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99726699
· 쪽수 : 493쪽
· 출판일 : 2022-04-20
목차
머리말
Chapter 01 가족의 개념
제1절 가족이란
1. 가족의 소중함은 보편성이다
2. 우리 사회에서 가족은 더욱 특별하다
제2절 가족의 개념
1. 역사적 차원에서의 가족의 개념
2. 학문적 차원에서의 가족의 개념
3. 가족 관련 법에서의 가족의 개념과 범위
4. 인식적 차원에서의 가족의 개념
Chapter 02 사회 변화와 가족 변화
제1절 사회 변화
1. 한국 사회의 변화
2. 글로벌 환경 변화
제2절 가족 환경 변화
1. 저출산
2. 고령화
3. 소득의 양극화와 갈등의 심화
4. 여성의 사회경제 활동 참여 증가
제3절 가족 구조의 변화
1. 가족 규모의 축소
2. 세대 구성의 단순화
3. 가족 형태의 다양화
제4절 가족 기능의 변화
1. 가족의 경제적 기능
2. 가족의 재생산 및 성행위 규제 기능
3. 가족의 자녀양육 및 사회화 기능
4. 노인에 대한 부양 기능
5. 정서적 기능
Chapter 03 가족과 다양성, 보편화되는 가족
제1절 혼인과 관련된 구조적 변화를 선택한 가족
1. 이혼가족
2. 재혼가족
제2절 가족 기능의 변화를 도모한 가족
1. 맞벌이가족
2. 입양가족
3. 조손가족
제3절 폭력을 경험하는 가족
1. 가족폭력의 현황
2. 가족폭력의 사회 문제화 및 제도화
Chapter 04 가족과 다양성, 새롭게 대두되는 가족
제1절 뉴 라이프스타일을 선택한 가족
1. 독신가족
2. 떨어져 생활하는 가족
3. 자발적 무자녀가족
4. 양육미혼부모가족
제2절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하는 가족
1. 다문화가족
2. 북한이탈가족
제3절 기타 가족
1. 동성애가족
2. 미래의 가족 형태는?
Chapter 05 가족과 사회학 및 사회복지이론
제1절 가족과 사회학적 이론
1. 구조기능론
2. 갈등이론
3. 상징적 상호작용론
4. 교환이론
5. 페미니스트 이론
제2절 가족과 사회복지 이론 및 관점
1. 체계 이론
2. 생태체계 이론
3. 가족생활주기 관점
4. 강점관점
5. 회복탄력성과 가족 회복탄력성 이론
6. 임파워먼트 이론
7. 다문화 관점
제3절 건강가족을 위한 실천 원칙 및 실천 사례
1. 핵심적인 실천 원칙
2. 실천 사례
Chapter 06 건강가족과 건강가족 실천
제1절 건강가족 실천의 개념적 틀
제2절 건강가족
1. 스티넷 등의 ‘튼튼한 가족’의 개념
2. ‘튼튼한 가족’의 구성 요소
3. ‘튼튼한 가족’ 만들기
제3절 건강가족 실천
1. 가족생활교육
2. 가족상담
3. 사례관리
Chapter 07 가족정책
제1절 가족정책
1. 가족정책의 필요성 및 발달 과정
2. 가족정책의 개념 및 유형
제2절 한국의 가족정책
1. 가족정책의 흐름
2. 가족정책 관련 법 제정 및 주요 내용
3. 건강가정기본계획 및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4. 가족정책 기본 방향 및 주요 역점 추진 과제
Chapter 08 가족정책 전달체계
제1절 건강가정지원센터
1. 건강가정지원센터 현황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주체별 역할
3.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
제2절 다문화가족지원센터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업
3.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프로그램별 사업 세부 내용
제3절 건강가정·다문화가족 통합센터
1. 건강가정·다문화가족 통합센터 현황
2. 통합센터의 사업 내용
제4절 한부모가족지원센터
1. 한부모가족지원센터 역할
2. 한부모가족지원센터 사업
Chapter 09 건강가정사
제1절 가족서비스 전달체계 전담인력
1. 전담인력의 정의
2. 전담인력의 주요 직무
제2절 과업별 수행 내용
1. 가족서비스 사업·프로그램 운영관리
2. 가족상담
3. 가족맞춤형 직접서비스 지원
제3절 가족서비스 비전 체계
1. 가족서비스 비전 및 추진 전략
2. 건강가정사 자격제도 개편
3. 전담인력 역량강화 교육 체계화
Chapter 10 건강가정사업
제1절 건강가정사업의 진행 단계
1. 기획
2. 실행
3. 평가
제2절 건강가정사업의 지침
1. 가족상담
2. 가족교육
3. 가족문화
4.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및 자원 연계
Chapter 11 가족사례관리
제1절 가족사례관리의 필요성
1. 가족사례관리의 통합적 모형
제2절 가족사례관리의 과정
1. 가족사례관리 과정의 특성
2. 가족사례관리의 초기단계
3. 가족사례관리의 중간단계
4. 가족사례관리의 마무리단계
제3절 가족사례관리의 적용
1. 위기가족을 위한 가족사례관리의 실제
2.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사례관리의 실제
Chapter 12 가족사업 실천
제1절 가족사업 실천
1. 가족사업 실천 계획
제2절 가족사업 팀별 사업 계획
1. 상담
2. 교육
3. 문화
4. 기타사업 및 지역연계
5. 취약가족 역량강화지원
Chapter 13 가족사업 현장실무
제1절 가족사업 현장실무
1. 지역사회 현황 파악
2. 비전 및 미션
3. 연차별 사업 계획
제2절 가족 특성화 사업 실무
1. 면접교섭 서비스
2. 다양한 가족 수용성 증진 교육
3. 1인가구 사회적 관계망 형성지원 사업
4. 생명존중 인식 개선 사업
5. 중장년기 부부 관계 개선 사업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