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28899683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24-09-30
책 소개
목차
생성형 AI 기반의 창작 플랫폼과 생태계
01 언어모델, 생성형 AI의 본질
02 API 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03 글쓰기의 구조
04 스토리란 무엇인가
05 창작의 패러다임
06 스토리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작성법
07 웹소설 200화, 100만 자 글쓰기, 웹소설 유료 작가 되기
08 생성형 AI에 대한 오해와 진실
09 생성형 AI로 새롭게 만들 K-스토리의 미래
10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과 문화 산업의 변화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간의 몸에는 다양한 크기의 전류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신경세포 간 전기 신호 전달 시 약 1∼100마이크로암페어의 전류가 발생하고, 뇌 신경세포들의 활동 전위가 모여 약 1∼100마이크로볼트의 뇌 전압이 발생한다. 이러한 전자적 양자얽힘은 인간의 의식이 무선통신처럼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01_“언어모델, 생성형 AI의 본질” 중에서
원고의 창작 과정은 크게 이야기 전개 방향 설정, 에피소드 전개 및 대화 생성, 결말 작성의 세 단계로 나뉜다. 첫 단계에서는 생성된 이야기를 바탕으로 전개 방향을 정하고, 필요한 내용을 추가하거나 삭제한다. 둘째 단계에서는 AI를 활용해 가능한 사건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에피소드와 대화를 발전시키며, 필요한 수정과 보완을 진행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야기의 마무리를 위해 적절한 결말을 찾아내고, 이를 통해 스토리를 완성시킨다.
-04_“스토리란 무엇인가” 중에서
캐릭터 설계는 스토리의 핵심 요소로, 각 인물의 성격, 배경, 목표 등을 심층적으로 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주인공은 분명한 목표와 동기, 결점을 지니며 매력적으로 설정된다. 조연들은 스토리에 깊이와 갈등을 추가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캐릭터들의 과거 경험과 성격 형성 과정은 그들의 행동과 선택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독자는 캐릭터에 공감하고 그들을 이해할 수 있다.
-06_“스토리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작성법”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