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03383
· 쪽수 : 1041쪽
· 출판일 : 2016-09-10
책 소개
목차
제1장 행정학은 어떤 학문인가?
제1절 행정학의 과거와 현재 3
Ⅰ. 학설사 고찰의 준거 3
Ⅱ. 행정학사의 출발연대와 시대구분 4
1. 행정학사의 출발연대 4
2. 행정학사의 시대구분 6
Ⅲ. 고전적 행정학 7
1. 시대적 배경 7
2. 고전적 행정학의 특성 9
Ⅳ. 신고전적 행정학 11
1. 시대적 배경 11
2. 신고전적 행정학의 특성 13
Ⅴ. 현대행정학 15
1. 1950년대 이후의 변천 15
2. 시대적 배경 16
3. 현대행정학의 특성 17
4. 현대행정학의 ‘현대적 편향’ 19
Ⅵ. 한국행정학 23
1. 미국행정학의 도입과정 23
2. 행정학의 ‘토착화’․‘한국화’ 26
제2절 행정학의 학파 28
Ⅰ. 학파의 레퍼토리 28
Ⅱ. 주요 학파에 대한 설명 29
1. 과학적 관리론 29
2. 인간관계론 32
3. 체제론적 접근방법․상황적응적 접근방법 36
4. 발전행정론 41
5. 조직군생태이론․자원의존이론 44
6. 공공선택론 46
7. 거래비용이론․대리인이론 52
8. 신행정학 55
9. 비판이론 61
10. 신제도론 64
11. 거버넌스이론 68
12. 혼돈이론 72
13. 실증주의적 접근방법․현상학적 접근방법․행위이론 77
제2장 행정과 그 환경
제1절 행정이란 무엇인가? 85
Ⅰ. 행정의 의미 85
1. 행정의 정의 85
2. 행정의 기능 92
3. 행정체제의 구성 94
4. 이 책의 구성 94
Ⅱ. 행정과 경영 그리고 정치 95
1. 행정과 경영의 관계 95
2. 행정과 정치의 관계 100
Ⅲ. 행정체제의 유형 105
1. 다양한 유형론 105
2. Heady의 행정(정부관료제) 분류 106
3. Raadschelders의 정부기능 분류 109
4. Peters의 거버넌스 분류 109
5. Hood의 공공관리 분류 110
6. Mintzberg의 정부관리 분류 112
7. Greene의 행정모형 분류 113
제2절 행정의 환경 115
Ⅰ. 환경연구의 기초개념 115
1. 조직의 경계와 환경 115
2. 일반적 환경 117
3. 구체적 환경 120
Ⅱ. 행정국가 121
1. 행정국가의 정의 121
2. 행정국가화의 동인․비판․폐단시정 123
Ⅲ. 산업화사회․정보화사회․포스트모더니즘 127
1. 산업화사회 127
2. 정보화사회 129
3. 포스트모더니즘 131
Ⅳ. 우리나라 행정의 환경 133
1. 경제적 환경 134
2. 사회적 환경 135차 례
3. 정치적 환경 137
제3장 행정과 가치
제1절 행정 상의 가치문제 141
Ⅰ. 가치란 무엇인가? 141
1. 가치의 정의 141
2. 가치에 관한 상대론과 절대론 143
3. 가치유형론 145
4. 가치와 관련된 개념들 148
Ⅱ. 가치의 레퍼토리 149
1. 가치유형의 열거 149
2. 중요가치 고르기 152
3. 합리성과 공익 155
제2절 행정문화 161
Ⅰ. 행정문화란 무엇인가? 161
1. 행정문화의 정의 161
2. 문화유형론 166
Ⅱ. 행정문화의 개혁 168
1. 문화의 형성․보존․변동 168
2. 문화개혁: 변동개입 169
Ⅲ. 한국의 행정문화 171
1. 전통적 행정문화 171
2. 변동하는 행정문화 178
3. 행정문화 개혁의 방향 179
제3절 공직윤리 182
Ⅰ. 공직윤리란 무엇인가? 182
1. 윤리의 정의 182
2. 공직윤리의 정의 184
3. 윤리적 선택의 원리 188
Ⅱ. 공직윤리 향상방안 192
1. 개인 대상의 윤리성 향상활동 193
2. 조직 내의 윤리적 분위기 조성 194
3. 사회환경의 개선 195
Ⅲ. 내부고발․재산등록과 공개․병역사항신고와 공개․선물신고․취업제한․
주식백지신탁 196
1. 내부고발 196
2. 공직자재산등록과 공개 199
3. 병역사항신고와 공개 200
4. 선물신고 201
5. 퇴직공직자의 취업제한 201
6. 주식백지신탁 202
Ⅳ. 우리 정부의 공식적 윤리규범 202
1. 법제화된 윤리규범: 「국가공무원법」의 규정 203
2. 공무원 헌장 204
