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가정학
· ISBN : 9788999412882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2-08-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Chapter 1. 가족의 의미와 기능
1. 가족과 가정의 정의
2. 가족의 구조와 기능
Chapter 2. 한국 가족의 변화
1. 한국 사회의 변화
2. 글로벌 환경 변화
3. 가족 가치관의 변화
4. 가족 유형의 변화
5. 생애주기별 가족관계
Chapter 3. 건강가정의 의미
1. 건강가정의 이해
2. 건강가정의 정의와 특성
3. 건강가정에 관한 학계의 논의
4. 가족에 대한 신념
5. 건강가족이 되기 위한 전략
6. 가족의 건강성
Chapter 4. 건강가정의 요소
1. 건강가정의 특징과 양성 평등한 가족관계
2. 의사소통과 바람직한 부모역할
3. 가족 공동여가 및 일과 가정의 조화
Chapter 5. 건강가정의 구성과 탄력성
1. 건강가정의 구성
2. 가족의 건강성을 회복시키는 가족탄력성
Chapter 6. 가족정책 관련법
1. 가족정책 관련 법
2. 건강가정기본법
Chapter 7. 건강가정사의 정의와 역할
1. 건강가정사의 정의
2. 건강가정사의 역할
3. 건강가정사의 직업윤리
4. 건강가정사가 협력해야 하는 주요 관련자
5. 건강가정사 현장실습
6. 건강가정사 직원교육
Chapter 8. 건강가정기본계획과 다문화정책 기본계획
1. 건강가정기본계획
2. 다문화정책 기본계획
Chapter 9. 건강가족정책
1. 건강가족정책의 정의
2. 한국의 건강가족정책
3. 외국의 건강가족정책
Chapter 10. 혼인과 관련된 가족 변화
1. 이혼가족
2. 재혼가족
3. 한부모가족
4. 조손가족
Chapter 11. 가족 기능에 따른 가족 변화
1. 맞벌이가족
2. 입양가족
3. 장애가족
4. 다문화가족
Chapter 12. 건강가정사업
1.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과정
2.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기술
3. 사티어의 의사소통
Chapter 13.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
1. 건강가정 전달체계의 구성
2. 건강가정서비스 전달체계의 조직
3. 다문화가족지원센터
4. 한부모가족지원센터
Chapter 14. 건강가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가족체계이론
2.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3. 가족발달이론
4. 페미니스트(여성주의) 이론
5. 교환이론
6. 갈등이론
7. 생태이론
Chapter 15.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향 및 가족치료
1.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향
2. 가족치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