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99415722
· 쪽수 : 383쪽
· 출판일 : 2025-07-20
목차
Chapter 01 가족의 의미와 기능
1. 가족과 가정의 정의
2. 가족의 구조와 기능
Chapter 02 가족복지에 대한 이해
1. 가족복지의 개념
2. 가족복지의 필요성
3. 가족생활주기의 이해
4. 복지국가 가족정책의 지위와 역할
Chapter 03 한국 가족의 변화
1. 한국 사회의 변화
2. 글로벌 환경 변화
3. 가족 가치관의 변화
4. 가족 유형의 변화
5. 생애주기별 가족관계
Chapter 04 가족복지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가족체계이론
2.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3. 가족발달이론
4. 페미니스트(여성주의) 이론
5. 교환이론
6. 갈등이론
7. 생태이론
Chapter 05 가족복지실천 원리와 원칙
1. 가족복지실천의 원리
2. 가족복지실천의 원칙
Chapter 06 가족치료의 이해
1. 일반체계이론의 개념
2. 가족체계의 주요 개념
3. 가족복지와 가족치료의 개념
4. 가족치료의 사정 방법
Chapter 07 가족치료 모델
1. 정신분석이론
2.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3. 미뉴친의 구조적 가족치료
4. 사티어의 의사소통 가족치료
5. 헤일리의 전략적 가족치료
6. 해결 중심 단기치료
7. 대상관계이론
Chapter 08 가족복지정책
1. 가족복지정책의 유형화
2. 가족복지정책의 분야
3. 가족정책의 향후 과제
Chapter 09 가족복지 관련 법
1. 건강가정기본법
2. 한부모가족지원법
3. 민법(가족법)
4. 영유아보육법
5. 모성보호에 관한 3법
Chapter 10 혼인과 관련된 가족 변화
1. 이혼가족
2. 재혼가족
3. 한부모가족
4. 조손가족
Chapter 11 가족 기능에 따른 가족 변화
1. 맞벌이가족
2. 입양가족
3. 장애가족
4. 다문화가족
Chapter 12 실천 형태에 따른 가족 변화
1. 빈곤가족
2. 가정폭력가족
3. 치매노인가족
4. 알코올중독자 가족
5. 호스피스 케어 가족
Chapter 13 가족복지를 위한 건강가정요소
1. 건강가정의 특징과 양성평등한 가족관계
2. 의사소통과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
3. 가족 공동여가 및 일과 가정의 조화
4. 스티넷의 튼튼한 가족
Chapter 14 가족복지의 전망과 과제
1. 다양한 가족생활 유형
2. 가족의 건강성을 회복시키는 가족탄력성
3. 가족복지의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