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91130304960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18-01-30
책 소개
목차
PART 01 서문
『생산성의 경제학』
1. 국가간 일인당 소득수준의 편차 7
2. 국가에 따른 경제성장률의 차이 9
3.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모습의 경제성장률 10
4. 일인당 소득수준의 세계적 위상변화 14
5. 국제무역과 성장 19
6. 『생산성의 경제학』과 한국 경제성장의 기적 21
『생산성의 경제학』과 한국의 사례
1. 총요소생산성의 측정을 위한 자료 30
2.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의 측정 32
3. 추정결과의 리포트 방법과 해석 34
4. 총요소생산성 수준의 비교 40
5. 총요소생산성과 소비자 후생 41
6. 총요소생산성 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 42
성장률과 미분의 이해
1. 부정확한 개념 47
2. 미분과 변화 51
3. 퍼센트 변화(변화율, 증가율, 성장률) 52
4. 자연 대수와 성장률 53
5. 로그를 취한 후 미분 54
6. 두 변수의 비율과 성장률 55
7. 로그변수의 변화와 성장률 55
8. 소득 2배 달성 기간의 계산 57
9. 기여율과 기여도 58
10. 『생산성의 경제학』 이해를 위한 간단한 미분 사례 59
PART 02 『생산성의 경제학』
경제성장의 원천
1. 국민 계정의 등장 68
2. 총요소생산성 측정을 위한 솔로우의 성장회계식 73
3. 에드워드 데니슨의 도전 90
4. 졸겐슨과 그릴리커스의 "잔차는 없다" 94
5. "생산성 저하"의 원인 101
6. 정보화와 신경제 103
총요소생산성의 결정요인
1. 연구개발 106
2. 기업가 정신 109
3. 사회간접자본 111
4. 제도 113
5. 기술이전 115
6. 인적 자본 116
7. 자원 배분의 왜곡 117
8. 자본 스톡과 가동률 118
총요소생산성 분석의 다양한 주제
1. 쌍대 이론과 비용 측면의 성장회계식 121
2. 시장의 불완전성과 총요소생산성 123
3. 계량경제학의 활용 125
4. 총요소생산성 수준의 측정 127
5. 수렴화 논쟁 131
6. 경제성장 이론과 총요소생산성 133
7. 공정혁신과 신제품 개발 137
8. 소비자 후생 측면의 총요소생산성 141
9. X-비효율성 142
10. 집계문제 143
11. 기업 수준에서의 총요소생산성 144
PART 03 『생산성의 경제학』 각론
경제성장 이론과 총요소생산성
1. 고전파 성장이론 149
2. 케인지안 성장모형: 해로드-도마 모형 152
3. 신고전파 성장모형: 솔로우의 경제성장 모형 156
4. 내생적 성장이론과 총요소생산성 171
총요소생산성의 측정과 지수이론
1. 지수의 기본개념 186
2. 라스파이레스 지수와 파셰 지수 187
3. 피셔의 이상적 지수 189
4. 라스파이레스 지수와 파셰 지수의 변형 190
5. 디비지아 지수(Divisia index) 191
6. 통크비스트 지수(T?rnqvist-Theil index) 193
7. 맘퀴스트 지수(Malmquist index) 193
8. 품질지수(헤도닉 지수, Hedonic Index) 195
9. 지수이론의 실습 197
총요소생산성 측정의 일반이론
1. 전통적 방법 205
2. 시장의 불완전성, 규모의 경제, 가동률과 총요소생산성 207
제도와 총요소생산성
1. 정부와 제도 219
2. 경제성장, 총요소생산성 증가와 제도의 실증적 증거 220
3. 제도와 자원 배분의 왜곡, 생산성 225
4. 제도의 결정요인 227
