의사소통과 바람직한 부모역할
3. 가족 공동여가 및 일과 가정의 조화
3장 건강가정의 구성과 탄력성
제1절 건강가정의 구성
1. 튼튼한 가족의 개념
2. 튼튼한 가족의 구성 요소
3. 튼튼한 가족 만들기
제2절 가족의 건강성을 회복시키는 가족탄력성
1. 가족탄력성
2. 가족탄력성 요인
3. 가족탄력성을 적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제3절 가정, 사람을 만드는 공장
1. 양육적인 가족
2. 가족 의사소통
3.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을 적용한 프로그램
4. 건강가족이 되기 위한 전략
4장 가족구성형태
제1절 혼인과 관련된 구조적 변화를 선택한 가족
1. 이혼가족
2. 재혼가족
3. 한부모가족
4. 조손가족
제2절 가족 기능의 변화를 도모한 가족
1. 맞벌이가족
2. 입양가족
3. 장애 가족
4. 다문화가족
5장 가족정책 관련법
제1절 가족정책 관련법
1. 가족정책 관련법 제정
2. 가족정책 관련법 주요 내용
3. 건강가정기본계획 및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4. 가족정책 기본 방향 및 주요 역점 추진 과제
제2절 건강가정기본법
1.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배경
2. 건강가정기본법의 이념
3. 건강가정기본법의 문제점
4. 건강가정기본법의 개정 필요성 ·
6장 건강가정사의 정의와 역할
1. 건강가정사의 정의
2. 건강가정사의 역할
3. 건강가정사의 직업윤리
4. 건강가정사가 협력해야 하는 주요 관련자
5. 건강가정사 현장실습
6. 건강가정사 직원교육
7장 건강가족정책
제1절 한국의 건강정책
1. 가족정책의 필요성 및 발달 과정
2. 건강가정정책의 개념
3. 건강가정정책의 가치와 접근방법
4. 한국 건강가정정책의 과제
제2절 외국가족정책
1. 외국의 가족정책 동향
2. 외국의 건강가정정책 사례
8장 건강가정사업
제1절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과정
1. 문제파악
2. 계획
3. 서비스 제공
4. 평가 및 피드백
제2절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기술
1. 면담기술
2. 의사소통 기술
3. 관계 기술
4. 갈등 관리 기술
5. 스트레스 관리기술
9장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
제1절 건강가정 전달체계의 구성 원칙과 현황, 역할
1. 건강가정 전달체계의 구성 원칙
2. 건강가정지원센터 구축 필요성
제2절 건강가정서비스 전달체계의 조직
1. 가족정책의 전달체계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3.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업무
4. 건강가정지원센터 개선하기 위한 방안
제3절 다문화가족지원센터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업
제4절 한부모가족 지원센터
1. 한부모가족 지원센터의 역할
2. 한부모가족지원 사업
10장 건강가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가족체계이론
2.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3. 가족발달이론
4. 페미니스트(여권(성)주의) 이론
5. 교환이론
6. 갈등이론
7. 생태학 이론
11장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향 및 가족치료
제1절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향
1.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향
2. 가족지원서비스
3. 가족중심 서비스
제2절 건강가정사업과 가족치료
1. 가족치료
2. 가족치료의 이론
3.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4. 부모교육 프로그램
12장 생애주기별 가족의 건강성
1. 가족 형성기의 가족의 건강성
2. 자녀 출산기의 가족의 건강성
3. 유아기 자녀를 둔 가족의 건강성
4. 아동기 자녀를 둔 가족의 건강성
5. 청소년기 자녀를 둔 가족의 건강성
6. 빈 둥지 시기의 가족의 건강성
7. 조부모기의 가족의 건강성
8.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 관계 및 가족 건강성의 변화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