3. 공식적 윤리규범에 대한 평가 205
Ⅴ. 정치적 중립성 206
1. 정치적 중립이란 무엇인가? 206
2. 정치활동의 제한 208
3. 정치적 중립성 보장의 성공조건 211
Ⅵ. 공무원노동조합 211
1. 공무원노동조합이란 무엇인가? 211
2. 공직의 특수성과 공무원노동조합에 대한 규제 214
3. 우리 정부의 공무원노동조합 218
Ⅶ. 성희롱의 금지 219
1. 문제화의 배경 219
2. 성희롱이란 무엇인가? 219
3. 성희롱의 폐해와 대책 221
Ⅷ. 공직의 부패 223
1. 부패란 무엇인가? 223
2. 부패의 원인과 통제 227
제4절 행정조직의 목표 232
Ⅰ. 조직목표란 무엇인가? 232
1. 조직목표의 정의 232
2. 조직목표의 기능 233
3.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 234
4. 조직목표의 유형 235
5. 조직목표의 변동 238
Ⅱ. 조직평가와 목표 239
1. 평가기준으로서의 목표 239
2. 목표모형과 체제모형의 구분 240
3. 조직평가이론의 발전 245
제4장 행정조직의 구조
제1절 구조형성의 기초요소 249
Ⅰ. 조직과 구조 249
1. 조직의 정의 249
2. 구조의 정의 250
3. 구조적 특성의 지표 250
Ⅱ. 구조의 구성요소 252
1. 지 위 254
2. 권 력 256
Ⅲ. 기 술 265
1. 기술의 정의 265
2. 기술유형론 266
제2절 조직 내의 집단 271
Ⅰ. 집단이란 무엇인가? 271
1. 집단의 정의 271
2. 집단의 기능 272
3. 집단의 유형 273
Ⅱ. 집단 간의 경쟁 278
1. 집단 간 경쟁의 발생과 그 영향 279
2. 집단 간 경쟁의 완화 281
Ⅲ. 집단적 문제해결 281
1. 집단의 의사결정 방법 282
2. 집단적 문제해결의 장․단점 283
3. 집단적 문제해결의 개선 285
제3절 구조형성의 원리 288
Ⅰ. 구조형성의 원리란 무엇인가? 288
Ⅱ. 구조형성의 고전적 원리 289
1. 고전적 원리의 개요 289
2. 분화(분업) 292
3. 통합(조정) 294
Ⅲ. 관료제모형 296
1. 관료제 논의의 관점 296
2. Weber의 관료제 이념형: 고전적 관료제모형 297
Ⅳ. 탈고전적 구조형성 원리 302
1. 고전적 원리에 대한 비판 302
2. 고전적 원리의 수정: 수정적 관료제모형 305
3. 고전적 원리의 배척: 반관료제적 모형 308
Ⅴ. 조직유형론 314
1. Blau와 Scott의 유형론 314
2. Etzioni의 유형론 315
3. Keidel의 유형론 316
4. Mintzberg의 유형론 318
5. 이음매 없는 조직 320
6. 네트워크 조직 322
7. 학습조직 325
8. 그 밖의 조직유형 328
Ⅵ. 우리 정부의 행정기구 330
1. 행정기구의 구성 330
2. 중앙행정기구와 지방자치단체의 관계 335
3. 공 기 업 339
제5장 행정조직의 과정
제1절 의사전달․의사결정 345
Ⅰ. 의사전달 345
1. 의사전달이란 무엇인가? 345
2. 의사전달망 350
3. 의사전달의 장애 352
4. 정보관리 357
5. 지식관리 359
Ⅱ. 의사결정 362
1. 의사결정이란 무엇인가? 362
2. 의사결정의 단계 367
3. 의사결정모형 해설 371
4. 의사결정자의 실책 389
제2절 리더십․갈등관리 392
Ⅰ. 리 더 십 392
1.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392
2. 속성이론: 리더의 속성에 착안한 접근방법 395
3. 행태이론: 리더의 행태에 착안한 접근방법 398
4. 상황이론: 상황에 착안한 접근방법 401
5. 리더십의 유형 406
6. 리더십의 발전 413
7. 추종자의 역할 414
Ⅱ. 갈등관리 416
1. 갈등관리란 무엇인가? 416
2. 갈등관리의 전략과 방법 421
제3절 관리과정 424
Ⅰ. 관리와 관리이론 424
1. 관리의 정의 424
2. 관리이론의 변천 425
Ⅱ. 목표관리 428
1. 목표관리란 무엇인가? 428
2. 효용․한계․성공조건 430
3. 목표설정이론 431