5. 중국은 왜 쇠퇴하였을까? 228
6. 식민지와 제도 이식 229
7. "성장의 기적"과 "성장의 재난" 230
동아시아 성장과 총요소생산성
1. 자본축적과 총요소생산성 증가의 논란 236
2. 기술변화와 추급에 관한 문제 239
3. 총요소생산성 증가의 수렴화 240
4. 개도국의 지속성장 가능성 241
5. 두 도시 이야기 246
6. 기술변화에 유도된 자본축적의 검정 253
기업가 정신과 총요소생산성
1.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 257
2. 경제학에서 기업가 정신 259
3. 실증연구에서의 기업가 정신 지표 273
총요소생산성 수준의 수렴화
1. 수렴화 논쟁 280
2. 수렴화 여부의 측정방법 287
PART 04 『생산성의 경제학』
생산이론의 기초개념
1. 생산함수 310
2. 비용함수 314
3. 쌍대이론 317
4. 이윤함수 320
총요소생산성 측정과 생산함수
1. 실증분석을 위한 함수형태의 선택 324
2. 생산함수와 기술변화 326
3. 생산함수의 추정법 328
자료포락분석과 총요소생산성
1. 효율성의 개념 354
2. 효율성의 측정방법 358
3.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 368
확률변경함수의 추정
1. 확률변경생산함수 분석 376
2. 횡단면 자료와 변경함수의 추정 384
3. 패널자료와 확률변경 생산함수 386
3. 패널자료와 확률변경 비용함수 397
4. 패널자료와 기술적 효율성의 결정모형 401
5. STATA로 Coelli 제공 프로그램을 완전 대체 404
확률변경함수와 총요소생산성의 구성요인 분석
1. 확률변경 생산함수와 총요소생산성 구성요인 409
2. 확률변경 비용함수와 총요소생산성 구성요인 413
3. 거리함수와 총요소생산성 구성요인 419
PART 05 『생산성의 경제학』
한국의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분석
1. 한국의 총요소생산성 분석을 위한 데이터 세트 429
2. Excel을 이용한 한국의 총요소생산성 분석의 이해 431
3. 다양한 방법론에 의한 한국의 총요소생산성 분석 432
한국의 지역별 총요소생산성 분석
1. 한국의 지역별 총요소생산성 분석의 필요성 443
2. 자료의 작성과 분석 방법론 444
한국의 은행산업 총요소생산성 분석
1. 은행 산업의 분석과 자료작성 450
2. 한국 은행 산업의 효율성 분석 451
3. 은행 산업에서의 합병의 효과 분석 452
전 세계 국별 총요소생산성 분석
1. 펜 월드 테이블과 총요소생산성 분석 455
2. 펜 월드 테이블의 활용 가능 분야 456
3. 펜 월드 테이블의 활용 실습 457
정보통신기술과 총요소생산성 추정
1. 분석모형 468
2. 생산요소의 대체 탄력성 477
3. 규모의 경제 478
기업가 정신과 총요소생산성
1. 분석모형 486
2. 자료 487
3. 모형의 추정과 평가 488
4. 기업가 정신의 결정요인과 성과 및 발현에 대한 의미 492
5. STATA를 이용한 실습 496
글로벌 밸류체인과 총요소생산성
1. 글로벌밸류체인의 개념 503
2. 분석 방법론 507
3. STATA를 이용한 사례분석 518
PART 06 에필로그
1. 『생산성의 경제학』 체계 완성 521
2. 한국경제 성장의 "기적의 기적" 522
3. 한국경제 성장의 기적 속에 낮은 총요소생산성 수준 523
4. 총요소생산성의 결정요인에서의 문제 526
5. 한국의 열악한 제도의 문제 529
6. 한국의 기업가 정신 531
7. 한국의 높은 글로벌 밸류체인 참여 532
부록
1. 『생산성의 경제학』과 EXCEL의 활용 537
2. STATA의 활용 541
3. 파워포인트의 활용 550
4. 연구자를 위한 파일관리 552
찾아보기 554