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91128816208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0-06-18
책 소개
목차
01 공연예술단체의 법적 형태
02 비영리단체의 등록과 특징
03 비영리법인의 설립과 특징
04 영리단체의 설립과 특징
05 재원 조성과 재원 유형
06 단체 운영과 경영 환경
07 지원 정책과 제도
08 공공 지원 기관과 공모 사업
09 기부금 모금과 스폰서십
10 공연 기획과 공연 기획서 작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경제가 부흥하고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문화산업도 발전하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에 대한 향유가 특권이 아닌 모든 사람들의 권리로 자리매김하게 되면서 누구나 평등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국가의 근본적인 지원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오늘날의 우리나라 공연계는 뮤지컬, 오페라, 콘서트 등 상업적인 공연과 연극, 발레, 현대 무용, 클래식, 국악, 연희, 판소리 등의 상대적으로 비상업적인 공연으로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상업적인 공연은 대형 기획사의 거대 자본과 숙련된 노하우, 그리고 외부 재원 유치에 힘입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친다. 반면 비상업적인 공연은 공연을 올리기 위한 외부 재원은 고사하고 티켓 판매 등의 수익도 기대할 수 없는 형편이어서 정부 보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서문-“공연예술단체 설립과 운영” 중에서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명목하에 문화예술 공연단체에게 가장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예진흥기금’도 고갈될 위기에 놓여 있다. 게다가 각 지역문화재단의 재원과 기본 재산으로 운영하는 수익금의 감소로 인하여 문화예술 기금은 점차 축소되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기업이나 개인 등 민간 차원의 기부금의 활성화가 꼭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민간 공연예술단체가 운영적인 측면에서 자생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공연 티켓 판매 등의 자체 수입과 기부금 모금을 높여야 한다. 그러나 기부금 모금이 생각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이를 위해 한국메세나협회에서는 단체들의 기부금 모금에 도움을 주고자 기업과 민간 예술단체를 연결시켜 주는 사업을 진행한다.
01-“공연예술단체의 법적 형태” 중에서
비영리사업이란 법인의 구성원 개개인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 아닌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말한다. 비영리법인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만 할 필요는 없다. 비영리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한도 내에서 그 본질에 반하지 않는 정도의 영리 행위는 허용된다. 요즘은 주무 관청에서 비영리법인이 재정적인 자립도를 갖추게 하기 위해서 비영리법인 허가 요건으로 수익사업 계획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영리 행위를 했을 경우 수익은 반드시 고유목적사업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야 하며, 어떤 형식으로도 구성원에게 분배되면 안 된다.
03-“비영리법인의 설립과 특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