Ⅲ. 총체적 품질관리 433
1. 총체적 품질관리란 무엇인가? 433
2. 효용․한계․성공조건 436
Ⅳ. 전략적 관리 437
1. 전략적 관리란 무엇인가? 437
2. 효용․한계․성공조건 439
Ⅴ. 성과관리 440
1. 성과관리란 무엇인가? 440
2. 효용․한계․성공조건 443
제4절 정책과정 444
Ⅰ. 정책과정의 연구 444
Ⅱ. 정책이란 무엇인가? 445
1. 정책의 정의 445
2. 정책의 유형 446
3. 국가와 정책 447
Ⅲ. 정책과정이란 무엇인가? 450
1. 정책과정의 정의 450
2. 정책과정의 활동단계 451
3. 무의사결정 452
4. 정책과정의 참여자 453
5. 정책네트워크 456
6. 정책갈등 460
7. 우리나라 정책과정의 병폐 463
Ⅳ. 정책의제설정 464
1. 정책문제 464
2. 정책의제화 466
Ⅴ. 정책결정 469
1. 정책결정의 접근방법 469
2. 정책결정과정의 주요 문제 474
3. 정책분석 482
Ⅵ. 정책집행 488
1. 정책집행모형의 유형론 489
2. 정책순응 491
3. 정책집행실패의 원인과 대책 493
Ⅶ. 정책평가 495
1. 정책평가의 유형 496
2. 정책평가의 과정 497
Ⅷ. 정책의 변동 501
1. 정책변동의 유형 502
2. 정책변동의 촉발과 장애 504
제6장 인사행정
제1절 인사행정론 서설 511
Ⅰ. 인사행정이란 무엇인가? 511
1. 인사행정의 정의 511
2. 정부의 인사행정과 사기업의 인사관리 512
3. 인사행정의 활동국면 512
Ⅱ. 인사행정 유형론 514
1. 인사행정 유형론의 개요 514
2. 엽관체제 516
3. 실적체제 519
4. 대표관료제 521
5. 직업공무원제 527
6. 관리융통성체제 529
7. 개방형 인사체제 532
8. 교류형과 비교류형 535
Ⅲ. 인사행정의 개혁 536
1. 인사행정의 현실 536
2. 개혁의 기본원리 537
제2절 직업구조형성․임용․퇴직 539
Ⅰ. 직업구조형성: 공직의 분류 539
1. 직업구조형성의 전통적 접근방법 539
2. 탈관료화 시대의 직업구조형성 543
3. 직무분석과 직무평가 548
4. 직무설계 549
5. 우리 정부의 직업구조형성 553
Ⅱ. 임 용 554
1. 인적자원계획 555
2. 신규채용 557
3. 내부임용 569
Ⅲ. 퇴 직 579
1. 퇴직의 유형 580
2. 퇴직관리의 활동영역 586
제3절 근무성적평정․교육훈련․보수 589
Ⅰ. 근무성적평정 589
1. 근무성적평정이란 무엇인가? 589
2. 근무성적평정의 방법 592
3. 평정 상의 착오 598
Ⅱ. 교육훈련 601
1. 교육훈련이란 무엇인가? 601
2. 교육훈련의 종류․방법․훈련수요조사 605
Ⅲ. 보수와 편익 610
1. 보수․보수관리 610
2. 보수수준의 결정 613
3. 보수체계 616
4. 봉급표․승급 624
5. 연금제도 626
6. 근무시간․휴가․보건․안전․복지 628
제4절 동기유발 635
Ⅰ. 직무수행동기 635
1. 직무수행동기란 무엇인가? 635
2. 연관개념: 지각․성격․태도 637
Ⅱ. 동기이론 640
1. 동기이론의 분류 641
2. 내용이론 642
3. 과정이론 655
Ⅲ. 동기유발 프로그램: 사기앙양책 664
1. 동기유발 프로그램의 종류 664
2. 인사상담․고충처리․제안제도․스트레스 관리 668
3. 사기관리의 개혁 671
4. 공무원의 권리 673
제7장 재무행정
제1절 재무행정론 서설 679
Ⅰ. 재무행정이란 무엇인가? 679
1. 재무행정의 정의 679
2. 정부의 재무행정과 사기업의 재무관리 680
3. 재무행정학의 연구대상 680
Ⅱ. 정부의 예산 681
1. 예산의 정의 681
2. 예산의 기능 682
3. 예산의 원칙 684
Ⅲ. 예산과 경제 그리고 정치 688
1. 경제주체로서의 정부 688
2. 국민경제에 대한 정부의 개입 690
3. 예산과 정치 695
Ⅳ. 예산관리의 개혁 696
1. 우리 정부의 예산관리에 대한 비판 696
2. 예산관리 개혁의 방향 697
제2절 예산관리의 접근방법 700
Ⅰ. 이른바 ‘예산이론’에 관하여 700
1. 예산이론 논의의 배경 700
