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08098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18-01-15
책 소개
목차
01 슈퍼 히어로 캐릭터 산업의 시작
02 그래픽 노블의 대중화
03 <스타워즈>와 키덜트 무비
04 디즈니의 원소스멀티유스 전략
05 캐릭터 영역의 교차, 멀티플랫포밍
06 일본 키덜트 산업의 근본, 오타쿠
07 뉴웨이브, 사이버펑크 아니메와 오타쿠
08 시대를 초월하는 롱셀러 캐릭터
09 한국의 키덜트 시장
10 웹 캐릭터와 키덜트 시장의 진화
저자소개
책속에서
펄프픽션의 만화사적 의의는 슈퍼 히어로 만화 캐릭터의 원형을 구축했다는 점이다. 대표작인 『닥 새비지(Doc Savage)』의 초인적인 캐릭터 ‘닥 새비지’는 청동 사나이로 불리는 초인적인 영웅으로, 슈퍼맨의 원조로 불린다. 어드벤처 히어로의 대표로 꼽히는 1930년 작품 『섀도』의 주인공은 어둠의 기사로 불리며 검은 모자와 검은 망토를 덮어쓰고 악인들을 응징하는 투사로 활약하며, 훗날 <배트맨(Bat Man)>의 캐릭터 설정에 상당 부분 반영되었다. 1933년 작품 『스파이더(The Spider)』는 마블코믹스(Marvel Comics)의 <스파이더맨(Spider?Man)>에 영향을 주었다.
‘슈퍼 히어로 캐릭터 산업의 시작’ 중에서
그래픽 노블(graphic novel)은 그래픽(graphic)과 노블(novel)의 합성어로, 그림 소설을 말하며 만화와 소설의 중간 형식을 가진 좀 더 고품격의 만화를 칭한다. 초창기에는 문학과 예술성이 강조된 만화를 일반 코믹스와 구분 지을 목적으로 쓰였다. 그래픽 노블은 내용 면에서, 언더그라운드 만화가 어린이 만화나 지나친 검열에 대한 반동으로 태어난 것처럼 가벼운 연재만화와 차별되는 철학적인 주제를 바탕으로 한 복잡한 서사 구조로 문학작품에 가까운 완결 만화의 형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픽 노블의 대중화’ 중에서
<스타워즈>의 출발은 독립영화였다. 조지 루카스는 미국영화인협회에 가입하지도 않은 신입 감독이었다. <스타워즈>의 이분법적 선악론과 직선적인 단순한 플롯은 마틴 스코세이지(Martin Scorsese) 감독의 <택시 드라이버(Taxi Driver)>(1976)처럼 배우의 연기력과 사회 비판적 주제 의식이 점철된 실험영화가 주류를 이루던 당시로서는 생경한 것이어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아낼 수 없었다. 그러나 메이저 영화사들이 해외 배급을 목적에 둔 상업적인 영화에 눈독을 들이고 있었고, 성인 관객층을 대상으로 한 실험영화보다 10대 청소년층을 겨냥한 <스타워즈>는 충분히 매력적으로 어필하는 색깔의 영화였다.
‘<스타워즈>와 키덜트 무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