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91128851612
· 쪽수 : 146쪽
· 출판일 : 2024-05-10
책 소개
목차
케인스의 생애와 경제학
01 케인스의 신념
02 자유방임 자본주의 경제 비판
03 화폐적 생산 경제
04 화폐의 순수 이론: 물가 불안과 신용 순환
05 생산의 화폐 이론: 화폐와 실물 생산
06 불확실성과 투자 조달: 은행 제도의 중요성
07 불황과 실업 대응: 통화 정책과 재정 정책
08 완전 고용과 경제 안정을 위한 경제 질서
09 세계 평화와 완전 고용을 위한 국제 경제 질서
10 케인스와 현재
저자소개
책속에서
케인스의 신념들은 경제학 연구의 철학과 방법, 경제 문제의 가치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케인스는 경제학 연구의 철학적 기초로서 벤담주의에 기초한 자유방임 사상을 배격했다. 또한 여러 저술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인간 행동의 합리성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었다. 아울러 불확실성 속에서 행해지는 인간 행동의 한 기준으로 사회적 심리와 관습을 중요하게 여겼다. 더 나아가 우리 경제 활동의 목표를 단순한 생산 증대와 같은 부의 총량 증대가 아니라 모든 개인이 선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두었다.
_“01 케인스의 신념” 중에서
케인스는 우리가 경제 활동의 최종 목적을 부의 증대에 두어서는 안 되지만, 최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본주의 경제는 유용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자본주의 경제가 자유방임에만 맡겨졌을 때 그 경제는 효율적이지도 공정하지도 않다. 그렇기 때문에 자본주의는 자유방임주의의 주장처럼 개인들의 이익과 판단에만 맡겨 두어서는 안 되며, 적절히 관리해야 한다. 그러면 자본주의는 경제의 목적을 달성할 효과적 수단으로서 유용해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인스는 “내가 볼 때, 현명하게 관리되기만 하면, 경제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자본주의가 다른 어떤 대안보다 효과적인 것 같다”라고 말한다.
_“02 자유방임 자본주의 경제 비판” 중에서
케인스의 경제 이론이나 정책이 낡은 것으로 치부되어 외면받고 있는 오늘날에도 실업과 소득 불평등은 개선되지 않은 채 지속되고 있다. 케인스가 살던 1930년대 당시보다는 실업률이 다소 낮아졌지만 오늘날에도 불완전 고용 등을 포함한 잠재 실업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부와 소득의 불평등은 당시보다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다. 케인스가 한 사회의 경제적 총량만을 염두에 두는 공리주의를 비판하면서 개개인 삶의 즐거움을 중시했던 것처럼, 우리가 사회 구성원 각각의 행복을 고려한다면 오늘날의 실업과 불평등도 당연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_“10 케인스와 현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