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통계
· ISBN : 9791129015228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제1장 한국통계의 뿌리를 찾아서(~1896)
1. 통계인식의 출발 및 통계제도 성장 초기
2. 조선, 전통시기 통계제도의 완성기
제2장 근대통계제도의 도입과 시련(1897~1945)
1. 근대통계제도의 도입
2. 일제 식민통치와 통계조사
제3장 한국통계, 발전의 걸음마를 배우다 (1945~1948)
1. 격동의 역사, 2년 11개월
2. 미군정기의 통치·통계조직
3. 미군정기 통계의 빛과 그늘
4. 통계지표, 당시의 생활상을 반영하다
제4장 한국통계, 혼란과 폐허 속에서 홀로서다 (1948~1960년대 초)
1. 새나라 건설, 멀고도 험한 길
2. 통계조직 및 통계시책
3. 정부수립 및 전환기의 통계활동
4. 전란의 폐허 속에서 이루어낸 통계발전
제5장 통계, 국가경제개발의 유용한 도구가 되다 (1960대 초~1980년대 초)
1. ‘한강의 기적’을 이루다
2. 산업화시대의 통계조직
3. 통계발전 시책
4. 새로운 통계개발과 기존 통계의 변화
제6장 통계고도화로 대한민국 국격을 높이다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1. 다원화·세계화·정보화시대로 진입하다
2. 통계청 설립과 집중형 통계시스템 구축
3. 통계발전 시책
4. 통계의 개발과 발전
제7장 선진통계국으로의 도약과 복지사회를 구현하다 (2000년대 초 이후)
1. 대외개방 확대와 복지사회로 이행하다
2. 통계조직, 선진통계국의 기반을 조성하다
3. 통계의 혁신, 국가의 혁신
4, 새로운 통계개발과 기존 통계의 변화발전
5, 국가선진화를 위한 통계좌표
부록 / 한국통계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