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99725364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1-11-20
목차
역자 서문 1
역자 서문 2
한국어판 서문
편저자 서문
약어
Chapter 01 신경학적 음악치료(NMT): 사회과학에서 신경과학까지
1.1 서론
1.2 합리적 과학적 중재 모델(RSMM)
1.3 요약
Chapter 02 신경학자의 관점에서 본 신경학적 음악치료
Chapter 03 신경학적 음악치료를 위한 음악 테크놀로지
3.1 서론
3.2 음원 디지털 변환 입력 장치(MIDI)
3.3 하드웨어
3.4 소프트웨어
3.5 재활 현장에서의 뇌 - 컴퓨터 음악 인터페이스와 음악 비디오 게임
Chapter 04 신경학적 음악치료에서의 임상적 즉흥 연주
4.1 서론
4.2 음악적 개념과 자료
4.3 음악적 집행 기능 훈련(MEFT)
4.4 음악 심리사회적 훈련과 상담(MPC)
4.5 마무리
Chapter 05 패턴화된 감각 증진(PSE)과 강제 유도 치료(CIT): 작업치료사 및 학제 간 상지 재활 치료 관점
5.1 서론
5.2 강제 유도 치료(CIT)
5.3 강제 유도 치료(CIT)와 운동 조절
5.4 패턴화된 감각 증진(PSE)과 움직임의 질
5.5 PSE의 임상 적용
5.6 PSE와 CIT의 복합 적용
Chapter 06 평가 및 전환 설계 모델(TDM)
6.1 평가 원칙
6.2 전환 설계 모델(TDM)에서의 평가
6.3 평가 도구
Chapter 07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보행 재활에서의 리듬 청각 자극(RAS): 연구 관점
7.1 서론
7.2 배경
7.3 RAS의 정의
7.4 RAS 이해하기
7.5 보행 및 보행 관련 활동에서 적용되는 RAS의 효과
7.6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과 RAS 효과의 체계적 문헌 고찰
7.7 RAS의 새로운 적용
7.8 마무리 및 미래 연구 제안
Chapter 08 리듬 청각 자극(RAS)
8.1 정의
8.2 대상군
8.3 연구 요약
8.4 치료적 메커니즘
8.5 임상 프로토콜
8.6 RAS 프로토콜 단계
8.7 다양한 대상군을 위한 RAS의 적용
Chapter 09 패턴화된 감각 증진(PSE)
9.1 정의
9.2 대상군
9.3 연구 요약
9.4 치료적 메커니즘
9.5 임상 프로토콜
9.6 PSE 훈련과 적용 요약
Chapter 10 치료적 악기 연주(TIMP)
10.1 정의
10.2 대상군
10.3 연구 요약
10.4 임상 프로토콜
Chapter 11 멜로디 억양 치료(MIT)
11.1 정의
11.2 대상군
11.3 연구 요약
11.4 치료적 메커니즘
11.5 임상 프로토콜
Chapter 12 음악적 말하기 자극(MUSTIM)
12.1 정의
12.2 대상군
12.3 연구 요약
12.4 치료적 메커니즘
12.5 임상 프로토콜
Chapter 13 리듬적 말하기 신호(RSC)
13.1 정의
13.2 대상군
13.3 연구 요약
13.4 치료적 메커니즘
13.5 치료 절차
13.6 5단계 훈련 계획
13.7 일반적인 방법
13.8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치료 적용
13.9 경직형, 실조형 및 혼합형 마비말장애 환자에 대한 치료 적용
13.10 말더듬 환자에 대한 치료 적용
Chapter 14 구강 운동과 호흡 훈련(OMREX)
14.1 정의
14.2 대상군
14.3 연구 요약
14.4 치료적 메커니즘
14.5 임상 프로토콜
Chapter 15 음성 억양 치료(VIT)
15.1 정의
15.2 대상군
15.3 연구 요약
15.4 치료적 메커니즘
15.5 임상 프로토콜
15.6 요약
Chapter 16 치료적 노래 부르기(TS)
16.1 정의
16.2 대상군
16.3 연구 요약
16.4 치료적 메커니즘
16.5 임상 프로토콜
16.6 마무리
Chapter 17 음악을 통한 발달적 말하기와 언어 훈련(DSLM)
17.1 정의
17.2 대상군
17.3 연구 요약
17.4 치료적 메커니즘
17.5 임상 프로토콜
17.6 마무리
Chapter 18 음악을 통한 상징적 의사소통 훈련(SYCOM)
18.1 정의
18.2 대상군
18.3 연구 요약
18.4 치료적 메커니즘
18.5 임상 프로토콜
18.6 마무리
Chapter 19 음악적 감각 지남력 훈련(MSOT)
19.1 정의
19.2 대상군
19.3 연구 요약
19.4 치료적 메커니즘
19.5 임상 프로토콜
Chapter 20 청지각 훈련(APT)
20.1 정의
20.2 대상군
20.3 연구 요약
20.4 치료적 메커니즘
20.5 임상 프로토콜
Chapter 21 음악적 주의 조절 훈련(MACT)
21.1 정의
21.2 대상군
21.3 연구 요약
21.4 치료적 메커니즘
21.5 임상 프로토콜
Chapter 22 음악적 무시 훈련(MNT)
22.1 정의
22.2 대상군
22.3 연구 요약
22.4 치료적 메커니즘
22.5 임상 프로토콜
22.6 평가
Chapter 23 음악적 집행 기능 훈련(MEFT)
23.1 정의
23.2 대상군
23.3 연구 요약
23.4 치료적 메커니즘
23.5 임상 프로토콜
Chapter 24 음악적 기억술 훈련(MMT)
24.1 정의
24.2 대상군
24.3 연구 요약
24.4 치료적 메커니즘
24.5 임상 프로토콜
Chapter 25 음악적 음향 기억 훈련(MEM)
25.1 정의
25.2 대상군
25.3 연구 요약
25.4 치료적 메커니즘
25.5 임상 프로토콜
Chapter 26 연상적 기분과 기억 훈련(AMMT)
26.1 정의
26.2 대상군
26.3 연구 요약
26.4 치료적 메커니즘
26.5 임상 프로토콜
Chapter 27 음악 심리사회적 훈련과 상담(MPC)
27.1 정의
27.2 대상군
27.3 치료적 메커니즘
27.4 연구 요약
27.5 임상 프로토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