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91128819940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21-03-05
책 소개
목차
머리글
개정판을 내며
1부 예술경영과 관객
01 객석은 왜 늘 비나?
우리 예술경영의 방식
취약한 관객 기반
02 관객은 누구인가?
예술경영자의 소원
관객은 누구인가
관객 개발이 쉽지 않은 이유
2부 미국의 관객 개발 역사
03 미국 관객 개발의 시작
경제, 사회, 문화 환경의 변화
예술의 팽창과 비영리 예술단체의 시즌 프로그래밍
전근대적 운영과 관객의 부재
업계의 자성과 문화민주주의
마케팅 기법 도입과 관객 기반의 구축
주변 환경의 도움
04 항구적 관객 기반 구축을 위하여
DSP: 시즌티켓 예약자 개발 전략
DSP 사례
시즌 공연 마케팅 방식
DSP의 성과
05 시행착오와 DSP의 대안들
관객의 정체
DSP의 근본적인 한계들
예술과 마케팅의 관계
DSP의 수용과 비판
오늘날의 양상
06 새로운 방식을 찾아서
새로운 전략: 예술교육
예술교육의 방식
07 예술교육의 효과들
NEA 등의 연구 결과
거스리극단의 예술교육 성과
3부 관객 개발 전략
08 중장기 경영 계획
중장기 경영 계획은 왜 필요한가
예술기관의 전략적 경영
전략적 경영에서 고려할 것들
09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의 방식
10 시즌공연 마케팅
예술 마케팅의 근본적인 고민
예술기관 프로그램 마케팅의 관점
마케팅의 기본 자원과 수단
시즌 프로그램 마케팅
11 관객 개발을 위한 예술교육
관객 분류와 관객 개발의 방식
관객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
12 관객 구조 개선을 통한 관객 개발 방식
분석 항목
조사 결과
비교 요약
서울시향의 운영 혁신
관객 구조 개선을 통한 관객 개발 방식
논의와 제한점
13 튼튼한 관객 기반 구축을 위하여: 예술기관의 리더십
예술의, 예술기관의 위기
예술 팽창 이후 양국의 대응과 결과
예술기관의 위기와 리더십
지은이 후기(초판)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관객은 공연예술이 지속적인 생명력을 갖기 위한 예술적·경제적 지원자이기도 하다. 예술단체의 공연을 감상하고 그 예술적 비전이나 지향에 지지를 보내 주는 관객이 없다면 예술단체는 그 존재의 의미를 상실할 것이다.
-“02 관객은 누구인가?” 중에서
유럽이나 미주에서는 가을부터 다음해 봄까지가 시즌 기간인데, 시즌 프로그램은 물론 일괄 공개다. 전 작품의 리스트와 각각의 공연기간, 티켓 가격, 티켓의 구입 방법 등 모든 것이 한꺼번에 관객들에게 공개된다는 말이다.
-“04 항구적 관객 기반 구축을 위하여” 중에서
1960년대 레너드 번스타인이 뉴욕필 예술감독 시절 처음으로 지휘대에서 관객에게 음악 이야기를 한 이후 많은 음악감독들이 그 뒤를 이어 왔다. 쿠르트 마주어 역시 뉴욕필의 예술감독으로 ‘해설 프로그램(verbal program note approach)’ 방식을 ‘러시아워 콘서트’와 토요일의 ‘캐주얼 콘서트’에 채용한 바 있다.
-“06 새로운 방식을 찾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