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61901
· 쪽수 : 94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목차
스킨십 비즈니스와 이현세 키즈의 약진
01 댓글과 팬덤의 딜레마
02 아이피 오픈 마켓과 진입 장벽의 딜레마
03 장르 실험과 장르 편향성의 딜레마
04 비즈니스 모델의 딜레마
05 연재 분량의 양극화와 스타 시스템의 딜레마
06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딜레마
07 에이전시 및 스튜디오 시스템의 딜레마
08 기술 융합형 창작 소프트웨어의 딜레마
09 불법 복제 플랫폼의 딜레마
10 중국 웹툰의 도전과 일본 시장의 패러독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결국 플랫폼 자체의 큐레이션 시스템이 도발적인 선택 변수로 장르 실험을 뒷받침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최근 넷플릭스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큐레이션 서비스 트랙을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나아가 실제 장르 전문가가 불특정 다수에게 큐레이션을 수동으로 가이드하는 서비스를 개발한다. 장르 실험은 언제나 어느 곳에서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만드는 과정이다.
_ “02 아이피 오픈 마켓과 진입 장벽의 딜레마” 중에서
웹툰 에이전시에서는 특히 브랜드 웹툰 전략을 역발상으로 전환시켜 기획 시나리오를 통해 웹툰 작품을 개발한다. 웹툰 작품의 콘셉트에 따라 추후 상품을 개발하는 모델도 실험한다. 웹툰 에이전시 재담미디어의 경우, <노점묵시록>이라는 웹툰 작품을 제작하여, 실제로 작품에 등장하는 가상적 노점 음식 메뉴를 개발하고, 홈쇼핑 판매와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연계하기도 했다.
_ “04 비즈니스 모델의 딜레마” 중에서
웹툰 원작을 기반으로 저작권 계약을 통해 드라마와 영화 등의 2차·3차 원작의 확장성을 추구하는 경우, 성공 사례의 기대 효과뿐만 아니라 실패 사례에 대한 역설적 효과와 불확실성 관리 전략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그래서 표준계약서 양식과 추후 저작권의 활용도에 대해서도 다양한 관리가 필요하다. 웹툰 원작이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 전환될 때 실제 그 미디어 포맷에 맞는 시나리오의 변형과 각색은 필수적이다.
_ “06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딜레마”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