2. 예산이론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이해 701
Ⅱ. 예산관리모형 702
1. 품목별 예산제도 703
2. 성과주의 예산제도 705
3. 계획예산제도 708
4. 목표관리 예산제도 712
5. 영기준 예산제도 713
6. 총액배분 자율편성 예산제도 719
7. 결과기준 예산제도: ‘새로운 성과주의 예산제도’ 722
8. 계약예산제도 726
제3절 예산과정 728
Ⅰ. 예산과정의 활동단계 728
1. 예산의 편성 728
2. 예산의 심의 731
3. 예산의 집행 734
4. 결 산 742
Ⅱ. 세입의 출처 743
1. 조세수입 744
2. 세외수입 746
Ⅲ. 예산의 종류와 예산내역의 분류 747
1. 예산의 종류 747
2. 예산내역의 분류 758
Ⅳ. 예산과정의 정치적 역동성 763
1. ‘정략적 예산’: 선심쓰기․나눠먹기 763
2. 관료적 예산전략 766
3. 예산결정과정의 점증주의 771
제8장 행정과 국민
제1절 행정과 국민의 관계 779
Ⅰ. 행정에 대한 국민의 위상 779
1. 피지배자에서 주인으로 779
2. 국민의 다양한 역할 780
Ⅱ. 행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와 불신 780
1. 신뢰란 무엇인가? 781
2. 행정에 대한 국민의 불신 785
Ⅲ. 행정정보공개․국정홍보 789
1. 행정정보공개제도 789
2. 국정홍보 794
Ⅳ. 시민참여 796
1. 시민참여란 무엇인가? 797
2. 시민참여의 필요와 제약 799
3. 시민참여 개선대책 801
4. 사회적 자본․시민사회 802
5. 비정부조직 804
제2절 행정에 대한 통제 808
Ⅰ. 통제란 무엇인가? 808
1. 통제와 책임 808
2. 통제의 유형 811
3. 통제의 과정 814
Ⅱ. 행정통제체제의 구조: 통제중추의 배열 816
1. 내부적 통제체제 816
2. 외부적 통제체제 819
Ⅲ. 행정통제체제의 한계 826
1. 통제의 애로 826
2. 통제체제의 능력부족과 실책 828
제3절 행정의 간여와 국민의 대응 830
Ⅰ. 행정규제제도․행정절차제도 830
1. 행정규제제도 830
2. 행정절차제도 837
Ⅱ. 민원행정 838
1. 민원행정이란 무엇인가? 838
2. 민원행정의 병폐와 정부의 개혁사업 841
3. 민원행정개혁의 방향 845
4. 민원행정에 대한 고객의 평가 846
Ⅲ. 행정지도 850
1. 행정지도란 무엇인가? 850
2. 행정지도의 팽창 852
3. 행정지도의 폐단과 개선대책 855
제9장 행정개혁
제1절 행정개혁 과정론 861
Ⅰ. 행정개혁이란 무엇인가? 861
1. 행정개혁론의 기본적 가정 861
2. 행정개혁의 정의 863
3.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865
Ⅱ. 행정개혁의 과정 868
1. 행정개혁과정의 활동단계 868
2. 개혁추진자 872
Ⅲ. 개혁실패의 원인 875
1. 개혁정책결정에서 저지르는 실책 875
2. 개혁의 장애 877
3. 개혁에 대한 저항 878
4. 개혁추진자의 포획 884
Ⅳ. 조직발전 887
1. 조직발전이란 무엇인가? 887
2. 조직발전과정의 활동단계 889
3. 조직발전의 개입기법 891
4. 조직발전의 한계와 성공조건 894
5. 조직혁신 895
제2절 행정개혁 목표론 897
Ⅰ. 목표상태 처방모형 897
1. 신공공관리 897
2. 신공공서비스 909
3. 공공가치 거버넌스 914
4. 기업가적 정부 917
5. 탁월한 정부 921
6. 일은 잘하고 비용은 덜 드는 정부 923
7. 전자정부 929
8. 정부 3.0 935
9. 열린 정부 940
10. 작은 정부 943
11. 민 간 화 955
12. ‘좋은 정부’에 관하여 960
Ⅱ. 우리나라의 행정개혁 963
1. 변동하는 행정환경 964
2. 행정체제에 대한 비판 964
3. 행정개혁의 원리 966
4. 행정개혁의 추진전략: 실천행동의 준칙 970
후 주 973
찾아보기 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